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1 23:44:42

아이오나(허리케인)

2025년 중태평양 허리케인
제1호 아이오나 → 제2호 켈리
2025년 제1호
중태평양 허리케인 아이오나
<colbgcolor=#3594D3,#27658f><colcolor=#fff> 위성사진 파일:아이오나_2025-07-29.jpg
진로도 파일:Iona_2025_path-5.png
활동 기간 2025년 7월 28일 9시 ~ 2025년 8월 2일 9시
발생 위치 미국 하와이 주 남동쪽 약 1,545㎞ 부근 해상[1]
소멸 위치 미국 하와이 주 남서쪽 약 2,310㎞ 부근 해상
영향 지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하와이 빅 아일랜드
허리케인 등급 3등급[NHC]
최저 기압
957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57㎧[3]
1. 개요2. 경과
2.1. 발달 이전2.2. 발달 이후
2.2.1. 7월 28일2.2.2. 7월 29일2.2.3. 7월 30일2.2.4. 7월 31일2.2.5. 8월 1일2.2.6. 8월 2일2.2.7. 8월 3일
3. 진로 경과4. 둘러보기

1. 개요

2025년 7월 31일 기준, 허리케인인 아이오나가 날짜변경선을 넘어 태풍으로 명칭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았다. 만약 아이오나가 태풍이 된다면 2023년 태풍 도라 이후 2년만에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서 태풍이 되는 것이며, 11호 태풍부터는 2019년 태풍 시즌하고 이름이 같아지게 될 뻔 했지만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급약화되면서 실패하였다. 그나마 계속 전진한다면 수온이 높아지면서 재발달할 수 있었으나, 고기압 영향으로 갑자기 U턴을 시전해 태풍 인정은 완전히 무산되었다.
"아이오나" 허리케인의 최전성기 세력
연도/번호 중심기압(hPa) 1분풍속(㎧) 10분풍속(㎧) 최대직경(km)
2025년 제1호 957 57 -

2. 경과[UTC+9]

2.1. 발달 이전

====# 90C 열대요란 → 01C TD #====
7월 24일 21시, NOAA가 중태평양의 열대요란을 90C로 명명했으며, 이는 호네 이후 11개월 만이다.

7월 25일 15시, NHC가 90C를 1009hPa, 최대 풍속 10㎧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했다.

7월 25일 21시, NHC가 90C를 1009hPa, 최대 풍속 13㎧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했다. 다만 열대저기압 세력으로 발달했다고 해석했으나 90C를 TD로 승격하진 않았다.

7월 26일 3시, NHC가 90C를 1008hPa, 최대 풍속 13㎧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했다.

7월 26일 15시, NHC가 90C를 1011hPa, 최대 풍속 10㎧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했다.

7월 26일 21시, NHC가 90C를 1010hPa, 최대 풍속 13㎧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했다.

7월 27일 9시, NHC가 90C를 1008hPa, 최대 풍속 13㎧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했다.

7월 27일 15시, NHC가 90C를 01W TD로 승격했다.

7월 27일 21시, NHC가 90C를 1009hPa, 최대 풍속 15㎧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했다.

7월 28일 3시, NHC가 90C를 1008hPa, 최대 풍속 15㎧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했다.

2.2. 발달 이후

2.2.1. 7월 28일

2025년 제1호 중태평양 허리케인 아이오나(IONA)7월 28일 9시에 중심기압 1004hPa, 1분 평균 풍속 21㎧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하와이 남서쪽 약 1,545㎞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NHC 속보치 기준)

7월 28일 12시, NHC 기준 중심기압 1005hPa, 1분 평균 풍속 18㎧의 열대폭풍으로 약화했다.

7월 28일 15시, NHC 기준 중심기압 1001hPa, 1분 평균 풍속 26㎧의 열대폭풍으로 발달했다.

7월 28일 18시, NHC 기준 중심기압 1001hPa, 1분 평균 풍속 24㎧의 열대폭풍으로 약화했다.

7월 28일 21시, NHC 기준 중심기압 994hPa, 1분 평균 풍속 31㎧의 열대폭풍으로 발달했다.

2.2.2. 7월 29일

7월 29일 0시, NHC 기준 중심기압 994hPa, 1분 평균 풍속 33㎧의 1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했다.

7월 29일 3시, NHC 기준 중심기압이 993hPa으로 하강했다.

7월 29일 9시, NHC 기준 중심기압 985hPa, 1분 평균 풍속 36㎧의 1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했다.

7월 29일 12시, NHC 기준 중심기압 985hPa, 1분 평균 풍속 39㎧의 1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했다.

7월 29일 15시, NHC 기준 중심기압 964hPa, 1분 평균 풍속 51㎧의 3등급 허리케인으로 급발달했다.

7월 29일 21시, NHC 기준 중심기압 957hPa, 1분 평균 풍속 57㎧의 3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했다.

2.2.3. 7월 30일

7월 30일 9시, NHC 기준 중심기압 964hPa, 1분 평균 풍속 51㎧의 3등급 허리케인으로 약화되었다.

7월 30일 15시, NHC 기준 중심기압 973hPa, 1분 평균 풍속 46㎧의 2등급 허리케인으로 약화되었다.

7월 30일 21시, NHC 기준 중심기압 987hPa, 1분 평균 풍속 33㎧의 1등급 허리케인으로 급약화되었다.

2.2.4. 7월 31일

7월 31일 3시, NHC 기준 중심기압 994hPa, 1분 평균 풍속 28㎧의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

7월 31일 9시, NHC 기준 중심기압 1000hPa, 1분 평균 풍속 23㎧의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

7월 31일 15시, NHC 기준 중심기압이 1001hPa으로 상승했다.

2.2.5. 8월 1일

8월 1일 3시, NHC 기준 중심기압이 1002hPa으로 상승했다.

8월 1일 15시, NHC 기준 중심기압 1003hPa, 1분 평균 풍속 21㎧의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

8월 1일 21시, NHC 기준 중심기압 1005hPa, 1분 평균 풍속 18㎧의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

2.2.6. 8월 2일

8월 2일 3시, NHC 기준 중심기압이 1006hPa으로 상승했다.

8월 2일 9시, NHC 기준 중심기압 1008hPa, 1분 평균 풍속 15㎧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또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도 내부 분석 기준 중심기압 1006hPa, 10분 평균 풍속 18㎧의 열대폭풍 세력으로 분석하며 날짜변경선에 근접해 경계에 걸치고 있다.

8월 2일 15시,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1008hPa, 10분 평균 풍속 15㎧ 미만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여 태풍 지위 획득에 실패하였다. 한편 JTWC에서는 아이오나의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였다.

8월 2일 21시,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1008hPa, 10분 평균 풍속 15㎧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했다.

2.2.7. 8월 3일

8월 3일 9시,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1010hPa, 10분 평균 풍속 15㎧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했다.

8월 3일 15시,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1010hPa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했으며 10분 평균 풍속의 제공을 중단하면서[5] 10분 평균 풍속이 15㎧ 미만으로 약화된 것으로 분석했다.

8월 3일 21시,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1012hPa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였다.

3. 진로 경과

<rowcolor=#fff> 발표 시각 1분풍속 10분풍속 SSHS JMA
7월 24일 21시 20kn - LPA 미감시
7월 25일 3시
7월 25일 9시
7월 25일 15시
7월 25일 21시 25kn TD
7월 26일 3시
7월 26일 9시
7월 26일 15시 20kn LPA
7월 26일 21시 25kn TD
7월 27일 3시
7월 27일 9시
7월 27일 15시 30kn
7월 27일 21시
7월 28일 3시
7월 28일 9시 40kn TS
7월 28일 15시 50kn
7월 28일 21시 60kn
7월 29일 3시 65kn 1등급
7월 29일 9시 70kn
7월 29일 15시 95kn 2등급
7월 29일 21시 110kn 3등급
7월 30일 3시
7월 30일 9시 105kn
7월 30일 15시 90kn 2등급
7월 30일 21시 70kn 1등급
7월 31일 3시 60kn TS
7월 31일 9시 45kn
7월 31일 15시
7월 31일 21시
8월 1일 3시
8월 1일 9시
8월 1일 15시 40kn
8월 1일 21시 35kn
8월 2일 3시
8월 2일 9시 30kn TD
8월 2일 15시 25kn 30kn 열대저기압
8월 2일 21시 30kn
8월 3일 3시
8월 3일 9시 25kn
8월 3일 15시 25kn
8월 3일 21시
8월 4일 3시
8월 4일 9시
8월 4일 15시 - 소멸
8월 4일 21시 소멸 및 감시 종료

4. 둘러보기

중태평양 허리케인 명칭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조 2조 3조 4조
아코니
(Akoni)
아카
(Aka)
알리카
(Alika)
아나
(Ana)
에마
(Ema)
에케카
(Ekeka)
엘레
(Ele)
엘라
(Ela)
호네
(Hone)
헤네
(Hene)
후코
(Huko)
할롤라
(Halola)
이오나
(Iona)
이올라나
(Iolana)*
이오파
(Iopa)*
이우네
(Iune)
켈리
(Keli)
케오니
(Keoni)
키카
(Kika)
킬로
(Kilo)
랄라
(Lala)
리노
(Lino)
라나
(Lana)
로케
(Loke)
모케
(Moke)
멜레
(Mele)
마카
(Maka)
말리아
(Malia)
놀로
(Nolo)
노나
(Nona)
네키
(Neki)
니알라
(Niala)
올라나
(Olana)
올리바
(Oliwa)
오메카
(Omeka)
오호
(Oho)
페나
(Pena)
파마
(Pama)*
페바
(Pewa)
팔리
(Pali)
울라나
(Ulana)
우파나
(Upana)
우날라
(Unala)
울리카
(Ulika)
왈레
(Wale)
웨네
(Wene)
왈리
(Wali)
왈라카
(Walaka)
*: 사용 예정, 밑줄: 제명된 명칭
}}}}}}}}} ||

[1] 중앙태평양 허리케인 센터 아이오나 명명 당시 지리적 위치 링크[NHC] [3] 중태평양 허리케인 아이오나 세력 경과[UTC+9] 시간은 UTC+9 기준이다.[5] 해당 열대저기압의 기압값 및 위치 정보(TROPICAL DEPRESSION 1012 HPA AT 20N 173E NW SLOWLY. / 열대저기압 1012hPa 북위 20도 동경 173도 북서쪽으로 느리게 진행.)만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