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2:51:25

세계동물보건기구

세계동물보건기구
世界動物保健機構
World Organization for Animal Health (WOAH)[1]
파일:WOAH.jpg
<colbgcolor=#EAE3D4><colcolor=#fff> 설립 1924년 1월 25일
본부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파리
가입국 183개국
목표 To improve animal health globally, thereby ensuring a better future for all
전 세계적으로 동물의 건강을 개선하여 모두에게 더 나은 미래를 보장
총재 Monique Eloit(7대)
(2016년 1월 1일 ~ 현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조직4. 활동
4.1. One Health 프로젝트#
4.1.1. One Health 개념4.1.2. One Health 접근 방식을 통한 팬데믹 예방, 대비 및 대응4.1.3. One Health 5개년 계획(2022년~2026년)4.1.4. OHHLEP (One Health High-Level Expert Panel)#4.1.5. One Health 프로젝트의 전망
4.2. 세계동물건강정보시스템(WAHIS: World Animal Health Information System)#
4.2.1. WAHIS 조기 경보 시스템4.2.2. 야생동물 질병 모니터링(WAHIS-Wild)4.2.3. WAHIS의 주요 성과와 중요성
4.3. 동물 질병의 세계적인 부담 (GBADs : Global Burden of Animal Diseases)#4.4. PVS Pathway (Performance of Veterinary Services Pathway)#4.5. Rabies Elimination Project (광견병 근절 프로젝트)#
4.5.1. 인도네시아4.5.2. 태국4.5.3. 브라질4.5.4. 아프리카 국가들
5. 역대 사무총장6. 전망
6.1. 지속가능6.2. 국제적 협력6.3. 기술의 적용
7. 비판
7.1. One Health 접근법의 한계7.2. 자원과 재정의 제한7.3. 정보 접근성과 투명성 부족
8. 대한민국과의 관계

[clearfix]

1. 개요

세계동물보건기구(), 약칭 WOAH(World Organization for Animal Health), 이전 명칭 OIE(프랑스어:Office international des épizooties)는
세계적인 가축 위생의 향상과 동물 복지의 증진을 위해 설립된 국제 기구이다.

1924년 1월 25일 28개국이 서명한 국제 협정을 토대로 프랑스 파리에 설립되었으며,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의 설립과 동시에 '위생식물검역조치 적용에 관한 협정(SPS협정)'이 발효되면서, OIE(WOAH)가 동물검역에 관한 국제기준을 수립하는 국제기관으로 공인되었다.

2024년 현재 183개 회원국이 가입해 있다.

WOAH는 UN시스템에 속하지 않으며, 자체 규정에 따라 운영된다.

WOAH는 국제적 동물 및 축산물 교역 표준 규범인 '동물위생규약'과 '가축전염병 진단 및 백신 매뉴얼'의 제정 및 개정을 담당하고 있다.

2. 역사

  • 1924년, 우역바이러스[2]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1924년 1월 25일, 28개국은 "국제 협정"을 체결하였다.

    • 파리에 본부를 둔 국제 전염병 퇴치 사무국(OIE)을 창설하는 1924년 협정의 비준은 국제 연맹 사무총장이 밝힌 바를 반영한 것이다.
  • 1927년 3월 8일, 국제 사무국 위원회는 첫 번째 총회를 열었다. 의회는 벨기에 대표인 드 루(De Roo) 경감을 감사원장으로 선출하였고, 르클랭슈(Leclainche) 교수가 사무국의 첫 번째 국장으로 임명되었다.
  • 1928년 1월 30일, 제1차 회의가 제네바에서 열렸다. 8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이 회의는 국제 위생 경찰[3]의 기초를 확립했다.
  • 1929년, 총회 기간 동안 OIE 위원회는 "행정 및 통제를 위한 상설 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이 위원회는 나중에 OIE 행정 위원회가 되었다.
  • 2003년, 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 (WOAH)로 기구명을 변경하였으나, 역사성을 고려하여 계속 OIE를 약칭으로 사용했다.
  • 2022년, OIE 명칭 사용을 중단하고, WOAH만 사용한다.
  • 2024년,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3. 조직

WOAH는 세계무역기구(WTO)에 의해 참조 기관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2022년에 총 183개의 회원국으로 집계되었다. 45개의 다른 국제 및 지역 조직과 영구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모든 대륙에 지역 및 하위 지역 사무소를 가지고 있다.
유엔(UN) 소속이 아니며, 자치권은 제도적이고 재정적이며 활동은 자체 헌법에 의해 통제된다. 파리에서 열린 첫 번째 총회 이후, 계약국 정부의 대표들로 구성된 위원회의 권한으로 업무를 수행한다.


위원회는 기술적, 행정적 문제, 특히 의회에 제출될 실무 프로그램과 제안된 예산을 검토하기 위해 파리에서 일 년에 두 번 이상 만난다.
협의회는 세계 대의원 총회 의장, 사무총장, 부사무총장, 전 사무총장 및 모든 지역을 대표하는 6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된다.

본부(파리)에 사무총장실, 행정지원국, 동물위생정보국, 과학기술국, 국제교역국, 지역활동국을 두고 있다.

지역 대표부 및 준지역 대표부 11개소를 두고 있다: 아프리카(4), 아메리카(2), 아시아태평양(2), 유럽(2), 중동(1)

전문가 특별위원회(육상동물위생규약, 과학, 생물학적 표준, 수생동물)와 워킹그룹(동물복지, 야생동물, 식품안전) 및 다수의 전문가 ad hoc Group을 두고 있다.

WOAH 국제표준 실험실과 협력센터를 두고 있다.

4. 활동

4.1. One Health 프로젝트#

4.1.1. One Health 개념

“One Health”는 ‘한 건강’ 이라는 뜻으로 인간, 동물 및 환경은 상호 의존적이며, 이들의 건강이 하나의 생태계에 묶여 있다는 개념이다. 여기서 ’동물‘은 가축부터 야생동물까지 모든 동물을 포함하고, ‘인간’은 우리를 의미한다. ‘환경’은 우리가 살고 있는 자연 환경을 가리킨다. 이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따라 발생하는 질병, 환경의 변화들을 연구하는 것이 One Health 프로젝트이다. 인수공통전염병[4][5]의 예방, 준비 및 대응을 갖출 때 자주 사용된다.
코로나바이러스 이후로 One Health에 대한 개념은 더욱 강조되었다.

4.1.2. One Health 접근 방식을 통한 팬데믹 예방, 대비 및 대응

2022년, WOAH는 팬데믹 예방, 대비 및 대응 분야의 주요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팬데믹 관련 원 헬스(One Health)[6] 공동 행동 계획; 유엔식량농업기구,유엔환경계획,세계보건기구,WOAH가 건강 위협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도록 서로 협력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22년 10월부터 건강 위협에 대한 국제적 조치가 강화되었다.

4.1.3. One Health 5개년 계획(2022년~2026년)

총 6개의 분야에 초점을 맞췄다. 6개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의료 시스템 복원력을 위한 역량
  • 동물성 전염병과 유행병의 출현과 재유행
  • 토착 동물성 질병, 그리고 방치된 열대성 및 매개체 매개의 질병
  • 식품 안전 위험
  • 항생제 내성
  • 환경

이 분야들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각각의 문제들과 동물의 건강 및 복지 사이의 강한 연관성을 알 수 있다. 동물들은 질병의 매개체가 될 수 있고 식품 안전 문제의 중심에 있지만,

또한 인간의 건강에 크게 기여한다. 이 계획은 인간의 건강을 보장하는 것은 동물의 건강을 보장하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개념을 갖고 있다.

4.1.4. OHHLEP (One Health High-Level Expert Panel)#

OHHLEP (One Health High-Level Expert Panel)는 세계보건기구(WHO), 세계동물보건기구(WOAH),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설립한 전문가 패널이다. 이 패널은 One Health 접근 방식을 적용하여 동물, 인간, 환경의 건강을 통합적으로 다루고, 새로운 전염병의 발생을 예방하고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OHHLEP는 COVID-19 팬데믹을 포함한 최근의 글로벌 보건 위기를 배경으로 설립되었다. 팬데믹은 동물과 인간, 환경의 상호 작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않고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음을 보여주었는데, 이에 따라 국제기구들은 협력하여 One Health 접근 방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였다.

OHHLEP는 항생제 내성(AMR) 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동물 사육 과정에서 사용되는 항생제의 양과 종류를 조사하고, 항생제 내성균의 발생과 확산 경로를 연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농부와 수의사들에게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법을 교육하고 대중을 대상으로 항생제 내성의 위험을 알리는 캠페인도 진행중이다.

4.1.5. One Health 프로젝트의 전망

One Health 프로젝트는 코로나바이러스 이후로 많은 경험을 얻었는데, 이는 건강 비상사태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와 시스템에 대한 취약성과 불충분한 투자를 드러냈다.

One Health 프로젝트는 국가, 국제 파트너 및 비정부 기구 및 학계에 대한 지침 및 기술 지원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는데, 이는 국가에 걸쳐 협력을 촉진하는 동시에 지역 사회가 해결책을 찾고 건강 위협에 대한 예방, 대비 및 대응을 위한 새로운 도구와 기술을 개발하도록 참여시킨다. 또한 국제 사회가 미래의 건강 위협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도록 지원하는 도구이기도 하다. 국제 건강 안보는 공공재이므로 지역, 지역 및 국가 수준의 투자가 필요하다.

4.2. 세계동물건강정보시스템(WAHIS: World Animal Health Information System)#

세계 동물 보건 정보 시스템(WAHIS)은 세계동물보건기구(WOAH)가 운영하는 중요한 글로벌 정보 시스템이다. WAHIS의 주요 목적은 동물 질병의 발생과 확산을 모니터링하고, 관련 데이터를 수집, 분석, 공유함으로써 국제 사회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WAHIS는 WOAH의 회원국들로부터 동물 질병 발생 정보를 수집한다. 각국의 농업부나 보건 당국이 자국 내에서 발생한 동물 질병을 보고하면, 이 정보는 WAHIS 시스템에 입력된다. 보고 내용에는 질병의 종류, 발생 위치, 발병 규모, 그리고 그에 대한 대응 조치 등이 포함된다. 이 과정은 질병 발생을 추적하고, 그 확산을 막는 데 매우 중요하다. 수집된 데이터는 단순히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석 과정을 거친다. WAHIS는 질병의 발생 원인, 전파 경로, 확산 패턴 등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다른 지역으로 어떻게 퍼졌는지, 어떤 동물들이 가장 취약한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런 분석을 통해 각국은 더 나은 예방 및 통제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

WAHIS는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이를 통해 전 세계의 수의사, 농부, 정책 결정자, 연구자, 그리고 일반 대중이 최신 질병 정보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WAHIS는 주기적으로 보고서를 발행해 질병 발생 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4.2.1. WAHIS 조기 경보 시스템

특정 동물 질병이 국제적으로 확산될 위험이 있을 경우, WAHIS는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경고를 발령한다. 이렇게 하면 각국의 보건 당국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질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실제로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 African Swine Fever)이 발생할 때, WAHIS는 주변 국가들이 미리 대비 할 수 있도록 경고를 발령한다.

4.2.2. 야생동물 질병 모니터링(WAHIS-Wild)

WAHIS는 가축뿐만 아니라 야생동물에서 발생하는 질병도 모니터링한다. 야생동물 질병 데이터는 생태계 보존과 생물 다양성 보호에도 매우 중요한데, 예를 들어, 야생 조류에서 발생한 질병이 가축이나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는지를 파악한다. 이렇게 하면 야생동물 보호뿐만 아니라 인수공통전염병의 예방에도 기여한다.

4.2.3. WAHIS의 주요 성과와 중요성

WAHIS는 전 세계적으로 동물 질병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하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실시간 데이터와 조기 경보 시스템[7] 분에 각국이 동물 질병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연구자들이 질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정책 결정자들이 근거에 기반한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동물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고, 안전한 무역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WAHIS는 동물 질병의 발생과 확산을 막는 데 핵심적인 도구로, 국제 사회가 질병에 대해 더 잘 대응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4.3. 동물 질병의 세계적인 부담 (GBADs : Global Burden of Animal Diseases)#

Global Burden of Animal Diseases (GBADs) 프로젝트는 동물 질병이 전 세계적으로 가축과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하는 대규모 국제 협력 프로젝트이다.

GBADs 프로젝트는 세계 각국의 농업 및 보건 당국, 국제 기구 등에서 동물 질병 관련 데이터를 모은다. 어느 나라에서 어떤 동물 질병이 얼마나 발생하는지, 그 질병 때문에 가축이 얼마나 죽는지 등을 조사한다. 이렇게 모은 데이터를 분석해서 질병이 가축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계산한다. 동물 질병이 발생하면 치료비나 예방 백신 비용 같은 직접적인 경제적 손실이 생기는데, GBADs 프로젝트는 이런 직접적인 비용뿐만 아니라 질병 때문에 가축 생산량이 줄어들거나 무역이 제한되는 등 간접적인 경제적 영향도 평가한다. 이런 분석을 통해 정책 결정자들이 질병 관리 정책을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게 도와준다.

인수공통전염병의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GBADs 프로젝트는 이런 질병의 발생률과 전파 경로를 연구한다. 조류 인플루엔자나 광견병 같은 질병이 어떻게 퍼지는지, 이를 막기 위해 어떤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를 분석한다. 이렇게 해서 사람들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공중 보건 전략을 개발한다.

단순히 연구에만 그치지 않는데, GBADs 프로젝트는 농부, 수의사, 정책 결정자 등을 대상으로 동물 질병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각국의 동물 보건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 지원, 워크숍, 세미나 등을 열어 현지 역량을 강화한다.

주요 협력기구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가 있다.

4.4. PVS Pathway (Performance of Veterinary Services Pathway)#

"PVS Pathway"는 세계동물보건기구(WOAH)가 각 나라의 수의 서비스 역량을 평가하고 강화하기 위해 만든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각국의 수의 서비스가 얼마나 잘 운영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필요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동물 보건, 인간 보건,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계동물보건기구(WOAH) 전문가들이 그 나라의 수의 서비스 시스템을 평가한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각 나라에 맞춘 계획을 제시한다. 필요한 경우, WOAH는 자문과 기술을 제공한다.

4.5. Rabies Elimination Project (광견병 근절 프로젝트)#

Rabies Elimination Project는 세계보건기구(WHO), 세계동물보건기구(WOAH), 유엔식량농업기구(FAO), 그리고 여러 국제 및 지역 파트너들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광견병을 근절하고, 이를 통해 인간과 동물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다. 광견병은 매우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주로 감염된 동물, 특히 개를 통해 인간에게 전파된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약 5만 9천 명이 광견병으로 사망하며, 대부분의 사망자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저소득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이 프로젝트는 광견병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고, 나아가 광견병을 완전히 근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5.1.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에서는 전국적으로 개 백신 캠페인이 실시되고 있다. 주로 개를 통해 전파되는 광견병을 예방하기 위해 개들에게 백신을 접종하고, 소유자들에게 광견병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4.5.2. 태국

태국에서는 고위험 지역에서 물린 사람들에게 신속하게 예방 접종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광견병의 전파를 차단하고 감염자 수를 줄이는 데 기여한다.

4.5.3. 브라질

브라질에서는 광견병 발생을 감시하고 보고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이를 통해 광견병의 발생과 전파 경로를 추적하고, 예방 및 대응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준다.

4.5.4. 아프리카 국가들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에서는 지역사회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이 프로그램은 개 백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물린 후 즉시 치료를 받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광견병 예방에 대한 인식을 높인다.

5. 역대 사무총장

  • Charles-Joseph Rossignol (벨기에) - 1924년 ~ 1964년
  • William Osburn (미국) - 1976년 ~ 1990년
  • Jean Blancou (프랑스) - 1990년 ~ 2000년
  • Bernard Vallat (프랑스) - 2001년 ~ 2015년
  • Marc Prikazsky (프랑스) - 2015년 (임시)
  • Monique Éloit (프랑스) - 2016년 ~ 현재 (2024년 기준)

6. 전망

세계동물보건기구(WOAH)의 미래에는 지속 가능성 강화, 국제적 협력 강화, 첨단 기술의 적용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6.1. 지속가능

동물보건은 인간 건강과 농업,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세계동물보건기구는 지속 가능한 동물 건강 시스템을 강화하여 전 세계적으로 동물의 복지와 질병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를 통해 식량 안보와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6.2. 국제적 협력

동물 질병은 국경을 초월하여 전파될 수 있다. 따라서 국제적인 협력과 정보 공유가 매우 중요한데, 세계동물보건기구는 각국의 동물 보건 당국과 협력하여 동물 질병의 조기 탐지 및 대응을 강화한다. 특히, 새로운 동물 질병의 발생과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국제적인 표준과 지침을 개발할 것으로 보인다.

6.3. 기술의 적용

첨단 기술의 발전은 동물 보건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드론 기술 등이 동물 질병 감시와 대응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기술은 동물 질병의 조기 경보와 효과적인 대응을 지원하여 동물 건강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7. 비판

7.1. One Health 접근법의 한계

One Health 접근법을 강화하려는 세계동물보건기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인간 보건 기구와 환경 단체 간의 협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다. One Health 접근법에 대한 비판은 주로 학자들, 정부 관련 기관, 비영리 단체와 같은 다양한 사람들로부터 제기되고 있다. 학자들은 주로 구현의 어려움과 자원 부족 같은 문제를 지적하고 있고, 정부 기관은 One Health 프로젝트의 자원 배분과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비영리 단체들은 협력자들 간의 갈등과 지역적인 차이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7.2. 자원과 재정의 제한

세계동물보건기구는 자원과 재정적인 한계로 인해 모든 회원국에 대한 충분한 지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저개발국가와 개발도상국의 경우, 동물 건강 관리와 질병 통제에 필요한 자원이 부족해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7.3. 정보 접근성과 투명성 부족

세계동물보건기구의 정보 접근성과 투명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일부 비평가들은 동물 질병 관련 데이터와 연구 결과가 충분히 공개되지 않거나 접근하기 어렵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글로벌 협력과 정보 공유를 저해할 수 있다.

8.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은 1953년 11월 18일 정회원국으로 가입한 이래, 매 총회 및 지역회의에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왔다.


[1] 설립 당시 명칭은 국제수역사무국(OIE)이었으나 2003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고, 이후 OIE라는 약칭은 그대로 사용하다가 2022년 그 약칭을 WOAH(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로 변경하였다.[2] Rinderpest, 독일어로 ‘우역’이라는 뜻[3] 식품위생법에 의한 음식물의 단속, 의료법과 약사법 등에 의한 단속, 검역법에 의한 검역 등의 조치를 담당하는 경찰을 말한다. 즉, 국민의 건강을 보호할 목적으로 그에 대한 장해를 예방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행하는 경찰을 말한다[4] 동물에서 사람으로 또는 사람에서 동물로 전염될 수 있는 질병[5] 예를 들어,광견병, 조류 독감 또는 에볼라와 같은 바이러스[6] 4.1.1.[7] 4.2.1.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