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pad>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2em; letter-spacing: -.4px" | 고대 | 베르베르인 | ||||
누미디아 | 페니키아 정착지 | 베르베르인 | ||||
카르타고 | ||||||
마우레타니아 왕국 | 로마 공화국 | |||||
로마 제국 | ||||||
서로마 제국 | ||||||
마우로 로마 왕국 [[알타바 왕국| 알타바 왕국 ]] | 반달 왕국 | |||||
동로마 제국 | ||||||
중세 | 우마이야 왕조 | |||||
루스탐 왕조 | 아바스 왕조 [[무할라브 왕조| 무할라브 왕조 ]] [[아글라브 왕조|아글라브 왕조 ]] | |||||
파티마 왕조 | ||||||
지리 왕조 [[바누 힐랄| 바누 힐랄 ]] [[바누 술라임|바누 술라임 ]] | ||||||
함마드 왕조 | 이프란 왕조 | |||||
무라비트 왕조 | ||||||
무와히드 왕조 [[무라비트 왕조#s-5.2| 바누 가니야 ]] | ||||||
마린 왕조 | 자얀 왕조 | 하프스 왕조 | ||||
근세 | 오스만 제국 [[알제 섭정국| 알제 섭정국 ]] [[에이트 압바스 왕국|에이트 압바스 ]] [[쿠쿠 왕국|쿠쿠 왕국 ]][[투구르트 술탄국| 투구르트 ]] [[스페인령 오랑|스페인령 오랑 ]] | |||||
압델카데르 토후국 | 프랑스령 알제리 | |||||
프랑스령 알제리 | ||||||
현대 | 알제리 인민 민주 공화국 | }}}}}}}}} |
우측의 노란색 부분이 술라이만 왕조
1. 개요
아랍어 السليمانيون영어 Sulaymanid
814 ~ 922 (혹은 828 ~ 931)년까지 알제리 서북부 지역을 다스린 이슬람 왕조. 모로코 주요부를 통치한 이드리스 왕조의 방계 국가로, 왕가 역시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의 후손들이었다. 수도는 틀렘센과 테네스 등이었다. 기록이 거의 없기에 그 역사가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성립 과정과 시기는 물론 국교마저도 확실하지 않다. 일부는 순니라 하고 어떤 학자들은 이드리스 왕조와 같은 쉬아 자이드파로 추정한다. 확실한 것은 시조가 하산 빈 알리의 증손자 술레이만 빈 압둘라였고, 10세기 초엽 파티마 왕조에게 멸망했다는 것이다.
2. 배경과 건국
술라이만 왕조의 몇 안 되는 디르함 은화
건국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1. 알리 후손들이 대거 전사한 786년 팍크 전투 후 술레이만 빈 압둘라가 틀렘센으로 이주하여 건국했다는 설.
2. 팍크 전투 후 술레이만이 이드리스와 함께 마그레브로 이주, 791년 이드리스 1세의 암살 후 혼란기에 틀렘센을 장악해 자립했다는 설 (이븐 칼둔)
3. 팍크 전투 후 술레이만이 형제 이드리스와 함께 마그레브로 이주, 이드리스 왕조 하에 틀렘센 총독으로 봉해졌다가 이드리스 1세가 암살당한 후 그곳에서 자립했다는 설. (이븐 이다리, 알 바크리)
4. 다른 기록에 의하면 술레이만 역시 팍크 전투 당시 전사자들 중 하나였다 하며, 그 아들들은 숙부 이드리스와 함께 마그레브로 이주하였다. 그후 이드리스의 아들 이드리스 2세가 814년 마그라와 부족장 무함마드 빈 하자르를 축출, 틀렘센을 정복한 후 사촌인 무함마드 빈 술레이만을 봉했다는 것이다. 마지막 설이 가장 설득력 있고 구체적이기에 가장 많이 수용된다.
828년 무함마드 1세가 사망한 후 술라이만 왕조는 이드리스 왕조의 번국으로 승인되어 그 아들들이 분할 계승하였다. 무함마드 1세의 네 아들인 아흐마드, 이사, 이드리스, 이브라힘은 각각 틀렘센, 아르슈쿨, 자라바, 수크 이브라힘을 거점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드리스의 아들 이브라힘은 현재의 테네스를 창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