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08:06

소멸도시/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소멸도시
소멸도시 (2019)
消滅都市
파일:소멸도시_애니키비주얼2.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SF, 드라마
원작 Wright Flyer Studios
감독 미야 시게유키
조감독 무로야 야스시(室谷 靖)
시리즈 구성 이리에 신고(入江信吾)
캐릭터 디자인 시타야 토모유키
서브 캐릭터 디자인 히나타 마사키(日向正樹)
메인 애니메이터 사이키 야스히로(才木康寛)
미즈타니 마사유키(水谷正之)
미술 감독 마유즈미 마사키(黛 昌樹)
색채 설계 나가사와 료지(長澤諒司)
촬영 감독 미야타 타카히로(宮田崇弘)
채백륜(蔡伯崙)
3D CG 감독 난바 카츠키(難波克毅)
편집 키무라 카시코(木村佳史子)
음향 감독 모토야마 사토시(本山 哲)
음악 카와이 켄지
음악 제작 포니캐년
프로듀서 마츠오카 타카노리(松岡貴徳)
시모다 쇼타(下田翔大)
오오쿠와 테츠야(大桑哲也)
타구치 아유리(田口亜有理)
나베이와 아키코(鍋岩晶子)
오자와 후미히로(小澤文啓)
시오타니 요시유키(塩谷佳之)
오카무라 타케마(岡村武真)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하야시 마사키(林 雅紀)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제작 소멸도시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19. 04. 07. ~ 2019. 06. 23.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MX / (일) 23: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수) 00:0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폭력성, 주제)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3. 줄거리4. 등장인물5. 주제가
5.1. OP5.2. ED15.3. ED25.4. ED3
6. 회차 목록7. 평가8. 원작과의 차이점
8.1. 전반적인 차이점8.2. 전개의 차이점

[clearfix]

1. 개요

모바일 게임 소멸도시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미야 시게유키, 방영 시기는 2019년 4월.

2. 공개 정보

원작인 게임판의 스토리를 전부 담는 건 무리라고 생각했는지, 세계관과 설정만 가져오고 별개의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스토리로 전개된다.[1] 오리지널 스토리라고 해도 원작과 큰 틀에서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소멸도시 원작과 차이가 나는 부분이 많다. 단순히 애니메이션화로 인한 원작과의 차이라고 보기에는 아예 세계 자체가 달라졌다고 볼 수 있는 점이 한둘이 아닌데다 이런 변경점이 원작이 아니라 AFTERLOST 소멸도시 쪽과 매칭되는 점이 많아 이 애니메이션에서 묘사된 내용대로 AFTERLOST 소멸도시 쪽에서 세계관 자체를 리워크하려는 것이 아닌가 예측하는 팬들도 종종 볼 수 있었다. 일단 WFS 측에선 소멸도시 내부에 공지로 올라온 애니메이션 레터 vol.1을 통해 "게임은 게임대로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대로 분리해서 받아들여주세요"라고 한 것이 공식 입장이며, 애프터로스트 역시 인칭을 제외한 모든 걸 원작을 따라가는 걸 보아 그냥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이라고 보면 될 듯.

2.1. PV

티저 PV
PV 제1탄
PV 제2탄

3. 줄거리

어느 날, 한 도시가 소멸했다――
고독한 배달부 남성 타쿠야와, 소멸로부터 유일하게 살아돌아왔다고 전해지는 소녀 유키.
두 사람은, 소식이 끊어졌다고 알려진 유키의 아버지로부터 전해진 메세지를 믿고
소멸도시로 향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런 두 사람 앞에 생각지도 못한 방해가 들어온다.
그것은 유키에게 있어 매우 충격적인 현실이었고――

남겨진 사람들의 생각, 암약하는 수수께끼의 조직, 그리고 숨겨진 음모.
타쿠야와 유키, 완전히 남남이었던 두 사람은,
여행 속에서 인연을 쌓아가며 소멸도시의 수수께끼에 다가선다.
공식 홈페이지

4. 등장인물

해당 문서 참고.

5. 주제가

5.1. OP

OP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아베 마오
작사
작곡
편곡 akkin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미야 시게유키
연출 무로야 야스시(室谷 靖)
작화감독 히나타 마사키(日向正樹)
총 작화감독 시타야 토모유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2. ED1

ED1[2]
Swallowtail Butterfly ~あいのうた~ from 消滅都市[3]
Swallowtail Butterfly ~사랑의 노래~ from 소멸도시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유키(하나자와 카나)
작사 이와이 슌지
CHARA
코바야시 타케시(小林武史)
작곡 코바야시 타케시(小林武史)
편곡 미야자키 쿄이치(宮崎京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3. ED2

ED2[4]
With Your Breath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SPR5
(성우: 샤모토 하루카, 이와이 에미리, 스구타 히나, 오오니시 아구리, 소노야마 히카리)
작사 오오타 아야카(太田彩華)
슌류(俊龍)
작곡 슌류(俊龍)
편곡 야마구치 타카시(山口高始)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모리 히로키(森 洸貴)
미야 시게유키
연출 모리 히로키(森 洸貴)
작화감독 시타야 토모유키
히나타 마사키(日向正樹)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4. ED3

ED3[5]
Hello, Again 〜昔からある場所〜 from 消滅都市
Hello, Again ~옛날부터 있던 장소~ from 소멸도시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유키(하나자와 카나)
작사 코바야시 타케시(小林武史)
작곡 후지이 켄지(藤井謙二)
코바야시 타케시(小林武史)
편곡 fu mou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 회차 목록

  • 전화 각본: 이리에 신고(入江信吾)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6]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01 消滅
소멸
미야 시게유키 무로야 야스시
(室谷 靖)
오나가 쿠미코
(翁長くみこ)
시타야 토모유키
히나타 마사키
(日向正樹)
日: 2019.04.07.
韓: 2019.04.10.
#02 犠牲
희생
키타가와 토모야 김희강
김대훈
히나타 마사키
시타야 토모유키
日: 2019.04.14.
韓: 2019.04.17.
#03 記憶
기억
미나미카와 타츠마
미야 시게유키
사이토 이타루
(齊藤 格)
나카오 타카유키
(中尾高之)
마루 히데오
(丸 英男)
시타야 토모유키
히나타 마사키
日: 2019.04.21.
韓: 2019.04.24.
#04 疑惑
의혹
타카무라 유타
(高村雄太)
미요시 카즈야
(三好和也)
코바야시 아케미
히나타 마사키 日: 2019.04.28.
韓: 2019.05.01.
#05 情愛
애정
키타가와 토모야 사사키 타츠야
(佐々木達也)
김수호
황영식
시타야 토모유키
히나타 마사키
日: 2019.05.05.
韓: 2019.05.08.
#06 訣別
결별
미야 시게유키 마츠무라 마사키
(松村政輝)
무로야 야스시
오나가 쿠미코
나카오 타카유키
노다 토모미
(野田友美)
미야마에 신이치
(宮前真一)
무로야마 쇼코
(室山祥子)
히나타 마사키 日: 2019.05.12.
韓: 2019.05.15.
#07 後悔
후회
사야마 키요코 시라이시 미치타
(白石道太)
오바타 켄
(小畑 賢)
히키모토 아츠코
(挽本敦子)
키리타니 마사키
(桐谷真咲)
시타야 토모유키
히나타 마사키
日: 2019.05.19.
韓: 2019.05.22.
#08 選択
선택
게시 타카히로
(下司泰弘)
키타가와 토모야 미요시 카즈야
미야마에 신이치
사이토 이타루
코바야시 아케미
히나타 마사키 日: 2019.05.26.
韓: 2019.05.29.
#09 運命
운명
요시카와 히로아키
(吉川博明)
니시하타 유키
(西畑佑紀)
김희강
권용상
시타야 토모유키
히나타 마사키
日: 2019.06.02.
韓: 2016.06.05.
#10 決断
결단
사야마 키요코 사사키 타츠야 황영식
김윤정
이은정
이동익
이정권
황미정
히나타 마사키 日: 2019.06.09.
韓: 2019.06.12.
#11 信頼
신뢰
미야 시게유키 토노카츠 히데키
(殿勝秀樹)
나카오 타카유키
무로야마 쇼코
오나가 쿠미코
노다 토모미
시타야 토모유키 日: 2019.06.16.
韓: 2019.06.19.
#12 未来
미래
마츠무라 마사키
무로야 야스시
아베 준코
(阿部純子)
사이토 이타루
미요시 카즈야
미야마에 신이치
오바타 켄
히나타 마사키 日: 2019.06.23.
韓: 2019.06.26.

7. 평가

평가는 매우 좋지 않다. 캐릭터 디자인만은 천재 애니메이터 시타야 토모유키가 그려내 원작 이상으로 미려해져 호평을 받았으나 나머지 부분이 전부 수준 미달이라는 혹평이 우세하다.

우선 원작 팬들은 원작과 상당히 달라진 스토리 전개에 불호를 보내는 비중이 많으며, 애니메이션으로 접한 시청자들도 전반적인 세계관 설명이 부족하고 내용에 매력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등 비판하고 있다. 특히 1쿨이라는 한정된 분량 안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너무 많은 관계로, 한 화마다 대량으로 등장하고 대량으로 빠지는 식으로 캐릭터성 어필과 활용을 전혀 못하고 있다는 것이 큰 문제로 뽑히고 있다.[7] 심지어 작화와 연출도 1화부터 불안정하며, 오프닝 영상은 본편의 영상 돌려막기, 1, 2화의 엔딩 영상은 아예 만들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아 여러모로 제작 사정이 좋지 않다는 게 눈에 띈다.

다만 원작 팬들 중에는 이런 퀄리티로 나올 거라고 예상한 사람들도 꽤 많았다. 애니메이션에서 다루기로 예정된 분량이 원작의 1부 3장까지인데, 이 3장까지의 스토리가 소멸도시 전체를 통틀어서 2번째 소멸의 초중반부와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가 전체 스토리 중에선 좋지 않은 편이었기 때문이다. 거기에 설령 좋게 평가하는 축도 이 부분만을 애니메이션화하기는 힘들다고 봤으며,[8] 비록 오프닝에 등장한 인물들만 보고 오판한 케이스도 있지만[9] 사실상 없던 드라마를 만들어내야 하는 과정에서 잡음이 안 생길 리 없다고 예상했고, 6화까지 방영된 현 시점에선 이벤트 캐릭터들의 무리한 등장 등 예측이 적중한 상황.

그래도, 본래는 메인 스토리와 아무런 연관도 없이 곁다리 이벤트로만 소모되었던 캐릭터들이 이런 식으로 스토리에 관여를 하게 된다는 점에서는 호평을 하는 사람도 있다. 제대로 풀어내지 못하고는 있다지만 본래 아무런 상관이 없던 캐릭터들을 연결시켜서 본래는 그냥 로스트 제로로 향한다는 이야기 하나 뿐이었던 내용이 꽤나 다채로워졌고, 이런저런 설정이 변경되면서 그냥 뒷설정에 불과했던 것들이 유의미한 전개로 다가오게 됐다는 점 등등 원작을 아는 시점에서는 호평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하지만 그걸 연출 등에서 말아먹었고 모르는 사람이 이해할 정도로 설명해주지도 않아서 문제인데다, 그렇게 내용을 늘린 건 좋은데 하나같이 설득력이 부족해서 왜 바꿨냐는 소리만 들었다.

결국 모바일 게임 원작 팬들과 애니 시청자들 모두에게 외면받은 실패작이 되었다. 판매량도 151장으로 대폭망. 소멸도시 0 쪽이건 Afterlost 소멸도시 쪽이건 스토리의 괴리가 너무 심각해서 홍보용으로도 제대로 호과가 있기는 한가 의심이 가는 레벨인데, 그나마 종영 후 원작이 1000만 DL을 돌파한 것을 보면 홍보 효과가 아주 없진 않았던 모양.

본편과 달리 주제가는 대체로 호평이다. 특히 오프닝 곡은 시원한 멜로디와 보컬, 그리고 노래와 가사가 전부 소멸도시의 주제를 함축적으로 잘 표현해냈다는 말이 많다.

본작의 실패로 감독 미야 시게유키는 감독 활동을 이어갈 자신을 잃었는지 한동안 연출가로만 활동했다. 감독 뿐만 아니라 하야시 마사키 프로듀서도 이 작품의 여파로 반강제로 매드하우스를 퇴사하고 여러 제작사를 전전하며 다시 제작진행을 4년간 하다가 NUT에서 불버스터로 제작 프로듀서에 복귀했다. 미야 시게유키도 5년 뒤에 괴수 8호로 감독에 복귀했다.

8. 원작과의 차이점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8.1. 전반적인 차이점

본 항목에서는 애니메이션에 나온 원작과의 명백한 변경점을 서술한다. 각 화마다의 전개의 차이점 등은 다음 항목에 서술하고, 여기선 단순한 전개의 차이가 아닌 설정 단계에서의 차이점만을 기술한다. 소멸도시 인게임 공지(애니메이션 레터) 등 공식에서 직접 언급한 차이점은 ※로 표시한다.
  • 유키의 성격이 변했다. 원작에서는 납치당한 3년 동안 온갖 실험을 당했음에도 탈출 당시부터 드라이하고 할 말은 다 하는 당돌한 성격이지만, 애니에서는 소멸에 휘말린 트라우마와 실험 후유증 등이 남아있는 탓인지 원작과 같은 시기임에도 말수가 적고 다소 어두워졌다.
  • 상술한 변경점이 반영되어 원작에서는 유키가 자신의 능력을 정확히 알고 있고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지만, 애니에서는 이제 막 능력을 발휘하는 탓인지 능력 사용을 힘겨워히고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인다. 2화의 모습을 볼 때 자기에게 이런 능력이 있는지조차 몰랐던 듯하며, 3화를 보면 혼백이 정확히 어떤 존재인지 역시 몰랐던 듯.
  • 키쿄우가 첫번째 소멸 시점인 1화에서도 연구원과 함께 행동하고 있으며, 스즈나 역시 1화에서부터 등장한다. 원작에서는 1부(첫번째 소멸)에선 아예 존재하지도 않던 인물들. ※
  • 의문의 조직이 원작에선 혼백[10]을 이용해 길을 막을 뿐이었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헬기의 기관포를 동원하는 등 무기 사용에 전혀 거리낌이 없다.
  • 원작에서 혼백을 제대로 운용하기 위해선 "스피어"라는 에너지원을 모아야 할 필요가 있었으나 애니에선 스피어가 전혀 묘사되지 않는다.[11]
  • 어째서인지 첫번째 소멸 시작시점에선 관측자라는 게 뭔지 전혀 모르고 있어야 할 연구원(에이지)이 관측자라는 개념에 대해 꽤나 자세하게 알고 있다. 에이지는 원작에서도 평행세계 관련 연구를 하고 있기는 했으나, 관측자라는 개념을 정확히 알게 된 시기는 빠르게 잡아도 1부 4장(로스트 제로 탈출 반 년 뒤)이고 확정적인 건 잃어버린 세계 진입 직전 시점(= 첫번째 소멸 완결 시점)이기 때문에 이 시점의 에이지가 알 리가 없다.
  • 애니메이션에선 혼백이 1화 시점에서 최초로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원작에서는 3년 동안 소문 수준이기는 하나 목격례도 있는 등 로스트 이후 여러 번 출현한 적이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 적으로 등장한 혼백 스즈메바치가 세뇌된 듯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원작에서 적으로 등장할 때는 적대한다고는 하나 본인의 의지를 보였던 것에 비해 여기선 누군가가 조종하는 인형과 비슷한 모습. ※
  • 등장인물들 중 원작과는 달리 로스트에 휘말리지 않은 인물이 다수 등장한다. 본래라면 폐공장의 데스 게임에 휘말려 소멸당했을 료코, 별개의 다른 사건에 휘말렸다가 소멸당했던 케이고, 그 외 요시아키와 세이지 등이 그 예시. 공식 언급에 따르면 애니메이션화를 거치며 등장인물들의 로스트 여부를 일일이 재설정했다고. ※
  • 같은 단체의 소속원임에도 원작과는 달리 등장하지 못하는 인물들도 있다. 특히 소속원 중 야요이와 코우지, 사오리가 짤린 괴적단이 대표적. 공식의 발언에 따르면 코우지는 자물쇠를 연다는 게 소멸도시의 드라마로서 살리기 어려워 뺐고, 야요이는 팬이 아니면 왜 도적단에서도 제일 튀는 그런 복장을 하고 있는지 도저히 설명할 분량이 안 나와서 뺐다고... ※ 그리고 애니메이션 레터에서조차 언급 안 된 사오리 지못미
    • 그 외에도 츠바사 관련과 기본적인 개성을 제외하면 괴도단 멤버들의 배경설정이 대폭 변경되었다.
  • 원작과 관측자의 개념이 약간 많이 다르다. 정확히 어떻게 변경되었는지는 12화 단락 참조.

8.2. 전개의 차이점

본 문단에선 설정 자체가 확 변했다거나 하는 것은 아니지만 원작과 전개 등에서 차이가 있는 부분, 혹은 이미 상술했지만 그 중에서도 세부적으로 변경된 부분(로스트 여부 등)에 대해 서술한다. 특성상 각 화마다 서술하며, 스포일러 내용이 구분 없이 적혀있으므로 주의할 것.

====# 1화 #====
  • 키쿄우, 스즈나가 등장한다. 원작에선 이 시점에 등장할 리 없는 인물들이기에 등장했을 당시 원작을 아는 사람들이 놀라게 만들었던 인선. 표면적 포지션 자체는 원작과 동일하다.
  • 코우타가 리사의 부하가 아닌 유미코의 부하로 등장한다.
  • 소우마가 아티팩트의 힘을 이용해 혼백의 힘을 다루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원작에선 소우마 자기 자신이 직접 혼백을 다뤄 싸울 수 있다.
  • 캐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실으로, 유키의 아버지의 이름이 "다이치"로 나온다. 원작에선 정확한 이름은 불명이지만 정황상 "이소야"라는 이름일 가능성이 높았다.

====# 2화 #====
  • 본래 원작에서 조직이 불러내 주인공 일행을 막는 혼백들은 주변 상황을 인식만 하지 못할 뿐이지 자아 자체는 멀쩡히 가지고 있었지만, 여기선 억지로 완전히 조종당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 원작에선 그저 타쿠야를 확보하라는 명령을 무시하고 탈출 루트를 알려주는 선에서 탐정 그룹을 배신한 셈이 되었지만, 여기선 소우마에게 당하고 빈사 상태였던 타쿠야를 확인사살하라는 조직의 명령을 무시하고 감시하고 있던 조직원을 사살한 뒤 구출하여 좀 더 확실하게 탐정 그룹과 조직을 등지는 모습을 보인다.

====# 3화 #====
로스트 여부가 달라진 인물 : 세이지
  • SPR5의 프로듀서인 에이지가 어째서 소멸이 일어나는 것을 알게 됐는지의 경위가 달라졌다. 원작에선 그 조직의 지원을 받는 상황에서 백도어를 심었다가 로스트에 대한 정보를 우연히 캐낸 것이나, 여기선 원작에선 만난 적도 없던 츠키에게 소멸에 대한 정보를 들은 것으로 묘사된다. 때문에 유아는 원작과 달리 소멸이 일어난다는 걸 모르고 있다.[12]
  • 세이지는 원작과 달리 로스트당하지 않고 현 시점까지 살아있었으나, 이후 4화에서 리서쳐가 찾아낸 정보에 따르면 의문의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본래 혼백이 연관된 사건은 "혼백이 날뛴다 → 타쿠야와 유키가 발광하는 혼백을 패서 진정시킨다 → 그 과정에서 기억을 읽고 진정시킬 방법을 찾아낸다"라는 구성이었는데, 애니메이션은 게임과 달리 무조건적으로 싸울 필요가 없기에 전투가 생략되고 이상공간을 발생시킨 혼백의 미련을 해소해 성불시키는 식으로 진행된다.
  • 유키의 폭주가 본래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훨씬 소규모로 발생했다. 본래는 1부의 4장 마지막에 일으킨 폭주로 원작의 로스트 범위를 거의 초토화시켰지만 여기선 비교적으로 그렇게 크지 않은 폭발을 일으킨 것으로 끝났다. 스즈나가 이걸 느끼고 "더 이상 바꿀 필요는 없겠다"고 중얼거린 것을 보면 이런 폭주가 발생한 외적 요인이 뭔가 있는 듯.

====# 4화 #====
로스트 여부가 달라진 인물 : 네기시 료코, 히다카 케이고, 카키자키 유우지, 요시아키
오리지널 등장인물 : 아오야마 슌페이
  • 본래는 츠바사를 찾기 위해 행방불명되었다가 혼백으로 나타남으로써 로스트당했다는 게 밝혀진 요시아키였지만, 여기서는 멀쩡히 살아있고 TV 마술쇼에 출연하는 등 원작에 버금가는 인기를 가지고 있다고 나온다. 서커스 관련 언급이 없는 걸 봐선 여기선 원작의 서커스단에 소속되지 않은 듯.
  • 료코가 살아있는 채로 등장한다. 게임마스터 관련 사건, 지하철에서의 탈출 등 원작에서 료코와 연관이 있었던 사건들은 애니메이션에선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추정. 다만 로스트와 관련된 것들을 조사해나가다 의문의 조직에 대해 물증을 잡아낸 것으로 인해 그 자리에서 부사수인 슌페이에게 암살당하여 퇴장했고, 이후 슌페이는 5화 시작 시점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고 언급된다.
  • 케이고, 유우지 역시 원작에선 지하철에서의 탈출 사건에 휘말려 소멸당한 몸이지만 여기선 멀쩡히 등장한다.
  • 원작에선 딱히 이름 같인 게 없었던 조직이 여기선 "라쿠나"라는 거대한 기업 그룹으로 등장한다. 조직 자체의 정체가 변경된 것인지 조직의 주 활동 노드로 만들어진 것 뿐인지는 아직 불명.

====# 5화 #====
로스트 여부가 달라진 인물 : 괴도단
  • 괴도단 역시 단장인 츠바사가 실종된 것으로 나올 뿐 전원 소멸당하지 않은 것으로 나온다. 여기선 단장이 로스트 이후 실종된 만큼 독자적으로 아티팩트를 모으고 있다. 다만 상술했듯 단원들 중 거의 절반 정도가 잘려나갔고, 단원들이 전반적으로 병풍이거나 개성이 확 죽었다.
  • 츠바사가 츠키, 타이요와 안면이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애니메이션에서 츠키의 등에 남아있는 커다란 흉터를 만들어낸 장본인. 원작에서는 조직과 악연이 있기는 했어도 이렇게 직접 대면한 적은 없었기에, 이 쪽에서 조직과 약간 연이 더 깊은 듯.

====# 6화 #====
로스트 여부가 달라진 인물 : 없음
  • 희망의 빛 고아원이 인체실험을 시작했던 시기가 원작에 비해 훨씬 빨랐던 것으로 묘사된다. 원작에서도 요시아키와 츠바사가 희망의 빛 고아원에 있기는 했지만 당시에도 인체실험을 하고 있었다는 언급은 없었다. 또한 요시아키를 남겨두고 고아원을 떠난 이유도 원작에선 자신의 능력이 조직의 정보망에 발각되어 동생마저 망에 걸리는 걸 피하기 위해 떠난 것이었지만 여기선 더 이상 아티팩트로 인한 실험이 일어나지 않도록 세상에 존재하는 아티팩트들을 전부 없애 요시아키가 더이상 실험에 이용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
  • 어쩌다 로스트당했는지 정확히 묘사되지 않았던 원작과 달리 츠바사가 로스트에 휘말린 과정이 상세히 묘사된다. 다만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일 가능성이 높으며, 원작에서는 소멸도시0의 Eraser 시리즈가 공개되고 있는 현재까지도 불명.

====# 7화 #====
로스트 여부가 달라진 인물 : 젠시로
  • 아예 공식적으로 고아원으로서 등록조차 되어있지 않고 연구기관으로 등록되어 있었던 곳이었지만 여기선 명목상으론 멀쩡한 고아원인 것으로 나온다.
  • 애니메이션 레터에서 밝힌 대로 원작의 "지키지 못한 약속" 에피소드를 대부분 따라가나, 고아원 아이들이 절반 이상 잘려나간 것은 둘째치고 희대의 흑막이었던 조직원 히나코가 여기선 이 고아원에서 오랫동안 살아오며 원장 젠시로의 말을 계속 따라왔을 뿐 본인이 진심으로 작중에서 말하는 사상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묘사된다. 이상공간의 중심이 히나코라는 건 그대로지만 최종보스 포지션에서는 내려오고 3화처럼 성불시킬 대상으로 선정.
  • 아이들이 당했던 인체실험이 원작의 수명을 극단적으로 단축시키는 극약에서 아티팩트와의 동조 및 이를 위한 투약으로 변경되었다. 그게 그것이긴 하나 적어도 원작에 비해서 수명의 단축폭이 짧아졌을 것이라는 게 다행.
  • 젠시로는 유키의 인체실험에 참여한 인물 중 한 명이다. 즉 로스트당하지 않았고 최소한 3년 전부터 현재까지 중 어느 시점까지는 조직원으로써 살아있다. 고아원 운영을 위해 조직의 지원을 받기 시작하다 타락했던 원작의 원장과는 달리 조직과 훨씬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 8화 #====
  • 그냥 입막음을 당하지 않고 살아있었을 뿐 젠시로 자체는 원작과 똑같다. 고아원을 운용했던 경험 때문인지 아직 살아서 라쿠나 밑에서 일했을 뿐. 다만 혼백이 아니기 때문에 전투력은 전무하다.
  • 원작에선 이미 죽었던 시체를 혼백의 힘으로 되살려 부려먹혔던 소우마지만 여기서는 일단 생명체로써 살아는 있는 것으로 나온다. 다만 원작에서도 시체를 되살렸다는 말만 나오지 좀비처런 부린 건가 정말로 소생시킨 건가는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정말로 달라진 것인지는 의문점.
  • 요시아키의 방송과 긱의 인터넷 방송을 통해 라쿠나 그룹의 인체실험에 대한 실태를 널리 알리고자 시도한 건 완벽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원작에선 본래부터 공적인 조직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렇게 쉽게 본거지를 찾아내는 것도 이런 방식으로 타격을 입히는 것도 불가능했고, 설령 이런 방식으로도 타격을 입힐 수 있다 한들 이를 실행할 수 있게 한 장본인인 요시아키 자체가 원작과의 차이가 제일 큰 인물 중 하나다.
  • 소우마 붕괴체가 가진 힘이 이전의 로스트보다 더욱 강하다고 묘사된다. 로스트 자체의 규모도 다르기는 하나, 원작에서도 붕괴체가 강한 힘을 발산했던 건 맞지만 이 정도로 강하진 않았다. 작중에 등장하는 소우마 붕괴체는 원작에선 츠키 붕괴체 정도는 되어야 나왔던 화력.

====# 9화 #====
오리지널 등장인물 : 다이치, 미후유
  • 원작의 "에피소드 제로"에 해당하는 내용이나, 아티팩트 및 이를 연구하던 동료 연구원들은 전부 삭제되고 연구원 중에선 다이치와 에이지 둘만이 등장한다. 로스트 당시에 있던 일을 다룬다는 것만 똑같고 세부 내용, 다루는 시점 역시 완전히 다르다.
  • 유키의 아버지인 다이치가 잃어버린 세계 측에서 건너온 인물이 되었다. 원작에선 그냥 평행세계 관련 연구를 했던 연구원이라는 것과 이소야 레포트를 작성한 장본인이라는 것 외엔 상세한 설정이 없던 인물. 심지어 이름조차도 원작에선 이소야라는 이름일 가능성이 높을 뿐 공식적으로는 불명이었다. 그 외에 원작에선 언급만 될 뿐 직접적 등장이나 이름 등의 언급이 전혀 없었던 유키의 어머니가 미후유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다만 공식적으로는 둘 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로 취급하는 모양. ※
  • 잃어버린 세계 측에서 건너온 존재가 츠키, 타이요, 다이치 단 3명밖에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타이요가 완전히 긍정하지도 부정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긴가 등을 포함해 다른 사람들이 정말로 건너오지 못한 것인지는 확언할 수 없지만... 반면 원작에선 정확히 언급되진 않으나, 적어도 셋보다는 더 많은 인물이 건너왔었고 거기에 츠키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거기에 단순히 혼백만 날아와서 원래 있던 사람의 몸을 강탈한 것이었던 원작과는 달리 본인이 직접 넘어오는 데 성공한 모양.
  • 로스트를 일으키기 위해 평행세계 포탈 시작품을 폭주시키는 방법이 달라졌다. 원작에선 연구용으로 시범가동 중이던 포탈에 제로라는 안드로이드를 보내 폭주시킨 것이 본작의 로스트가 발생한 과정(에피소드 제로[13])이었지만, 애니메이션에선 의문의 조직원들이 실험기기를 물리적으로 해킹해 다이치가 걸어두었던 안전장치를 풀고 폭주시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타이요가 진심으로 잃어버린 세계를 구하기 위해 이런 짓을 벌이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묘사가 있다. 원작에서나 애니메이션에서나 속을 알 수 없는 인물이라 이게 전부 연기일 가능성도 크지만, 사실상 진짜 목적을 위해 이용할 뿐 잃어버린 세계의 구원 자체엔 아예 신경을 안 쓰는 수준이었던 원작과는 달리 그래도 표면적으로는 그렇게 보이도록 하는 모양.
  • 핵심 내용인 "노아 계획"만큼은 원작과 거의 동일하다. 하지만 여기선 혼백으로써 넘어와 이 쪽에 존재하던 평행세계의 다른 인간의 몸을 강탈하는 방식이 아니라, 원래의 몸 그대로 통짜로 통과해 들어오는 걸 목표로 하는 모양.

====# 10화 #====
  • 원작에서 에이지 일행이 로스트를 향하는 이유는 거의 모든 진상을 알고서 로스트 그 자체를 없애기 위해 가는 것이었으나, 애니메이션에선 그런 거창한 것이 아니라 그저 다이치가 남긴 메시지 때문에 유키가 뭔가 가야 할 이유가 있다 생각하고 가는 것에 불과했다. 다이치가 로스트의 확장을 억누르고 있어 로스트의 확장 속도가 지금처럼 느리다는 것조차 파악하지 못한 상태. 그래도 로스트 내부의 위험성(특히 파동성 물질)에 대해 에이지와 키쿄우는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지만 유키 쪽은 말 그대로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다. 전부 파악한 채 타쿠야에게 중요한 걸 숨기고 동행하면서 죄책감까지 가졌던 것과는 대조적.
  • 애니메이션에서나 원작에서나 츠키가 타이요의 의사로 본래 모습을 잃게 되는 것은 동일하나, 츠키 본인이 본심은 다를지언정 어쩔 수 없이 각오까지 해가며 스스로 폭주하는 걸 자원했던 원작과는 달리 여기서는 실험체로 자원하기는 했지만 결과가 무사히 나오면 끝날 것이란 기대와는 달리 타이요가 일부러 폭주시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어느 쪽이건 타이요가 츠키의 안위는 거의 도외시했다는 점은 똑같다.
  • 이런저런 사유로 여러 사이드스토리/이벤트스토리로 빠지는 일은 많았지만, 10화에서 묘사된 수준으로 저렇게 오랫동안 일상을 보낼 수 있을 시간은 원작에선 없었다.

====# 11화 #====
  • 스즈나가 가진 관측의 힘이 원작과 좀 다르게 묘사된다. 원작에선 가능성 그 자체를 관찰하기만 하는 힘이 아니라 자신이 관측한 세계를 구현할 수 있는 대신, 사용할 때 막대한 부담이 걸렸었다. 그 외에도 여기선 인체실험으로 인해 희생된 자기 친구들의 원수를 갚기 위해 조직 밑에서 일하며 타이요를 사살할 기회를 만들기 위해 암약해왔던 것이 드러난다. 3화에서 유키의 폭주에 대해 그런 반응을 보였던 이유.
    • 새삼스럽지만 원작과는 조직 내 지위 외엔 아무런 공통점도 없다. 그나마 유일하게 유지된 것이라고는 "(타쿠야와)[14]유키를 지키고자 하는 마음" 하나 뿐. ※
  • 괴도단+요시아키가 타쿠야 일행의 앞길을 열기 위해 길목을 지키고 있던 조직원들을 습격하는 둥 타쿠야 일행을 본의로 도와주러 온다. 원작에선 이용해먹기 위해서라면 몰라도 이렇게 진심으로 도와줄 녀석들이 아니다(..) 그래도 여기선 라쿠나가 츠바사의 원수이기 때문에 악연밖에 없던 원작과는 다르게 협력할 동기가 충분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 파동성 물질의 영향으로 인해 타쿠야와 유키가 심각한 환각과 기억상실 증상을 겪는다는 묘사는 동일하나, 평행세계에서의 기억이 흘러들어와 기존 기억을 덮어씌우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었던 원작과는 달리 여기선 그저 기억장애만 일으키는 것으로 묘사된다.

====# 12화 #====
  • 원작과 "관측자"의 개념이 약간 다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코펜하겐 해석슈뢰딩거의 고양이 등에서 설명하는 관측자의 역할으로서 자신이 관측할 수 있는 가능성들 중 하나를 현실으로 확정시킬 수 있는 존재를 의미하나, 원작에서는 "더욱 높은 차원에서 작품의 무대를 관측하고 간섭할 수 있는 존재"를 의미하며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는 플레이어 역시 그 중 하나로써 타쿠야를 통해 개입하고 있다는 설정. 아무래도 플레이어라는 개념 자체를 다루다보니 애니메이션에선 도저히 살릴래야 살릴 수 없었던 모양.
    • 특히 원작과의 제일 큰 차이점으로, 여기선 유키가 관측자라는 설정. 잃어버린 세계 출신과 현 세계 출신 사이의 혼혈이라 관측자로써의 힘을 가지게 된 듯.
    • 다이치가 유키를 불러들인 이유 역시 변경되었는데, 여기선 유키가 관측자로써 로스트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가능성을 골라 모두가 생환하는 세계로 되돌리도록 하기 위해 불렀다. 원작은 폭주하는 로스트를 막고, 이후 일어날 일이 담긴 ISOYA 레포트를 건네어 앞으로 다가올 멸망을 막기 위해 불렀던 것. 거기에 원작에선 계속 버텨가면서도 붕괴해가다가 결국 코어로 전락하여 유키의 손에 최후를 맞이했는데, 여기선 거의 자아를 잃기는 커녕 오히려 마지막에 본인의 생전 모습까지 일시적이지만 되찾을 정도로 자기 자신을 유지하고 있었다.
  • 최종보스 역 역시 폭주하는 다이치에서 타이요우로 변경되었다. 원작의 타이요우를 생각하면 상상할 수 없게도, 여기선 진짜로 평행세계의 동포들을 위해왔던 것으로 그려진다.
  • 1부 3장까지의 사건 종료 후 은둔 생활에 들어갔다가 1년 후 ISOYA 레포트에 적힌 대로 멸망을 막기 위해(이런 자세한 사정은 리사밖에는 몰랐지만) 다시 출발하게 되는 원작과는 달리 여기선 로스트에서 탈출한 후 유키는 이번 사건 동안 있던 모든 기억을 잃고 타쿠야는 지인들에게 자기 행적을 알리지 않고 행방불명된 것으로 나온다. 후속작이 나올 여지는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


[1] 이 점 때문에 오프닝이 공개된 시점에서부터 애니메이션 자체에 기대하지 않는 팬이 많았다. 첫번째 소멸 4장부터는 스토리 자체가 상당히 복잡해지는데, 2번째 소멸(3부)의 등장인물이 오프닝에 등장한 걸 두고 3부까지 진행할 거라 추측하고선 이걸 아무리 축약한다 하더라도 12화 내에 원작의 3부까지를 소화한다는 건 말도 안 된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 그리고 저 등장인물들은 당당히 첫 화부터 등장해 이런 예측에 물을 먹였다.[2] 1, 2화 사용.[3]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의 주제가를 커버했다.[4] 3~7화, 9~11화 사용.[5] 8, 12화 사용[6]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7] 모바일 게임을 애니화할 때의 단점으로 주로 꼽히는 것이기도 하다. 게임 운영측에서는 게임을 오래 이어나가기 위해 장황하게 스토리를 풀어나가다보니 스토리가 너무 커지거나 게임 상의 허용 때문에 작위적인 설정이 나오는데, 이를 토대로 애니메이션으로 만들때는 게임 속의 요소를 대거 쳐내야하다보니 재미가 줄어들 수 밖에 없다. 다만 본 애니메이션에서 다루는 범위 중 초기 서비스 이후 추가된 분량은 SPR5와 고아원 뿐인데, 이들은 전부 본작에서 다루는 1부 1~3장에 본래부터 포함되어 있던 내용이라 상술할 단점이 본래라면 적용되지 않았어야 할 부분이라는 것이 이 애니메이션의 평가를 더욱 낮추는 요소.[8] 1장부터 3장까지의 모든 이야기는 타쿠야와 유키가 조직의 방해를 뿌리치고 도시를 스쿠터로 달리며 로스트를 향한다, 라는 간단하다 못해 허무한 구성이다. 등장하는 지역도 사실상 그냥 도로 뿐이고 그나마 배경이 다양한 사이드스토리들은 메인스토리와는 아예 관계가 없는 딴 길로 새는 내용이다보니 도저히 1쿨 동안 계속해서 다룰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한 내용은 아닌데, 사이드스토리들을 선별해 담기에는 이번엔 사이드스토리가 굉장히 많아서 역으로 1쿨으로 다 담아낼 수가 없다. 결국 후술하겠지만 그 중 극히 일부를 약간 설정을 바꿔서 투입했고, 그 결과는...[9] 상술했듯 키쿄우, 스즈나 둘은 본래 2번째 소멸에 가서야 등장하는 인물이며, 1부에서는 등장은 커녕 존재 자체가 확인되지 않았던 인물이다. 더욱이 이 둘 모두 2부의 핵심 캐릭터들이기에 대체 원작과 어떤 변곡점을 만들어낼 것인지 우려하는 사람이 많았다. 결국 끝까지 들어가보니 그런 거 없었지만.[10] 애니플러스의 번역. 원어는 タマシイ.[11] 어디까지나 게임상 요소이기에 애니메이션에서 재현할 필요가 없는 요소이기는 하다. 실제로 애니메이션 레터 Vol.1에선 애니메이션과 게임의 차이에 대해 언급하면서 고생했다고 하는데 그 중 하나로 추정.[12] 원작에선 저런 정보를 입수하고 좌절한 에이지가 자포자기하며 이야기한 걸 특유의 통찰력으로 사실이라고 알아차렸지만, 여기선 에이지와 츠키가 이야기하던 걸 문 너머로 절반만 들어서 3개월 후 사라질 예정이라는 것까지만 알지 상세한 상황은 전혀 모른다.[13] 당시 현장에 있던 연구원들이 같이 연구하고 있던 아티팩트의 힘을 깨우는 것으로, 본래는 도시 대부분이 날아갈 정도로 소멸당해야 할 것이 본작 수준으로 줄어들었다.[14] 수많은 가능성의 미래를 볼 수 있는 만큼 제작진은 스즈나가 소멸도시 원작의 세계관까지 관측한 적이 있지 않을까 상정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게 아니면 애니메이션에서 유키는 그렇다치고 타쿠야까지 진심으로 구하려고 할 동기가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