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아리엘 후라도/선수 경력|아리엘 후라도/선수 경력]]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아리엘 후라도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2024년 | → | 2025년 | → | 2026년 |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우완 투수 아리엘 후라도의 2025 시즌을 다루는 문서.2. 시즌 전
2024년 12월 6일, 삼성과 1년 총액 10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 삼성은 지난 시즌 준수한 선발로 활약했으나 포스트시즌에 한 경기도 뛰지 못한 코너 시볼드를 대신할 외인 투수를 구해야 하는 숙제를 가지고 있었다. 후라도는 다른 팀이면 무조건 재계약 및 연봉인상 대상이었으나 리빌딩과 긴축 재정을 기조로 하는 키움에서 헤이수스와 함께 풀리게 되었고, 발 빠르게 접촉해 계약까지 성사시켰다. KBO리그 2년 동안이나 에이스로 활약한 투수를 단돈 100만달러에 영입한 것은 기적이 아닐 수 없다는 평가이며 신규 영입 시 의문 부호인 외인을 계산이 서는 자리로 만들어 오히려 전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가져왔다.12월 25일, LionsTV에서 크리스마스 축하와 함께 삼성 팬들과 첫인사를 나눴다.
등번호는 키움에서 쓰던 75번을 유지했다.[1]
2.1. 시범 경기
3월 16일 KIA 타이거즈를 상대로 4이닝 6실점(5자책)을 기록하며 매우 부진했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3. 페넌트 레이스
3.1. 3~4월
3.1.1. 3월 22일: 대구 키움전 [승리]
<rowcolor=#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게임 스코어 |
승 | 6 | 5 | 8[1HR] | 1 | 2 | 2 | 90 | 52 |
3월 22일 키움과의 대구 홈 개막전 선발투수로 낙점되었다. 전 소속팀이기도 하고 상대 팀에는 작년에 잠깐 삼성에서 뛰었던 루벤 카디네스가 있어서 서로 옷을 바꿔입고 상대하게 되었다.
최종적으로 6이닝 8피안타 5K 2실점으로 QS를 기록하며 시범경기 때의 부진을 씻어냈다. 3회까지 피홈런 1개[3]를 포함한 6개의 안타를 내주며 고전했지만 4회부터 점차 안정감을 찾았다.[4] 그리고 팀 타선이 13득점으로 대폭발하여 삼성 데뷔전에서 승리투수가 됐다. 여담으로 서로 팀이 바뀐 카디네스와의 대결에서는 3타수 2안타 1타점을 내주며 카디네스가 우위였다. 이후 팀타선이 폭발하면서 13:5 역전승 및 삼성에서 데뷔승을 거두었다.[5]
3.1.2. 3월 28일: 잠실 두산전 [패배]
<rowcolor=#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게임 스코어 |
패 | 8 | 11 | 4 | 1 | 2 | 2 | 99 | 80 |
8이닝 2실점 99구 11탈삼진으로 빼어난 피칭을 보여주었다. 이날 3회에 강승호에게 2타점을 내준 게 유일한 흠이었을 정도로 지난번보다 훨씬 더 좋은 투구 내용을 선보였다. 그러나 타선이 콜 어빈에게 7이닝 무실점으로 맥을 못 추렸고, 뒤이어 등판한 이영하를 잠시 흔들었으나 결국 한 템포 일찍 나온 김택연에게 고전하며 그대로 영봉패했다.
결국 후라도는 8이닝 2실점으로 압도적으로 호투했음에도 완투패를 당하고 말았다. 여러모로 2022년의 알버트 수아레즈의 재림. 더군다나, 다음날 7회부터 갑자기 타선이 폭발해 3이닝 13득점을 하며 후라도를 더욱 가슴 아프게 했다.
3.2. 5월
3.3. 6월
3.4. 7월
3.5. 8월
3.6. 9월
4. 시즌 총평
5. 시즌 후
[1] 직전 시즌 75번의 주인은 손주인 코치였는데, 손주인 코치가 76번으로 이동했다.[1HR] [3] 여동욱의 데뷔 첫 타석 홈런이었다.[4] 경기전부터 자신은 전 동료인 키움 타자들의 약점을 모두 알고 있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는데, 작년엔 키움에 없었던 카데나스와 여동욱에게 적시타와 홈런을 허용했다(...) 경기 후에는 구단 유튜브에서 초반에 몸이 덜 풀린 느낌이 들었다고 인터뷰했다.[5] 삼성 선발투수가 개막전에서 선발승을 거둔 건 2018년 윤성환이 마지막이었는데, 7년만에 나온 기록이다. 2019년의 덱 맥과이어, 2020년의 백정현, 2021년부터 2023년까지의 데이비드 뷰캐넌은 모두 패전을 기록했고, 2024년에는 연장전까지 가서야 결승타가 나와서 선발 코너 시볼드는 승패를 기록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