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가음초등학교 | 구천초등학교 | 금성초등학교 | 다인초등학교 | 단촌초등학교 |
| 도리원초등학교 | 비안초등학교 | 안계초등학교 | 안평초등학교 | 안평초등학교신평분교장 | |
| 옥전초등학교 | 의성남부초등학교 | 의성북부초등학교 | 의성초등학교 | 점곡초등학교 | |
| 춘산초등학교 |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colbgcolor=#254980><colcolor=#ffffff> 단촌초등학교 丹村初等學校 Danchon Elementary School | |
| 개교 | 1930년 09월 17일 단촌보통학교 |
| 유형 | 단설 초등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공립 |
| 교장 | 백경애 |
| 교훈 | 착하고 씩씩하게 |
| 교화 | 개나리 |
| 교목 | 느티나무 |
| 학생 수 | 13명[기준] |
| 교직원 수 | 8명[기준] |
| 관할청 | 경상북도의성교육지원청 |
| 주소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신기길 42 |
| 홈페이지 | |
1. 개요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에 위치한 초등교육기관이다.2. 학교 연혁
| 1930년 | 08월 25일 단촌보통학교 설립 09월 17일 단촌보통학교 개교 |
| 1938년 | 04월 01일 단촌심상소학교로 변경 |
| 1939년 | 03월 31일 6년제 인가 |
| 1941년 | 04월 01일 단촌공립국민학교로 개칭 |
| 1949년 | 09월 01일 단촌국민학교 후평분교장 설립인가 |
| 1968년 | 06월 20일 단촌국민학교 방하분교 설립 인가 09월 01일 방하분교 개교 |
| 1969년 | 02월 16일 방하분교 국민학교 승격 인가 03월 01일 방하국민학교 승격 분리 |
| 1981년 | 03월 06일 병설유치원 개원 |
| 1986년 | 03월 01일 방하국민학교 본교 분교장으로 격하 편입 |
| 1992년 | 03월 01일 방하분교장 폐교 |
| 1996년 | 03월 01일 단촌초등학교로 변경 |
| 1998년 | 03월 01일 후평초등학교 통폐합 |
| 2021년 | 09월 01일 최영환 교장 부임 |
| 2021년 | 12월 30일 제89회 졸업식(총 6307명) |
| 2016년 | 09월 01일 이금숙 교장 부임 |
| 2018년 | 03월 01일 장화선 교장 부임 |
| 2019년 | 09월 01일 장락준 교장 부임 |
| 2021년 | 09월 01일 최영환 교장 부임 12월 30일 제89회 졸업식(6307명) |
| 2023년 | 01월 04일 제90회 졸업식(6,311명) 03월 01일 백경애 교장 부임 |
3. 교훈 및 상징
- 출처: 단촌초등학교 홈페이지
3.1. 교표
한자의 붉은 단(丹)자와 용맹을 나타내는 독수리를 형상화하였으며, 전체적인 구성은 ‘단촌’이라는 뜻과 함께 무궁화의 모양을 나타내어 애국심을 함양하고 독수리처럼 창공을 날며 넓은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가진 인간을 기른다는 뜻을 담고 있다.3.2. 교화
개나리를 교화로 삼고 있다.[3] 현삼목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추운 겨울을 견디며 가장 빨리 피어나고 어디서나 잘 자라는 꽃을 통해 어려움을 견뎌내고 언제 어디서나 희망을 잃지 않으며 밝고 고운 꿈을 펼쳐나갈 줄 아는 단촌초등학교 재학생의 의지를 담고 있다.
3.3. 교목
느티나무를 교목으로 삼고 있다.[4]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전국의 산기슭, 골짜기에 자라는 낙엽 큰키나무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지만,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천 년을 살 수 있으며 가장 큰 나무의 대표적인 존재이다. 단촌초등학교 재학생도 느티나무처럼 오랜 시간동안 큰 그늘이 되어 이웃의 쉼터가 되게 하고, 널리 남을 이롭게 하는 기상을 품게 됨을 가리킨다.
3.4. 교훈
착하고 씩씩하게
단촌초등학교 교훈[5]
단촌초등학교 교훈[5]
3.5. 교육목표
| <colcolor=#000> Edu - Vision 단촌교육 소통 나눔 배려로 함께 꿈을 키우는 행복한 단촌인으로 자신의 Vision (미래상)을 계획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꿈 사랑 지혜 체력을 키우는 교육활동을 지향한다. |
| <colcolor=#000> 꿈 자신만의 개성과 잠재능력의 계발 사랑 생명 존중, 나눔을 실천하는 바른 마음 지혜 기초·기본교육이 바탕이 된 창의성 체력 몸과 마음이 조화롭고 강인한 체력 |
| <colbgcolor=#f5f5f5><colcolor=#000>藝 ▶ 개성·잠재능력을 계발하여 꿈을 키우는 학생 德 ▶ 서로 도우며 나눔을 실펀하는 학생 智 ▶ 기초·기본교육이 탄탄한 창의적인 학생 體 ▶ 몸과 마음이 조화롭고 건강한 학생 |
| <colbgcolor=#ffffff> 가고 싶고 머물고 싶은 행복한 학교 |
| <colbgcolor=#ffffff> ⬆️ |
| <colbgcolor=#fff3e7><colcolor=#ffffff> 학생상 | 큰 꿈을 키우는 학생 함께 어울리는 학생 자긍심을 높이는 학생 (긍지 높은 학생) |
| 교사상 | 사랑으로 가르치는 교사 부단히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일에 열정과 긍지가 있는 교사 (사랑이 가득한 교사) |
| 학부모상 | 교육을 이해하고 긍정적으로 참여하는 학부모 다른 아이도 내 아이처럼 소중히 여기는 학부모 (함께하는 학부모) |
| <colbgcolor=#ffffff> ⬆️ |
| <colcolor=#fff> 소통 나눔 배려 |
3.6. 교가
푸른 정기 맑은 흐름 가슴에 받은
우리들은 이 땅의 아들딸들이라
내 사랑 여기 쏟아 그 위에 서리
기쁨과 희망 되리 단촌 어린이.
씨 뿌리고 가꿔보자 기름진 내 땅
우리들은 이 나라의 믿음의 새싹들
오늘도 내일도 갈고 닦아서
슬기론 사람 되리 단촌 어린이.
단촌초등학교 교가, 작사 이희정·작곡 석종환#
우리들은 이 땅의 아들딸들이라
내 사랑 여기 쏟아 그 위에 서리
기쁨과 희망 되리 단촌 어린이.
씨 뿌리고 가꿔보자 기름진 내 땅
우리들은 이 나라의 믿음의 새싹들
오늘도 내일도 갈고 닦아서
슬기론 사람 되리 단촌 어린이.
단촌초등학교 교가, 작사 이희정·작곡 석종환#
4. 학교 시설
| 교수학습공간 | 일반교실 5실 교과교실 2실 특별교실 1실 기타 3실 |
| 학습지원공간 | 컴퓨터실 1실 |
| 관리행정공간 | 7실 |
| 체육집회공간 | 1실 |
| 보건위생공간 | 보건실 1실 남자화장실 2실 여자화장실 2실 |
| 학생식당 | 1실 |
| 기타공간 | 1실 |
5. 학교 생활
5.1. 학교 일과
| 2023학년도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현황,(단위:일,명), | ||
| 수업일수 | 1학년 | 191 |
| 2학년 | 191 | |
| 3학년 | 191 | |
| 4학년 | 191 | |
| 5학년 | 191 | |
| 6학년 | 191 | |
| 주당 수업시수 | 125 | |
| 수업교원수 | 6 | |
| 주당 평균 수업시수(교사 1인당) | 20.8 | |
|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단위:개,명), | |||
| 구분 | 교과 | 특기적성 | 계 |
| 프로그램 수 | 1 | 3 | 4 |
| 수강학생 수 | 9 | 25 | 34 |
| 참여학생 수 | 9 | ||
| 2023학년도 초등돌봄교실,(단위:개,명), | |||
| 구분 | 오후돌봄 | 저녁돌봄 | 방과후 학교 연계형 돌봄 |
| 운영교실수 | 1 | 0 | 0 |
| 참여학생수 | 12 | 0 | 0 |
| 초등돌봄참여학생중 특수교육대상학생수 | 2 | ||
| 특수학교종일반 | 학급수 | ||
| 참여학생수 | |||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
| 세촌1리 (방하 방향) | 410 | 교보생명-세촌1리-평팔2리 |
| 410 | 안동터미널-광음-평팔2리 | |
| 410 | 안동터미널-원호-평팔2리 | |
| 410 | 평팔2리-광음-안동터미널 | |
| 410 | 평팔2리-세촌1리-교보생명 | |
| 410 | 평팔2리-광음-안동터미널 | |
| 160 | 의성시외버스터미널-방하리-세촌2리 | |
| 161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장림리 | |
| 161-1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장림리 | |
| 162 | 고운사-세촌1리-의성역 | |
| 162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의성역 | |
| 162-2 | 고운사-세촌1리-의성역 | |
| 511 | 실업2리-세촌1리-의성역 | |
| 512 | 오류리-세촌1리-의성역 | |
| 514 | 신계·상신-세촌1리-의성역 | |
| 516 | 길안정류장-세촌1리-의성역 | |
| 516-2 | 길안정류장-세촌1리-의성역 | |
| 세촌1리 (단촌시장·삼거리 방향) | 160 | 방하리-세촌1리-의성역 |
| 160-1 | 세촌2리-세촌1리-의성역 | |
| 161 | 장림리-세촌1리-의성역 | |
| 161-1 | 장림리-세촌1리-의성역 | |
| 162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고운사 | |
| 162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의성역 | |
| 162-1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고운사 | |
| 511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실업2리 | |
| 511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의성역 | |
| 513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금봉리 | |
| 513-1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금봉리 | |
| 514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신계·상신 | |
| 516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길안정류장 | |
| 516-1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길안정류장 | |
| 516-2 | 의성시외버스터미널-세촌1리-길안정류장 |
| 세촌1리 (방하 방향) | 도보 1분 | 6m | |
| 세촌1리 (단촌시장·삼거리 방향) | 도보 1분 | 53m | 횡단보도 1회 |
노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의성군 농어촌버스/단촌면, 의성군 농어촌버스/옥산면, 점곡면, 안동 버스 410 문서 참조.
7. 기타
- 교가에 등장하는 '푸른 정기'는 의성군 금성면에 위치한 금성산(金城山)을 가리킨다. 『세종실록지리지』와 『대동여지도』에는 영니산(盈尼山)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금학산(金鶴山)으로 기록되었다. 금성면 산운리와 탑리리를 둘러싼 형상이며 소나무 군락지가 형성되어 있다.[6]
- 교가에 등장하는 '맑은 흐름'은 미천(眉川)을 뜻한다. 옥산면 금봉리에서 발원하여 단촌면 세촌리를 지나가는 하천으로서 낙동강으로 유입된다. 하천 중류부에 해당하는 단촌면 일대에는 넓은 범람원이 발달한 까닭에 논이 조성되어 있다.[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