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af>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 시 (городской округ) | |||||||||
| 로벤키 | 루간스크 | 루베즈노예 | ||||||||
| 리시찬스크 | 브랸카 | 세베로도네츠크 | ||||||||
| 스타하노프 | 알쳅스크 | 크라스니 루치 | ||||||||
| 키롭스크 | 페르보마이스크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군 (муниципальный округ) | |||||||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폐지된 행정구역 | |||||||||
| 문서가 있는 기타 행정구역 | ||||||||||
| 마케옙카, 벨로고롭카, 졸로토예, 토시콥카 | ||||||||||
| 2022년 9월 1일 행정구역 개편 기준 1: 2022년 9월 1일 폐지. # | }}}}}}}}}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f2f91>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 국가: 우크라이나 | 주도: 루한스크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background-color: rgba(213, 43, 30, .2)" | |||
| <colbgcolor=#ffffff,#1f1f1f><colcolor=#000,#fff> 스바토베군 Сватівський район | 스바토베 | ||
| 스타로빌스크군 Старобільський район | 스타로빌스크 | ||
| 세베로도네츠크군 Сєвєродонецький район | 세베로도네츠크 | ||
| 슈차스티아군 Щастинський район | 슈차스티아 | ||
| 알체우스크군 Алчевський район | 알체우스크 | ||
| 루한스크군 Луганський район | 루한스크 | ||
| 로벤키군 Ровеньківський район | 로벤키 | ||
| 도우잔스크군 Довжанський район | 도우잔스크 | }}}}}}}}} | |
| Сватово | Svatovo 스바토보 | |||||
| 국가 | [실효지배] | ||||
| 행정구역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스바토보 루한스크주 스바토베 | ||||
| 면적 | 27km² | ||||
| 인구 | 16,420명[2] | ||||
| 시간대 | UTC+3 | ||||
1. 개요
스바토보는 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도시이다.2. 역사
1660년경 카자크인들의 마을이 설립되었고, 이름은 스바하 호수에서 따왔다.돈바스 전쟁 당시 우크라이나의 치하에 있었다.
2.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바토보 전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바토보 전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는 러시아가 3월 6일 점령하였다. 이후 우크라이나군이 도시 서쪽에서 지속적으로 주변 마을을 점령하고 탈환을 노렸으나, 러시아군이 다시 주변 마을을 점거하며 전투가 지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