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5fae><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005fae; margin:-0px -10px" {{{#!folding [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충남형 M버스 | ||
<colbgcolor=#3d5bab> 순환 | |||
배방 송악 유구 | |||
성환 | |||
신창 선장 | |||
신창 도고 선장 | |||
성환 둔포 평택 | |||
염치 영인 인주 | |||
탕정 음봉 | |||
배방 | |||
천안 | 900천안 910천안 | ||
천안: 천안시 시내버스와 공동 배차 |
{{{#!wiki style="color:#005fae; margin:-0px -10px" {{{#!folding [ 공영버스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6ebf46><colcolor=#fff,#1c1d1f> 등교 | |
온양 | ||
송악 | ||
신창, 염치 | ||
도고 선장 | ||
둔포 | ||
영인, 인주 음봉, 둔포 | ||
음봉, 천안 | ||
배방 |
1. 개요
염치읍, 영인면, 인주면, 당진시 신평면 (1일 8회)방향으로 가는 노선이다.600, 610번대는 아산리, 공세리를 경유하여 인주면소재지로, 620번대는 미진아파트를 경유하여 인주면소재지로 간다.
2. 역사
- 2015년 하반기 버스노선 개편안에서 일부 노선이 신설, 통합, 폐선되는 것으로 나왔다. 아산시청 공지사항
- 일부 안건만 반영되어 2015년 10월 17일에 개편되었다. 아산시청 공지사항
3. 노선 목록
3.1. 600번
3.2. 601번
3.3. 610번
3.4. 614번
3.5. 615번
| |||||
기점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아산2리) | 종점 | 충청남도 아산시 용화동(아산시평생학습관) | ||
종점행 | 첫차 | 06:4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06:40 | 막차 | - | ||
배차 간격 | 1일 1회 | ||||
노선 | 아산2리 → 영인면사무소 → 서원2리 → 염치농협 → 석정4리 → 석정2리 → 온양민속박물관 → 아산소방서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고오거리 → 온양온천역 → 굴다리 → 아산시평생학습관 |
3.6. 620·622번
| |||||
기점 |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온양온천역) | 종점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걸매리(걸매사거리) | ||
종점행 | 첫차 | 08:30 | 기점행 | 첫차 | 09:30 |
막차 | 17:30 | 막차 | 18:30 | ||
배차 간격 | 1일 4회 | ||||
노선 | 온양온천역 - 아고오거리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소방서 - 온양민속박물관 - 석정2리 - 석정4리 - 염치농협 - 중방리마을회관 - 강청리 - 도흥1리입구 - 도흥1리회관 - 도흥1리입구 - 미진아파트 - 해암3리.인주역 - 금성초교 - 문방3리입구 - 문방3리마을회관 - 문방3리입구 - 인주중 - 인주농협 - 걸매사거리 |
| |||||
기점 |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온양온천역) | 종점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걸매리(걸매리종점) | ||
종점행 | 첫차 | 07:20 | 기점행 | 첫차 | 06:50 |
막차 | 21:30 | 막차 | 20:25 | ||
배차 간격 | 1일 6회 | ||||
노선 | 온양온천역 - 아고오거리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소방서 - 온양민속박물관 - 석정2리 - 석정4리 - 염치농협 - 중방리마을회관 - 강청리 - 도흥1리입구 - 미진아파트 - 해암3리.인주역 - 금성초교 - 문방3리입구 - 인주중 - 인주농협 - 걸매사거리 - 걸매리종점 |
3.7. 621번
| |||||
기점 |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온양온천역) | 종점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불당골) | ||
종점행 | 첫차 | 06:30 | 기점행 | 첫차 | 07:20 |
막차 | 20:30 | 막차 | 19:25 | ||
배차 간격 | 1일 5.5회 (※ 냉정리행 6회 온양행 5회) | ||||
노선 | 온양온천역 - 아고오거리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소방서 - 온양민속박물관 - 석정2리 - 석정4리 - 염치농협 - 중방리마을회관 - 강청리 - 도흥1리입구 - 미진아파트 - 해암3리.인주역 - 금성초교 - 문방3리입구 - 인주중 - 인주농협 - 냉정저수지 - 불당골 |
3.8. 650번
| |||||
기점 | 충청남도 아산시 용화동(아산시평생학습관) | 종점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쌍죽리(쌍죽리종점) | ||
종점행 | 첫차 | 09:00 | 기점행 | 첫차 | 07:20 |
막차 | 19:00 | 막차 | 19:30 | ||
배차 간격 | 1일 5.5회 (※ 쌍죽리행 5회, 평생학습관행 6회) | ||||
노선 | 아산시평생학습관 - 굴다리 - 온양온천역 - 아고오거리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소방서 - 온양민속박물관 → 석정2리 → 석정4리 → 염치농협 →/← 한남프레시앙아파트 ← 석정1리마을회관 ← 곡교2리 ← 동정리 ← 곡교2리 ← 염성1리 ←) - 염치읍사무소 - 쌍죽리입구 - 쌍죽리마을회관 - 쌍죽리종점 |
3.9. 660번
| |||||
기점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현충사) | 종점 | 충청남도 아산시 모종동(아산시외버스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6:3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07:25 | 막차 | - | ||
배차 간격 | 1일 3회 | ||||
노선 | 현충사 → 신일아파트 → 송곡2리마을길 → 송곡2리 → 충남경제진흥원 → 온양민속박물관 → 아산소방서 → 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침 3회 운행하는 노선이다. (6:30, 7:00, 7:25)
이 노선은 현충사에서 터미널방향으로만 운행하며 터미널에서 현충사로 가려면 아산 버스 970, 971을 이용하자.
4.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온양온천역
일반 철도역: 온양온천역(ITX-마음, 새마을호, 무궁화호), 인주역(ITX-마음)[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