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4:01:03

솔루션

solution
1. 영단어2. 용액3. 교재의 해설지4. 협업툴

1. 영단어

solve의 명사형.

단, 외래어 표기법상 표기는 '설루션'이다. # 외래어표기법의 영어 표기 자체가 영국 발음 기준으로 하되 가급적 국어에 맞게 표기하는 거라...

2. 용액

용액이라는 뜻이다.

3. 교재의 해설지

문제를 미리 해결해 놓은 답지나 pdf, 또는 그러한 책을 말한다. 이학, 공학부에 입학한 학생들을 당혹케 하는것이 챕터당 문제는 수십개에서 때로는 100개도 넘으면서 해설(solution)은 커녕 해답(answer)도 나와있지 않는 것이다.[1][2] 교수들은 '너희가 무슨 고딩이냐? 대학학문이 무슨 엄마처럼 모른다고 하면 친절하게 다 가르쳐 주는 덴 줄 알아? 스스로 고민하고 해결하는 힘을 기르는 게 대학생이고 성인이야!' 라고 소리친다. 맞는 말이지만 그럼 자기들은 왜 해설집을 갖고 있는걸까?[3] 사실 그 교재를 채택한 교수는 원저자로부터 모든 문제가 자세히 풀려있는 해설집을 특권으로서 받게되는데 이를 Instructors solutions manual이라고 한다. 학생의 경우는? 가끔씩 students solutions manual을 판매하는 경우도 있는데 분량도 퀄리티도 정말 저질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할리데이 물리학'의 students solutions manual은 전체의 15%밖에 해설되어 있지 않은데다가 그 30~40%정도는 예제수준의 단순계산문제인 exercise인걸로 악명이 높다.[4]

만약 당신이 역학 문제 하나가 죽어라 안 풀리면? 그냥 시간낭비한 거나 다름없다. 이런 점을 이용하여 과거에 교수들은 교재에 수록된 연습문제를 값도 하나도 안 바꾸고 그대로 시험문제로 출제하기도 했다.[5]

그런데 또 웃긴것이, 솔루션 공개가 학문마다 다르기도 하다는 것이다. 물리학이나 공학에서는 솔루션이 교수만의 특권이고 student solutions manual이 아예 없다고 해도 되는데 반해 일반화학의 경우는 케바케,[6] 유기화학과 생화학의 경우는 거의 모든 저자가 전 문제의 해설집을 판매한다. 공업수학은? 아예 전국의 학생 또는 대학원생들이 푼 것을 자체해설집으로 만들어 판다.[7]

다만 컴퓨터와 인터넷이 발달한 요즘에는 교수가 일부러 흘린 것인지 교수 아래서 일하는 대학원생이 빼돌린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출판된 지 꽤 오래된 구판의 instructors solutions manual은 구글에서 공들여 검색하면 얻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나온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신판의 경우 구판에 비해 얻기 힘들다.

아니면 역으로 교수가 먼저 학생들을 위해 해당 과목 교재의 솔루션을 공유해주는 경우도 있다. 물론 목적은 공부할 때 참고용으로 쓰라고 올려주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실상은 과제하는데 쓰기 마련(...).

H모 사이트같은 곳에서 파는 해설집들도 바로 이런 유출된 instructors solutions manual 이다. 조금 문제의 소지가 있다는 것을 명심하자.[8]

어쨌든 가뜩이나 물리학과 고등수학으로 범벅된 이공계 대학에서 풀리지도 않는 문제 때문에 좌절하고 자퇴, 재수해서 딴 학과로 옮긴 학생들이 한 둘이 아니다. 그 중에는 의사, 치과의사들도 있다.

대학생들에게 해답집을 공개하는 것이 대학생들의 학습에 도움이 되는가는 미국에서도 논란거리인 듯 하다. 몇몇 연구자는 해답집을 이용할 수 없었던 학생들의 성적이 더 높다고 주장하는 한편, 상반되는 주장을 하는 연구자도 있다.
논문 참조(Are Solution Manuals Detrimental to Student Learning? #)[9]

그리고 교수들도 학부생 때는 100% 족보나 솔루션을 참고했었다. 족보나 솔루션을 단 1페이지도 안 보고 공부한 교수는 없다고 봐도 좋다. 그렇다고 해도, 학생이 먼저 교수에게 이런 것을 요구한다든가, 솔루션을 갖고 질문한다든가, 하는 행위는 교수 입장에선 자존심을 건드리는(?) 행위로 여겨지기 때문에 삼가는 것이 좋다. 군대 다녀온 사람들은 알겠지만 가라처리가 관행이라지만 윗사람 눈에까지 띄게 하는 것은 좋지 않다는 것과 똑같은 이야기.

솔루션은 출판사의 저작권이 걸려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터넷에 함부로 푼다는 것 자체가 저작권법 위반 소지가 있다.

4. 협업툴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뜻한다. 또한 IT 회사의 형태를 구분할때도 SI 회사, 서비스 회사, 솔루션 회사로 구분하기도 한다. 보통은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 완제품을 가리키는 용어로 많이 쓰이나, 하드웨어까지 포함한 IT 시스템도 솔루션의 범위에 포함된다. DBMS, WAS, ERP, SCM, CRM, Office 제품 등이 대표적인 솔루션의 사례이며, 이런 SW 완제품을 판매하는 오라클, IBM, 세일즈포스, SAP, Microsoft 등을 솔루션사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그룹웨어라고도 하며, 요즘에는 협업툴이라고 부른다.


[1] answer가 있다 해봤자 짝수, 또는 홀수 문제뿐만이다. 그것도 개념문제나 증명문제에 대해서는 그런거 없다.[2] 거기다가 그 해답이 틀린경우도 많다. 모두들 정답과 다른답이 나와 머리싸매고 고민하다가 교수나 조교한테 질문했다가 답지가 틀렸다는 대답을 들은 경우가 있을 것이다. 대학교재는 이런거 잘 수정도 안한다. 완전히 시간낭비한 셈.[3] 사실 그들도 모든 문제를 풀 능력이 된다면 해설집을 가져야 할 이유가 없다. 교수도 사람이기에 계산 실수나 전개 과정에서 실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수업에서 그런 실수를 하면 그냥 좀 창피해지고 말 일이지 큰 문제는 없지만 만약에 시험 채점 답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그런 실수를 한다면...[4] 할리데이 물리학의 문제는 개념문제는 question, 그저 공식에 대입만 해도 풀 수 있는 문제는 exercise, 사고력이 동반되는 문제는 problem으로 구성되어 있다.[5] 보통 대학교에서 물리, 역학 등 과목의 시험은 과제로 내준 연습문제에서 값만 살짝 바꿔 출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6] 옥스토비 일반화학의 경우는 정확히 모든 문제의 반이 해설된 학생용 해설집이 판매된다.[7] 사실 과거에는 각 대학의 학생들이 자체적으로 해설집을 만들기도 했지만 틀린 것도 많았고 이를 악용한 교수가 역으로 그 문제를 응용해 시험에 내는 경우도 많았다.[8] 정식 공개된 솔루션이라면 출판사와 저자가 판매하니까.[9] 이 논문을 요약하면, 교수 : 숙제 내놨더니 어디서 솔루션 구해 베껴 내더라. 이러니 시험도 못 치지 ㅉㅉ 학생: 내가 푼 문제 맞는지, 틀렸으면 어디가 왜 틀렸는지 확인하는 것도 잘못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