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19:50:56

소니 픽처스/작품/2017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소니 픽처스/작품
1. 주요 배급 작품별 성과2. 작품 목록

1. 주요 배급 작품별 성과

1월에는 언더월드: 블러드 워가 3500만 달러의 제작비로 8000만 달러를 벌면서 본전치기에는 성공했고, 레지던트 이블: 파멸의 날이 4000만 달러를 들여서 3억 달러를 돌파하는 대흥행을 기록하며 매우 좋은 출발을 했다.

3월에 개봉한 트레인스포팅의 속편 T2: 트레인스포팅은 북미에선 제한개봉이였지만, 애초에 영국시장을 노린 영화라 1800만 달러 제작비로 41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흥행에 성공, 평가도 준수하다. 라이프는 호불호가 갈리긴 해도 보통수준의 평가를 받았으나, 5800만 달러의 제작비로 간신히 1억 달러를 넘겨 흥행 실패. 5월엔 상영작이 없으며, 6월은 레이디스 나잇이 2000만 달러의 제작비로 47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본전치기는 했고, 에드가 라이트 감독의 신작 베이비 드라이버는 매우 좋은 평가와 함께 3400만 달러를 들여서 2억 2000만 달러를 벌어들이는 등 제작비 대비 쏠쏠한 흥행 성적을 냈다.

7월에 개봉한 마블 스튜디오와 합작 스파이더맨: 홈커밍은 2017년 배급 작품 중 최대 제작비[1]인 1억 7500만 달러를 들여 기대했던 만큼 흥행(8억 8천만 달러)에는 성공하였으나, 8월에 개봉한 다크 타워: 희망의 탑이 처참한 평가와 함께 6000만 달러의 제작비로 1억 10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제대로 망했다.

9월은 플랫라이너가 괴작취급을 받았지만, 1900만 달러로 4900만 달러를 벌면서 본전치기 이상 수익은 거뒀다. 저예산 영화 마크 펠트는 제한 개봉이라 수익은 못거뒀는데 평가도 그리 좋진 못하다.

10월과 11월은 평가는 좋은데 흥행은 좋지 못한 두달이였다. 10월의 경우 고전의 35년만의 귀환이자, 리들리 스콧, 드니 빌뇌브의 합작으로 주목받은 블레이드 러너 2049걸작이라는 세계적인 찬사에도 불구하고 흥행이 처참하게 망했다. 제작비 1억 5000만 달러에 월드와이드 2억 5000만 달러로 손익분기점은 3억 3000만 달러로 발표되었는데, 결국 8000만 달러의 순 적자를 봤다. 블록버스터임에도 높은 진입 장벽과 낮은 대중성 때문으로 보인다. 그리고 실화 기반의 재난 영화 온리 더 브레이브가 극찬을 받으며 개봉했으나 3800만 달러 제작비로 2500만 달러밖에 못벌어서 또 쪽박을 쳤다.

11월에는 로먼 J. 이즈레일이 개봉해 제작비 2200만 달러로 1300만 달러를 벌며 제작비도 못건진 쪽박을 쳤지만, 저예산 독립 영화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이 대호평을 받으면서 아카데미 작품상에 노미네이트되는 쾌거를 이루고 46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면서 수작이상의 작품만 줄줄이 나오던 10월, 11월 작품 중 유일하게 흥행에 성공했다.

연말에 쥬만지: 새로운 세계가 9000만 달러의 제작비로 북미에서는 4억 달러로 평가도 무난하고, 해외까지 포함해서 9억 달러를 버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소니에게 두번째 북미 4억달러 돌파작이다.[2] 그리고 역대 소니 픽쳐스 흥행 3위는 덤. 그리고 똑같이 연말에 아카데미 시즌을 노린 리들리 스콧 감독의 올 더 머니가 수작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나, 제작비 5000만 달러로 5800만 달러를 벌며 흥행에는 실패했다. 그래도 쥬만지가 번 돈이 매우 커서 한해 농사는 잘 마무리 지었다.

반면 애니메이션 쪽은 4월에 개봉한 스머프: 비밀의 숲이 6000만 달러의 제작비로 1억 9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본전치기를 넘었으나, 7월에 개봉한 이모티: 더 무비가 5000만 달러로 2억 1000만 달러를 벌며 의외의 흥행 성적을 냈어도 펑가가 처참할 정도로 나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작품 목록

<rowcolor=#ffffff> 제목 미국 상영 대한민국 상영
<rowcolor=#ffffff> 개봉일 배급사 제공사 제작사 개봉일 수입사 배급사
언더월드: 블러드 워 스크린 젬스
레지던트 이블: 파멸의 날 스크린 젬스
T2: 트레인스포팅 트라이스타 픽처스
라이프
스머프: 비밀의 숲
레이디스 나잇
베이비 드라이버 트라이스타 픽처스
스파이더맨: 홈커밍
이모티: 더 무비
다크 타워: 희망의 탑
플랫라이너
마크 펠트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블레이드 러너 2049 콜럼비아 픽처스
워너 브라더스
원더우먼 스토리 스크린 젬스
온리 더 브레이브
로먼 J. 이즈레일 에스콰이어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쥬만지: 새로운 세계
올 더 머니 트라이스타 픽처스
STX 엔터테인먼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다만 스파이더맨 실사 영화 작품 중에서는 두번째로 적은 제작비이다.[2] 첫 4억 달러 돌파작은 스파이더맨 1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