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무총리제 | ||||
대통령제 | |||||
국무령제 | |||||
국무위원제 | |||||
주석제 | |||||
대한민국 정부 | }}}}}}}}}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회의 송병조 정부 宋秉祚 | Song Byeong-jo Government | |||
▲ 송병조 주석 | |||
1933년 3월 6일 ~ 1933년 12월 30일 | |||
<rowcolor=#ffffff> 출범 이전 | 이후 | ||
1차 이동녕 정부 | 양기탁 정부 | ||
주석 | 송병조 ,/ 제3대, | ||
국무령 | 양기탁 ,/ 제5대, |
[clearfix]
1. 개요
송병조를 주석으로 하는 임시정부 국무회의.2. 역사
훙커우 공원 의거 이후 일본의 탄압이 심해지자 임시정부는 위기를 맞게 된다. 우선 임시정부가 위치한 상해부터 더 이상 안전한 지역이 아니게 되면서 계속해서 정부를 옮겨다녀야 하는 신세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이동녕 주석과 연락이 두절되었고 중국국민당의 지원을 받는 김구가 노선 갈등으로 국무령에서 사임한 이후 사실상 은거해버리자 재정이 궁핍해져 버렸다.이때 재무부장에 있던 송병조가 면직된 이동녕을 대신하여 새 주석이 되었다. 송병조는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식적으로는 임시정부 소속이지만 1923년 이후 완전히 단절된 구미위원회의 이승만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미국에 있는 그를 무임소장으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이승만계 대한인동지회와 안창호계 대한인국민회 모두 임시정부에 대해 냉랭한 반응을 보냈고 결국 재정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자 사임하고 국무원은 국무령 양기탁을 국무회의 주석으로 호선하였다.
3. 내각 명단
주석: 송병조[재무]
국무령: 양기탁
내무부장: 차리석
외무부장: 신익희
군무부장: 윤기섭[선전]
법무부장: 최동오[교통]
학무부장: 김규식
경무국장: 나창헌
무임소장: 조성만, 이승만, 이유필
국무원 비서장: 김철
감찰위원장: 이시영
국무령: 양기탁
내무부장: 차리석
외무부장: 신익희
군무부장: 윤기섭[선전]
법무부장: 최동오[교통]
학무부장: 김규식
경무국장: 나창헌
무임소장: 조성만, 이승만, 이유필
국무원 비서장: 김철
감찰위원장: 이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