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23:49:03

이상룡 내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무총리제
대통령제
국무령제
국무위원제
주석제
대한민국 정부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
이상룡 내각
李相龍 內閣 | Yi Sang-ryong's Cabinet
파일:이상룡_1.jpg
▲ 이상룡 국무령
1925년 7월 7일 ~ 1926년 2월 18일
<rowcolor=#ffffff> 출범 이전 이후
박은식 정부 홍진 내각
국무령 이상룡 ,/ 초대,
국무총리 이동녕 ,/ 제8대,

1. 개요2. 역사3. 내각 명단

[clearfix]

1. 개요

임시정부 최초의 국무령제 정부. 이상룡 정의부 독판을 국무령으로 선출하여 수립된 내각이다.

2. 역사

이상룡 내각 시기는 임시정부 최대의 암흑기였다. 임시정부는 내분으로 인해 더이상 민족유일정부라고 불러줄 수 없었다. 위신이 이렇게 떨어지니 재정적으로 심각한 위기를 겪었다. 그러나 파벌 싸움은 여전히 심각해서 국무원은 제대로 독립운동을 진행할 수 없었다. 외교독립론에 대해선 더 이상 가능성이 없었고 무장투쟁을 전개하기에는 만주 군정부들과 연계가 떨어지고 장쭤린 정권의 탄압으로 독립군이 침체기에 들어간 상태였다. 국민정부의 지원을 받기에도 어려운 것이 북벌이 진행중이었고 동시에 영한결렬로 국민정부가 내전에 들어가 있었다. 결국 내부적으로도 외부적으로도 진퇴양난에 상황에 빠지자 이상룡 국무령은 사임한다.

이후 의정원은 양기탁을 국무령으로 임명했으나 양기탁은 취임을 거부했다. 그러자 국무총리 이동녕이 국무령을 대행했다. 이후 안창호를 국무령으로 임명했으나 김구와 보수파의 반대로 제대로 내각을 이끌 수 없었고 본인 역시 임시정부의 회의감을 느끼고 있었기에 취임을 거부했다. 1926년 7월 7일 홍진 지명자가 정식으로 취임하며 혼란은 일단락되었다.

3. 내각 명단

국무령: 이상룡양기탁[지명]안창호[지명]이동녕[대행]
국무총리: 이동녕
내무부장: 이규홍
외무부장: 조소앙홍진
재무부장: 최창덕
군무부장: 오영선
법무부장: 이유필
학무부장: 조상섭
교통부장: 노백린조상섭
노동국장: 조완구
경무국장: 강창제나창헌

[지명] 지명되었으나 취임 거부함[지명] [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