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5bb025>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01 | 02 |
| |
1. 개요
중랑운수에서 운행하는 중랑구 마을버스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진로아파트종점) | 종점 |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한신아파트상가) | ||
종점 행 | 첫차 | 06:00 | 기점 행 | 첫차 | 06:12 |
막차 | 23:15 | 막차 | 23:34 | ||
배차간격 | 5~10분 | ||||
운수사명 | 중랑운수 | 인가대수 | 7대[1] | ||
노선 | 진로아파트종점 - 진주빌라.바다약국 - 미성아파트[2] - 공판장 - 새마을금고 - 서일대정문 - 서일대후문 - 면목지구대/새마을금고 - 동원시장(농협앞) - 면목역[3] - 하나은행면목지점 → 동부시장남문입구 → 중랑초교정문.면목2동치안센터 → 한신아파트상가 → 한신아파트후문 → 동서그랜드맨션 → 하나은행면목지점 → 이하 진로아파트 방향 역순 |
3. 역사
- 2004년 개편 이전에는 7번 마을버스 노선이었다.
-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중랑02번으로 변경되었다.
- 회차지점 인근의 도로 공사로 인해 2013년 10월 28일부터 동년 11월 30일까지 1213번이 지나가는 신성은하수아파트와 한신아파트 외곽 쪽으로 우회했다.
- 겸재교 건설로 인해 회차구간 일부가 폐쇄되어 교량 밑에서 유턴한다. 완공된 지금도 마찬가지.
- 이 노선도 안내방송 시스템이 본시스템으로 교체되었다.[4]
4. 특징
- 진로아파트, 서일대학교, 7호선 면목역과 한신아파트를 경유하는 유일한 마을버스 노선이다.[5] 때문에 이 노선의 주 수요처는 대부분 양쪽에서 노선 중앙의 유일한 지하철역인 면목역 연계나 인근의 동원시장 수요가 다수이다.
- 면목역에서는 바로 출발하지 않고 더 많은 승객을 태우기 위해 잠시 동안(3분 정도) 정차한 후 출발한다.[6] 또한 차량마다 면목역 출발시간 확인을 위해 버스 안에서 기사들이 2번, 혹은 3번이라고[7] 무전을 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8]
- 경성여객 1213번, 2013번의 '용마복지문화센터 ~ 동서그랜드맨션' 구간이 중첩된다. 그러나 겸재삼거리를 거쳐 면목역으로 가는 두 노선과 달리 중랑02번은 경성여객 삼거리를 돌아서 면목역으로 간다.[9]
- 과거에는 BIS나 포털 사이트, 어플 등과 다르게 가상 정류장들이 꽤 있었다. (안내방송에서는 가상 정류장을 언급한다.) 즉, BIS보다 정류장이 더 많으므로, 탑승 시, 노선도를 믿는게 더 낫다. 이후 2021년부터 가상 정류장들이 조정되면서 진로아파트 쪽 미성아파트 정류장 하나 빼고는 모두 인가된 정류장에만 정차한다. 한신아파트 쪽 구간도 있었으나 겸재교입구 정류장을 비롯하여 모두 사라졌다.
- 시내버스 회사들과 달리 자체 차고지에 충전소가 없어서 중랑공영차고지에서 충전을 해야하는 상황이나 그나마 진로아파트에서 중랑공영차고지까지 가까워 배차간격 영향은 거의 없다[10]. 오히려 동일로와 겸재로3길 구간에서 지체되는 경우가 많다.[11]
- 겸재로를 지나는 노선들 중 유일하게 노선 변경이 없는 노선이다.[12]
- 만약 평일 오전 7~8시에 면목역에서 진로아파트행 노선을 탄다면 버스 한 대 정도 보낼 각오는 하는 게 좋다. 왜냐하면 서일대 학생들의 폭발적인 수요로 인해[13] 면목역 2번출구 앞 정류장은 긴 줄까지 생길 정도로 타는 사람이 많기 때문. 이렇게 만차가 되는 경우에는 하차벨이 울릴 때까지 중간 승객들을 태우지 않고 지나가는 정류장들은 모두 무정차 통과하게 된다. 물론 그만큼 배차간격도 짧아서, 한대 보낸다고 해도 길어봤자 5분만 더 기다리면 바로 다음 차가 오기에 적어도 배차간격 때문에 문제를 겪을 일은 이 노선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중랑02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7,081명 | - |
2014년 | 7,216명 | △ 135 |
2015년 | 7,075명 | ▽ 141 |
2016년 | 6,732명 | ▽ 343 |
2017년 | 6,618명 | ▽ 114 |
2018년 | 6,713명 | △ 95 |
2019년 | 6,570명 | ▽ 143 |
2020년 | 4,625명 | ▽ 1,945 |
2021년 | 4,535명 | ▽ 90 |
2022년 | 4,934명 | △ 399 |
2023년 | 5,004명 | △ 70 |
2024년 | 5,098명 | △ 94 |
※ 하차 인원 미포함 |
4.2. 노선
- 가상정류장이 존재한다. 어플에 조회되는 정류장 외에도 정차하는 정류장이 있으니 안내방송과 차내노선도를 꼭 확인하고 이용할 것.
- 안내방송과 실제 정류장 명칭이 많이 상이하다. 괄호 안은 안내방송에서 언급하는 명칭이다.[14]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한신아파트상가 07517 | |||||
한신아파트후문 07519 | ← | 중랑초등학교정문.면목2동치안센터 07515 | ||||
동서그랜드맨션 07222 | ↓ | ↑ | 동부시장남문입구 07149 | |||
이상 회차 구간 | ||||||
하나은행면목지점 07224 | 하나은행면목지점 07225 | |||||
IBK기업은행면목동지점 0718 | - | |||||
지하철7호선면목역 (2번출구) 07524 | 면목역(3번출구) 07512 | |||||
농협앞(동원시장) 07230 | ↓ | ↑ | 농협앞(동원시장) 07231 | |||
면목지구대 07525 | 서울동부새마을금고본점 07510 | |||||
용마문화복지센터 07195 | ↓ | ↑ | 중화중학교삼거리 07436 | |||
서일대정문 07511 | ↓ | ↑ | 서일대정문 07509 | |||
새마을금고 07526 | ↓ | ↑ | 새마을금고 07507 | |||
공판장 07527 | 공판장 07505 | |||||
미성아파트.바다약국 가상 | ↓ | ↑ | 미성아파트.바다약국 가상 | |||
진주빌라.바다약국 07528 | ↓ | ↑ | 진주빌라.바다약국 07502 | |||
진로아파트앞.종점 07529 · 07500 |
4.3. 시간표
- 2024년 11월 기준이며, 2025년 02월 이후로도 통용중이다.
- 면목역 첫차, 막차 통과 시각은 카카오버스 기준이며 이보다 더 일찍 혹은 늦게 지나갈 수 있으니 유의.[15]
5. 연계 철도역
[1] 평일 6~7대, 주말 4~5대. 차량 사정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 시간표 참고.[2] BIS 미등록 가상 정류장[3] 진로아파트 방향은 2번출구(시내버스 겸용), 한신아파트 방향은 3번출구(광장)에 정차한다.[4] 다만, 에드케이 방송기기의 양식이 조금 개량되면서 이에 맞춰 변화가 있긴 하다.[5] 더해서 중랑01번과 같이 중랑구의 둘 뿐인 마을버스 노선이기도 하다. 다만 명백한 독점 구간의 존재로 인해 수요와 배차는 이 노선이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많다.[6] 이는 출/퇴근 시간대 같이 승객이 몰리는 특정 시간대만 행하는 것이 아닌 평시를 포함한 모든 시간대에서 행해진다. 시간표 상에서도 아래와 같이 웬만하면 지정 시간에 출발한다.[7] 면목역의 각 출구 번호(2,3번출구)를 의미한다. 한신아파트 방향은 3번(과거 명칭 광장), 진로아파트 방향은 2번으로 무전한다.[8] 참고로 면목역에서 진로아파트 방향은 지선버스와 마을버스 모두 2번출구에 정차하지만 한신아파트 방향은 마을버스가 3번출구 쪽 광장에 정차하고, 지선버스는 2번출구 건너편에 정차한다.[9] 중랑02번이 면목역에서 대기를 하기 때문에 면목역을 이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당 구간은 지선버스를 이용하는 게 낫다.[10] 게다가 2025년 1월 이후 기점 내에 전기충전소가 설치됨에 따라 충전 부담이 더욱 줄어들게 되었다.[11] 특히 동일로 구간이 난코스인데, 중간에 정차하는 정류장은 하나도 없지만 88병원 앞 좌회전 신호가 긴 편이 아니기 때문에 기사들이 무전을 통해 신호 주기와 교통량을 수시로 공유하는 편이다.[12] 더불어 중랑운수는 중랑구의 다른 마을버스 회사들이 용림교통(현 보광운수)으로 통합할 때 사실상 중랑구에서 유일하게 남은 마을버스 회사다. 원래는 금창운수도 있지만 여긴 노원구 마을버스의 비중이 높기 때문. 중랑01번을 제외하면 모두 노원구 노선이다.[13] 물론 1213번, 2013번 등의 대체 노선도 있지만 배차간격부터가 큰 차이가 나고 무엇보다 용마산로 구간의 정체로 인해 상봉로를 경유하는 이 노선이 제일 빨리 온다.[14] 2025년 이후로는 어플 상의 명칭과 최대한 비슷하게 해주는 편이다. 다만,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할 것.[15] 보통 양쪽 아파트에서 10분 정도 걸린다고 생각하면 된다. 또한, 지하철 승객들이 올라오는 걸 기다렸다가기 때문에 막차도 어느 정도 출구로 사람들이 나올때까지 기다렸다가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