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가음초등학교 | 구천초등학교 | 금성초등학교 | 다인초등학교 | 단촌초등학교 |
| 도리원초등학교 | 비안초등학교 | 안계초등학교 | 안평초등학교 | 안평초등학교신평분교장 | |
| 옥전초등학교 | 의성남부초등학교 | 의성북부초등학교 | 의성초등학교 | 점곡초등학교 | |
| 춘산초등학교 |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colbgcolor=#004080><colcolor=#ffffff> 안계초등학교 安溪初等學校 An-gye Elementary School | |
| 개교 | 1922년 04월 29일 안계공립보통학교 |
| 유형 | 단설 초등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공립 |
| 교장 | 이용창 |
| 교감 | 신규철 |
| 교훈 | 바르게 행동하고 튼튼하게 자라며 슬기롭게 배우자 |
| 교화 | 백일홍 |
| 교목 | 소나무 |
| 학생 수 | 170명[기준] |
| 교직원 수 | 18명[기준] |
| 관할청 | 경상북도의성교육지원청 |
| 주소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안계길 68 |
| 홈페이지 | |
1. 개요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위치한 초등교육기관이다.2. 학교 연혁
| 1922년 | 04월 29일 안계공립보통학교 |
| 1938년 | 04월 01일 위천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
| 1941년 | 04월 01일 위천공립국민학교로 개칭 |
| 1946년 | 09월 28일 안계국민학교로 개칭 |
| 1984년 | 03월 13일 안계국민학교 병설유치원 개원 |
| 1985년 | 03월 01일 도덕국민학교 본교 분교장으로 격하 편입 |
| 1989년 | 05월 15일 농촌형 급식학교 지정 |
| 1992년 | 03월 01일 교촌국민학교 본교 분교장으로 격하 편입 |
| 1994년 | 03월 01일 안계서부국민학교, 도덕분교장·교촌분교장 본교 통폐합 |
| 1996년 | 03월 01일 안계초등학교로 개칭 |
| 1997년 | 03월 01일 고산초등학교 본교 분교장으로 격하 편입 |
| 1999년 | 09월 01일 삼분초등학교 통폐합 |
| 2000년 | 03월 01일 고산분교장 본교 통폐합 |
| 2010년 | 03월 01일 경상북도교육청지정 교수학습방법개선(도덕) 시범학교 (2010. 3. 1. ~ 2012. 2. 29.) |
| 2012년 | 03월 01일 교육정책과제수행(다문화) 시범교육청지정 중심학교 (2012. 3. 1. ~ 2014. 2. 28.) |
| 2014년 | 03월 01일 단북초등학교 통폐합 |
| 2015년 | 03월 01일 제30대 이학승 교장 부임 |
| 2016년 | 02월 17일 제91회 졸업식(졸업생 총12,724명) |
| 2017년 | 02월 14일 제92회 졸업식(졸업생 총12,754명) |
| 2019년 | 03월 01일 교육부 요청 디지털교과서 정책 연구학교 (2019. 3. 1. ~ 2021. 2. 28.) |
| 2023년 | 01월 05일 제98회 졸업(20명, 졸업생 총 12,939명) |
| 2023년 | 03월 01일 제35대 최규석 교장 취임 03월 20일 본교 건물 폐쇄(급식실 제외), 모듈러 교실로 이전 |
3. 교훈 및 상징
- 출처: 안계초등학교 홈페이지
3.1. 교표
알알이 영근 노란 벼이삭의 풍성함과 같이 알차고 풍성하게 보다 더 강한 삶의 의지를 가지고 세상을 살아가는 지(智)·덕(德)·체(體)를 갖춘 슬기로운 사람이 되라는 뜻을 담고 있다.3.2. 교화
백일홍를 교화로 삼고 있다.[3] 낙엽활엽 작은 키나무로 백일홍과 같이 아름다운 향기를 피어나게 하는 사람이 되라는 뜻을 담고있다.[4]3.3. 교목
소나무를 교목으로 삼고 있다.[5]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로서 눈보라 치는 날에도 항상 싱싱한 푸른 소나무와 같이 늘 씩씩하고 튼튼하며 바르게 자라라는 뜻을 담고있다.3.4. 교훈
바르게 행동하고 튼튼하게 자라며 슬기롭게 배우자
안계초등학교 교훈[6]
안계초등학교 교훈[6]
3.5. 교육목표
| <colcolor=#fff> 의(義)와 예(禮)를 실천하는 참(眞)인재 육성 |
| <colbgcolor=#ffffff> ⬆️ |
| <colcolor=#fff> 튼튼한 기본을 바탕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안계교육 |
| <colbgcolor=#ffffff> ⬆️ |
| <colbgcolor=#cb9600> 미래 역량을 키우는 안계 BASIC 프로젝트 |
| <colbgcolor=#cb9600> B | Basic | ■ 기초학습능력 함양 교육 ■ 기초체력 향상 교육 ■ 소통과 배려를 실천하는 바른 인성 교육 | |||
| A | Ability | ||||
| S | Study | I | fItness | C | Character |
| 기본 학습 교육 | 기초 체력 교육 | 바른 인성 교육 | |||
| 안계 Daily Book e-독서친구와 독서올레 자기주도적 창의성 교육 SW-AI 교육 | 건강 증진 교육 스포츠클럽 활성화 줄넘기 건강 인증제 마음 건강관리 그룹 | 인성 예정 교육 기초생활 습관 교육 1인 1악기 예술 교육 어울림 교육 | |||
| 지원요소 | |
| 학교교육과정 내실운영 기초·기본교육 강화 담임 학력 책임제 | 학교교육활동 홍보-학부모 연계 창의·인성 교육 강화 가정과의 연계 교육 강화 |
3.6. 교가
4. 학교 시설
| 교수학습공간 | 일반교실 12실 교과교실 4실 특별교실 4실 기타 2실 |
| 학습지원공간 | 컴퓨터실 1실 기타 1실 |
| 관리행정공간 | 11실 |
| 체육집회공간 | 1실 |
| 보건위생공간 | 보건실 1실 남자화장실 4실 여자화장실 4실 |
| 학생식당 | 2실 |
| 기타공간 | 1실 |
5. 학교 생활
5.1. 학교 일과
| 2023학년도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현황,(단위:일,명), | ||
| 수업일수 | 1학년 | 191 |
| 2학년 | 191 | |
| 3학년 | 191 | |
| 4학년 | 191 | |
| 5학년 | 191 | |
| 6학년 | 191 | |
| 주당 수업시수 | 207 | |
| 수업교원수 | 11 | |
| 주당 평균 수업시수(교사 1인당) | 18.8 | |
|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단위:개,명), | |||
| 구분 | 교과 | 특기적성 | 계 |
| 프로그램 수 | 1 | 7 | 8 |
| 수강학생 수 | 30 | 85 | 115 |
| 참여학생 수 | 72 | ||
| 2023학년도 초등돌봄교실,(단위:개,명), | |||
| 구분 | 오후돌봄 | 저녁돌봄 | 방과후 학교 연계형 돌봄 |
| 운영교실수 | 1 | 0 | 0 |
| 참여학생수 | 15 | 0 | 0 |
| 초등돌봄참여학생중 특수교육대상학생수 | 0 | ||
| 특수학교종일반 | 학급수 | ||
| 참여학생수 | |||
6. 출신 인물
| 김중태 | 정치인 |
| 변창흠 | 대한민국 전 국토교통부장관 (제5대) |
| 최유철 | 정치인 |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 안계·토매 (속암2리 방향) | 007 | 안계버스정류장-안정2리-안계버스정류장 |
| 007 | 비안정류소-안정2리-안계버스정류장 | |
| 014 | 안계버스정류장-용사1리-안계버스정류장 | |
| 022 | 안계버스정류장-중하1리-안계버스정류장 | |
| 027 | 안계버스정류장-청산리-안계버스정류장 | |
| 029 | 의성시외버스터미널-교촌리-팔등 | |
| 120-1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안평1리-안계버스정류장 | |
| 270 | 의성시외버스터미널-봉양-안계버스정류장 | |
| 272-1 | 의성시외버스터미널-도리원-안계버스정류장 | |
| 272-1 | 도리원버스터미널-비안-안계버스정류장 | |
| 안계 (안계버스정류장 방향) | 007 | 안계버스정류장-안정2리-안계버스정류장 |
| 007 | 비안정류소-안정2리-안계버스정류장 | |
| 014 | 안계버스정류장-용사1리-안계버스정류장 | |
| 015 | 안계버스정류장-용곡2리-안계버스정류장 | |
| 022 | 안계버스정류장-중하1리-안계버스정류장 | |
| 027 | 안계버스정류장-청산리-안계버스정류장 | |
| 029 | 의성시외버스터미널-교촌리-팔등 | |
| 120-1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안평1리-안계버스정류장 | |
| 270 | 의성시외버스터미널-봉양-안계버스정류장 | |
| 272-1 | 의성시외버스터미널-도리원-안계버스정류장 | |
| 272-1 | 도리원버스터미널-비안-안계버스정류장 | |
| 안계 (안계·토매 방향) | 007 | 안계버스정류장-안정1리-비안정류소 |
| 007 | 안계버스정류장-비안-안계버스정류장 | |
| 013 | 안계버스정류장-유산리-안계버스정류장 | |
| 023 | 안계버스정류장-봉양1리-중하3리 | |
| 023 | 안계버스정류장-중하1리-안계버스정류장 | |
| 027 | 안계버스정류장-장국1리-안계버스정류장 | |
| 028 | 안계버스정류장-청산리-안계버스정류장 | |
| 120-1 | 안계버스정류장-비안-도리원버스터미널 | |
| 120-1 | 안계버스정류장-봉양-의성역 | |
| 270 | 안계버스정류장-비안-도리원버스터미널 | |
| 271 | 안계버스정류장-쌍계리-도리원버스터미널 | |
| 272-1 | 안계버스정류장-용천1리-도리원버스터미널 | |
| 272-1 | 안계버스정류장-봉양-의성역 | |
| 안계·토매 (위양리 방향) | 007 | 안계버스정류장-안정2리-안계버스정류장 |
| 007 | 안계버스정류장-비안-안계버스정류장 | |
| 013 | 안계버스정류장-모흥1리·가리-안계버스정류장 | |
| 023 | 안계버스정류장-봉양1리-중하3리 | |
| 023 | 안계버스정류장-중하1리-안계버스정류장 | |
| 027 | 안계버스정류장-장국1리-안계버스정류장 | |
| 028 | 안계버스정류장-청산리-안계버스정류장 | |
| 120-1 | 안계버스정류장-비안-도리원버스터미널 | |
| 120-1 | 안계버스정류장-봉양-의성역 | |
| 270 | 안계버스정류장-비안-도리원버스터미널 | |
| 272-1 | 안계버스정류장-용천1리-도리원버스터미널 | |
| 272-1 | 안계버스정류장-봉양-의성역 |
- 노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의성군 농어촌버스/봉양면, 의성군 농어촌버스/비안면, 안계면 문서 참조.
- 안계버스정류장에서 시외버스 이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