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07 16:01:31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

<colbgcolor=#0033A0><colcolor=#ffffff>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
Софья Просвирнова | Sofia Prosvirnova
파일:external/www3.pictures.zimbio.com/ISU+European+Short+Track+Speed+Skating+Championships+sHfMxvOM9aOx.jpg
본명 소피아 세르게예브나 프로스비르노바
Софья Сергеевна Просвирнова
Sofia Sergeyevna Prosvirnova
출생 1997년 12월 20일 ([age(1997-12-20)]세)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67cm, 60kg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평가4. 수상 기록
4.1. 월드컵 성적
5. 기타

1. 개요

러시아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다. 실력이 나쁘지는 않지만 정상급 선수들에 비하면 아직 기술, 스피드, 안정성에서 많이 떨어지는 편이다. 순발력도 그리 좋은 편이 아니라 500m에 약한 편이며 스타트부터 휘청거리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편이다. 남자부가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안현수라는 살아있는 전설을 데려온 뒤로는 실력 향상 효과가 엄청났었던 반면, 여자부는 아직까지 올림픽 메달 자체가 전무하다.

시니어 데뷔를 빨리 한 편이라 시즌이 거듭될 수록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2018-19 시즌에는 본인의 개인전 첫 금메달을 차지하며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선수로 생각이 되었으나 2019-20 시즌에서는 갑자기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러시아의 에이스가 예카테리나 예프레멘코바[1] 바뀌지 않나 하는 여론이 있었다.

현재는 덴마크인 남편을 따라 국적을 덴마크로 바꾸는 절차 중에 있고, 쇼트트랙에서 스피드스케이팅으로 전향할 예정이다.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선수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경기를 매우 의욕적으로 하며 인코스 추월이 뛰어나다. 기량이 괜찮을 때는 인코스를 매우 위협적으로 파지만, 기량이 좋지 않을 때는 인코스 추월하다 자빠링을 시전하거나 충돌을 일으켜 페널티를 받는 경우가 많다. 또한 거친 플레이를 하는 선수로 인식을 하는 경향이 있다. 스케이팅 폼이 시니어 데뷔를 오랫동안 했음에도 처음과 비슷하게 덜컹거리는 폼으로 경기를 한다. 그런데도 캘거리에서 8.5초대를 탄 걸 보면 신기하다.

4. 수상 기록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은메달 2018 몬트리올 1000m
은메달 2019 소피아 3000m 계주
동메달 2016 서울 3000m 계주
동메달 2019 소피아 15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유럽선수권
금메달 2015 도르드레호트 3000m 계주
금메달 2015 도르드레호트 1000m
금메달 2017 토리노 1000m
금메달 2018 드레스덴 3000m 계주
1위 2018 드레스덴 3000m S.F.
금메달 2019 도르드레호트 1000m
1위 2021 그단스크 3000m S.F.
은메달 2015 도르드레호트 종합
은메달 2015 도르드레호트 500m
은메달 2015 도르드레호트 1500m
은메달 2017 토리노 종합
은메달 2017 토리노 1500m
은메달 2019 도르드레호트 3000m 계주
은메달 2019 도르드레호트 종합
3위 2017 토리노 3000m S.F.
동메달 2018 드레스덴 종합
동메달 2019 도르드레호트 1500m
동메달 2020 데브레첸 3000m 계주
동메달 2021 그단스크 종합
동메달 2021 그단스크 1500m
파일:FISU 로고.svg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3000m 계주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2014 에르주룸 500m
은메달 2017 인스브루크 3000m 계주
은메달 2017 인스브루크 500m
동메달 2017 인스브루크 종합
동메달 2017 인스브루크 1000m

4.1. 월드컵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수상 기록
월드컵 랭킹 우승 2위 3위 포디움
1000 m 랭킹 0 1 0 1
합계 0 1 0 1
월드컵 메달 포디움
500 m 0 1 2 3
1000 m 1 2 1 4
1500 m 0 1 0 1
개인전 합계 1 4 3 8
3000 m 계주 3 3 7 13
2000 m 혼성 계주 3 4 0 7
계주 합계 6 7 7 20
메달합계 7 11 10 28
랭킹 + 메달 합계 7 12 10 29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랭킹[2]
시즌 종합 500 m 1000 m 1500 m
2013-14 - 9위 - -
2014-15 - 7위 17위 -
2015-16 - 8위 - -
2016-17 - 19위 17위 -
2017-18 - 10위 14위 13위
2018-19 - 11위 2위 21위
2019-20 - 20위 5위 16위
2021-22 - 14위 10위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3]

5. 기타

  • 2014년부터 헝가리 쇼트트랙 선수인 리우 샤오앙과 교제했었으나 2016년에 헤어졌다. 2019년부터는 덴마크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빅터 할 토루프와 사귀기 시작했으며 2021년 6월 약혼했고, 2022년 9월에 결혼식을 올렸다.
  • 비시즌에는 사이클링을 즐긴다.
  • 러시아 출신이지만 영어가 유창한 편이다.




[1] 실제로 계주도 마지막 주자가 2018-19 시즌 6차 월드컵부터 예카테리나 예프레멘코바로 바뀌었고 현재 계주에서도 거리 좁히기, 추월 모두 이 선수 혹은 에미나 말라기치가 한다. 2019-20 시즌의 계주에서의 모습은 매우 안 좋았고 전체적으로 러시아 여자부가 기량이 떨어진 모습이다.[2]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3] 랭킹 표기: 전체 랭킹기록 21개의 81%인 17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