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0ad00, #ffd500 20%, #ffd500 80%, #d0ad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005bbb,#005bbb>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미하일로 1세 라고자 | 이파티 포티 | 요시프 1세 볠랴민루츠키 | 라파일 코르사크 | 안틴 1세 셸랴바 | |
| <rowcolor=#005bbb,#005bbb>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 가브리일 콜롄다 | 키프리얀 조홉스키 | 레우 1세 슬류비츠잘렌스키 | 유리 빈니츠키 | 레우 2세 키슈카 | |
| <rowcolor=#005bbb,#005bbb>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 아타나시 솁티츠키 | 플로리얀 흐레브니츠키 | 필리프 볼로드코비츠 | 레우 3세 솁티츠키 | 야손 스모호제브스키 | |
| <rowcolor=#005bbb,#005bbb>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 테오도시 로스토츠키 | 안틴 2세 안헬로비치 | 미하일로 2세 례비츠키[H.E.] | 흐리호리 야히모비치 | 스피리돈 리트비노비치 | |
| <rowcolor=#005bbb,#005bbb>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 요시프 2세 셈브라토비치 | 실베스트르 셈브라토비치[H.E.] | 율리안 사스쿠일로브스키 | 안드레이 솁티츠키 | 요시프 3세 슬리피[H.E.] | |
| <rowcolor=#005bbb,#005bbb>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bgcolor=#fff> | ||
| 미로슬라우 류바치우스키[H.E.] | 류보미르 후자르[H.E.] | 스뱌토슬라우 셰우추크 | |||
| 초대-16대: 키예프-갈리치아 및 전 루스의 수도대주교 제17-25대: 르비우 대주교 및 할리치 관구장주교 제25-27대: 르비우 상급대주교 제27-28대: 키이우-할리치 상급대주교 [H.E.]. 추기경 | }}}}}}}}}}}} | ||||
| ☩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의 추기경 | ||||||
| {{{#!wiki style="margin: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 | |
| 미하일로 례비츠키 | 실베스트르 셈브라토비치 | 요시프 슬리피 | 미로슬라우 류바치우스키 | 류보미르 후자르 | 미콜라 비초크 | |
| Не існує (사목표어 X)※ | Не існує (사목표어 X)※ | PER ASPERA AD ASTRA (역경을 헤치고 별을 향하여) | Гдѣ. Крѣпость моя (주님은 나의 요새) | НАША НАДІЯ В ГОСПОДІ (우리의 희망은 주님 안에 있도다) | Пресвятая Богородице, спаси нас (지극히 거룩하신 하느님의 어머니시여, 저희를 구하소서) | |
| ※ 례비츠키 추기경과 셈브라토비치 추기경은 사목 표어 전통 정착 이전인 18-19세기의 인물이므로 공식적인 사목 표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 }}}}}} | |||||
| 제6대 르비우 대주교 및 할리치 관구장주교 | |
| <colbgcolor=#005bbb,#005bbb><colcolor=#fff> 제22대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수장 실베스트르 셈브라토비치 Сильвестр Сембратович | |
| 사제급 추기경 | |
| | |
| 출생 | 1836년 9월 3일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롐키우쉬나 지방 도슈니챠[1] | |
| 사망 | 1898년 8월 4일 (향년 61세)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르부프 | |
| 국적 | |
| 사제 수품 | 1860년 11월 1일 |
| 주교 임명 | 1879년 2월 28일 르비우대교구 보좌주교 임명[2] |
| 1885년 3월 27일 르비우대교구장 계승 및 승인[3] | |
| 재임기간 | 르비우대교구 보좌주교 |
| 1879년 2월 28일 ~ 1885년 3월 27일 | |
| 캄야네츠교구장 및 르비우대교구장 및 할리치관구장 | |
| 1885년 3월 27일 ~ 1898년 8월 4일 | |
|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수장 | |
| 1885년 3월 27일 ~ 1898년 8월 4일 | |
| 추기경 | |
| 1895년 11월 29일 ~ 1898년 8월 4일 | |
| | |
1. 개요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의 22대 수장. 6대 르비우 대주교 및 할리치 관구장주교이자 가톨릭교회의 추기경. 바로 전대인 21대 수장 요시프 셈브라토비치의 조카이기도 하다.2. 생애
2.1. 성장기와 사제 시기
실베스트르 셈브라토비치는 당시 롐키우쉬나 지방(현재의 폴란드 남동부)의 도슈니차서 태어났다. 아버지 안톤 셈브라토비치는 이 지역의 본당 사제였고, 어머니 안나 비슬로츠카도 사제 가문 출신이었다. 실베스트르 셈브라토비치는 테클라와 루드비크라는 남매가 있었다.셈브라토비치는 신학 수학을 위해 빈과 르비우를 거쳐 로마로 유학하였고, 성 아타나시오 그리스 칼리지(Greek College of St. Athanasius)에서 공부하였다. 셈브라토비치는 1860년 11월 1일 로마에서 사제품을 받았고, 1861년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1863년까지 로마에 머무른 후 갈리치아[4]로 귀국하여 티리치(Tylicz) 본당에서 사목하였다. 이후 르비우의 그리스-루테니아 신학교에서 근무하고, 1865년부터는 르비우 대학교에서 교의신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2.2. 주교 임명 이후
1879년 2월 28일, 셈브라토비치 신부는 삼촌인 요시프 셈브라토비치 르비우 대주교의 보좌주교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4월 20일 주교 서품을 받았다. 1882년 삼촌의 사임 이후 그는 잠시동안 르비우 대교구의 교구장 서리에 임명되었고, 1885년 3월 27일에 정식으로 르비우 대교구장이자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의 수장으로 임명되어 5월 5일 착좌하였다.셈브라토비치는 대주교로 재직하면서 바실리오회의 개혁을 단행하였고, 우크라이나어로 된 대중용 기도서와 교리서를 편찬하였으며, 1891년에는 르비우에서 지역 공의회를 개최하였다. 1884년에는 바실리안 수녀회가 운영하는 여자 교육 기관을 설립하였고, 1889년에는 르비우에 새로운 신학교 건물을 완공하였다. 또한 사제 선교를 위한 '성 바오로 사제회'와 가난한 본당을 돕기 위한 '성 베드로 사도회'를 조직하였다.
셈브라토비치 대주교는 신학교 및 수도자 양성에 힘쓰는 한편, 교구 내에서 민중의 언어와 문화를 반영한 전례 문서를 출판하였고, 1870년에는 신부 율리안 펠레시 및 올렉산드르 레프키와 함께 신학 잡지 『루스키이 시온』(Ruskij Sion)을 창간하였다. 이들은 대중용 기도서와 전례서 『교회 예식 및 전례 선집』(Изборникъ благопотребныхъ церковныхъ чиновъ и службъ)도 함께 편찬하였다. 대주교의 노력으로, 1885년에는 스타니슬라브에 새로운 대교구가 설치되었으며, 1892년에는 '봉사 수녀회'(Сестри Служебниці)가 창설되었으며, 1897년에는 바실리안 수녀회에 대한 전면적 개혁이 이루어졌다.
셈브라토비치 대주교는 사회적으로도 활발히 활동하였다. 그러나 교황 레오 13세와의 만남을 계기로 1893년 르비우에서 대주교의 행보에 불만을 가진 학생 시위대의 공격을 받아 부상을 입기도 하였다. 그는 말년에 이른바 '신시대(Нова ера)'로 불린 타협주의 노선에 가담하기도 했으나, 이후 정치 활동에서는 점차 물러났다.
1895년 11월 29일, 셈브라토비치 대주교는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서임되었으며, 1896년 6월 25일 '첼리오 산토 스테파노 성당'(Santo Stefano al Monte Celio)의 명의사제로 임명되었다. 그는 1898년 8월 4일 르비우에서 향년 61세라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사망하였으며, 성 유라 대성당의 지하 납골당에 안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