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희왕 러시 듀얼의 테마 일람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가제트(유희왕 러시 듀얼)| [[갤럭티카(유희왕)| [[곤둔인충| [[괴의| [[기아스(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낙오자(유희왕)| [[네오 스페이시언(유희왕 러시 듀얼)| [[네크메이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ㄷ]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다이스(유희왕)| [[다이안 켓| [[다크니스(유희왕 러시 듀얼)| [[다크매터(유희왕)| [[더☆| [[데몬(유희왕 러시 듀얼)| [[드래고닉(유희왕 러시 듀얼)| [[드라코(유희왕 러시 듀얼)| [[드래곤즈| [[등번호(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ㄹ]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라브(유희왕)| [[라이스테라스| [[라이온(유희왕 러시 듀얼)| [[라이징 히어로| [[라이트닝(유희왕 러시 듀얼)| [[레온(유희왕)| [[레전드(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로드 매직| [[로얄데먼즈|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ㅁ]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마그넷 워리어(유희왕 러시 듀얼)| [[마장(유희왕 러시 듀얼)| [[매그넘 오버로드| [[메타리온|메타리온]] [[메테오(유희왕 러시 듀얼)| [[몽중|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ㅂ]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반골(유희왕)| [[밴드그룹| [[버스터 블레이더(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버스터 블레이더]] [[버블리| [[베리프레쉬| [[보이드베르그| [[붉은 눈(유희왕 러시 듀얼)| [[블랙 매지션(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비밀수사관(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ㅅ]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사견(유희왕)| [[사영 다크 루커(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사이버(유희왕 러시 듀얼)| [[사이버스파이스| [[사이킥비트| [[샤먼 밴디트| [[샤인(유희왕)| [[성전기| [[세븐즈로드| [[세레모니얼| [[셀레브로즈| [[소서러(유희왕 러시 듀얼)| [[수기계| [[스타즈핸드| [[스타캣| [[스페이스(유희왕)| [[썬더비트|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ㅇ]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아츠엔젤| [[악희| [[암석(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앙갱| [[애니매지카| [[액셀원더| [[앤틱 기어(유희왕 러시 듀얼)| [[양계(유희왕)| [[어비스(유희왕 러시 듀얼)| [[어비스카이트| [[어시스턴트(유희왕)| [[엑스큐티| [[엘리멘틀 히어로(유희왕 러시 듀얼)| [[염 마| [[용군| [[용기사 가이아(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음양(유희왕)| [[인조인간(유희왕 러시 듀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ㅈ]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저주받은 하인(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저지(유희왕)| [[제라(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제왕(유희왕 러시 듀얼)| [[조인테크| [[주사위(유희왕 러시 듀얼)| [[주사천사 리리(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ㅊ]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창구| [[천상(유희왕)| [[체어(유희왕)| [[초밥천사| [[초시공 전투기(유희왕 러시 듀얼)| [[최강(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ㅋ]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카오스 솔저(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카오스(유희왕 러시 듀얼)| [[캇파(유희왕 러시 듀얼)| [[케미스트(유희왕)| [[케미스펫| [[케미칼큐어| [[코스모스 공주| [[킹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ㅌ]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타마(유희왕)| [[투환향| [[트랜잠(유희왕)| [[트론(유희왕 러시 듀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ㅍ]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파랑도(유희왕)| [[퍼포머(유희왕)| [[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 [[프라임(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ㅎ]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하늘의(유희왕 러시 듀얼)| [[하이브리드라이브| [[하이테크드래곤| [[해피(유희왕 러시 듀얼)| [[핸디레이디(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헝그리(유희왕 러시 듀얼)| [[혜뢰| [[화면(유희왕)| [[화아(유희왕)| [[환괴| [[환인(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A~Z, 특수문자]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CAN:D(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OTS(유희왕)| [[P·M| |
|
| 샤먼 밴디트 | |||||
| <colbgcolor=#472B0F> 한국판 명칭 | 샤먼 밴디트 | ||||
| 일본판 명칭 | [ruby(精霊義賊, ruby=シャーマンバンデット)] | ||||
| 영어판 명칭 | Shaman Bandit | ||||
| 속성 | 종족 | 관련 카테고리 | |||
| 바람 | 사이킥족 | 효과 장착 퓨전 | |||
1. 개요
유희왕 러시 듀얼의 바람 속성 사이킥족 테마.2. 설명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소리의 힘으로 정령을 다뤄 비보를 노린다
대대로 전해지는 연주법으로 울려퍼지는 소리로 인해, 바람의 정령을 다루는 일족이 있었다.
그 후예인 밴디죠와 의매인 프로퍼시프레이즈는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잠입.
같은 능력을 가진 아스포트파이레츠와 때때로 협력하며
일족의 기원인 비보를 찾아다니고 있다.
대대로 전해지는 연주법으로 울려퍼지는 소리로 인해, 바람의 정령을 다루는 일족이 있었다.
그 후예인 밴디죠와 의매인 프로퍼시프레이즈는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잠입.
같은 능력을 가진 아스포트파이레츠와 때때로 협력하며
일족의 기원인 비보를 찾아다니고 있다.
▶ 유희왕 러시 듀얼 최강 배틀로얄!! 갤럭티카 빅토리즈" 에서의 샤먼 밴디트 테마 설명
||유희왕 고 러시!!에서 키리시마 로비안이 사용하는 테마. 오프라인에서는 선풍의 포르티시모!!에서 본격적으로 데뷔했다.
사용자가 전작의 키리시마 로민의 선조인 것을 증명하듯 로민의 사이킥비트와 똑같은 사이킥족 테마이며, 사이버펑크 + 밴드 컨셉의 사이킥비트와는 다르게 이쪽은 의적단 + 음유시인 컨셉이다. 최상급이 퓨전 시 오메가사이킥족이 되는 사이킥비트와 달리 이 테마는 퓨전을 해도 그대로 사이킥이라는 것도 차별점. 물론 아이돌 카드가 많은 것은 마찬가지이다.
괴악한 퀄리티로 유명한 고 러시의 CG지만 해당 테마의 퀄리티는 제법 괜찮은 편. 저퀄리티가 심했던 세븐즈 또한 CAN:D LIVE의 퀄리티는 나름 안정적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CG를 담당하는 회사 자체가 최근 아이돌물이나 밴드물에서 자주 쓰이는 전형적인 아니메풍 모델링에는 익숙한 반면 심연룡신 어비스 포세이도라나 어비스슬레이어 리바이어나이트 같은 극화체풍 모델링에는 익숙하지 않은 듯하다.
테마명은 '샤먼'+'밴디트' 의 조어로 추정. 일본어로는 '정령 의적(精霊義賊)'이라고 쓰고 샤먼 밴디트로 읽는다. 초기에는 테마의 명확한 구분이 없어 '풍사이킥'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 그러나 이후 최강 배틀로얄!! 간다! 고 러시!!의 가이드 북에서 공식적으로 '샤먼 밴디트'라는 테마명이 밝혀졌다.[1] 다만 이후로도 공식에서는 샤먼 밴디트라는 표현보다는 풍사이킥이라는 표현을 더 자주 쓰고 있다. #
몬스터들의 이름은 주술적인 단어, 음악 관련 단어, 도적이나 범죄 관련 단어를 섞어서 짓고 있다.
일반 마법 카드는 사이킥 + 이큅으로 '사이큅'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며, 장착 마법 카드는 'X장'이라는 이름이 공통적으로 붙는다.
함정들은 트래디셔널 택스를 빼고 모두 '시프'라는 이름이 공통적으로 붙어 있으며, 모두 도둑이 들어가는 관용구에서 따오고 있다.
3. 성능
자신의 LP를 지불하고 효과를 발동하는 등의 카드가 많다는 점은 여느 사이킥과 같다. 그러나 라이프보다는 상대의 패의 매수와 관련한 카드가 많은 편이고 장착 마법을 여느 테마보다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테마이다. 그러다 보니 일반적인 사이킥보다 컨트롤이 더 어려운 편. 다만 장착은 첫 등장 이후론 추가 장착 마법이 나오지도 않았을 정도로 소홀하게 지원을 준 탓에 사실상 퓨전 소환이 메인 기믹이 되었다.애니메이션 테마에선 자주 보이는 현상이지만 조인테크, 케미스트처럼 라이프 지불, 패 간섭, 일반 몬스터, 장착 마법, 퓨전까지 기믹이 과하게 많은 것도 컨트롤 난이도 및 성능에 영향을 주었다.
4. 카드 목록
4.1. 일반 몬스터
4.1.1. 레벨 2
4.1.1.1. 로바림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로바림,
일어판명칭=ロバリム,
영어판명칭=Robbarim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바람, 레벨=2, 공격력=600, 수비력=600, 종족=사이킥족,
효과외=호기심 왕성한 견습 모험가. 선조의 보물을 찾아다니는 프로퍼시프레이즈 일행과 종종 함께 행동하기도 한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오도 유히&오도 유아무와의 2vs1 듀얼 중 사용.
| 수록 시리즈 |
2022-10-08 | RD/KP11-JP008 | デッキ改造パック 旋風のフォルテシモ!! |
2023-01-13 | RD/KP11-KR008 | 덱 개조 팩 - 선풍의 포르티시모!! - |
4.1.2. 레벨 4
4.1.2.1. 앰플러그리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앰플러그리,
일어판명칭=アンプラーグリー,
영어판명칭=Ampler Gle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바람, 레벨=4, 공격력=1500, 수비력=0, 종족=사이킥족,
효과외=여장부 같은 정보상. 일족의 비밀을 좇는 밴디죠 일행에게 힘을 빌려준다.)]
바람 속성 / 사이킥족 하급 어태커.
속성 외에 모든 능력치가 일치하는 사일런트 어쌔신이나 피스 홀더하고는 속성 면에서 차별화하게 될 것이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오도 유히&오도 유아무와의 2vs1 듀얼 중 사용.
| 수록 시리즈 |
2022-10-08 | RD/KP11-JP009 | デッキ改造パック 旋風のフォルテシモ!! |
2023-01-13 | RD/KP11-KR009 | 덱 개조 팩 - 선풍의 포르티시모!! - |
4.2. 효과 몬스터
4.2.1. 레벨 1
4.2.1.1. 피들바두르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피들바두르,
일어판명칭=フィドルバドゥール,
영어판명칭=Fiddlebadour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1, 공격력=100, 수비력=0, 종족=사이킥족,
조건=패의 몬스터(바람 속성 / 사이킥족)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사이큅 퓨전" 또는 장착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카드화 되며 원작과 달리 조건으로 필요한 몬스터가 레벨 2 이하의 사이킥족 일반 몬스터에서 바람 속성의 사이킥족으로 범위가 넓어지고, 장착 마법뿐만 아니라 사이큅 퓨전까지 회수할 수 있게 되는 꽤 높은 상향을 받았다.
코믹스에서는 애니나 카드 일러스트와 비교해 매우 귀엽게 그려지면서 재조명을 받기도 했다.
| 수록 시리즈 |
2023-11-11 | RD/KP15-JP012 | 闇黒のレッドリブート |
2024-07-01 | RD/B242-JP003 | バトルパック2024 Vol.2 |
2024-03-15 | RD/KP15-KR012 | 암흑의 레드리부트 |
4.2.2. 레벨 2
4.2.2.1. 래드로그 멜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래드로그 멜,
일어판명칭=ラッドローグ・メル,
영어판명칭=Radrogue Mael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2, 공격력=700, 수비력=400, 종족=사이킥족,
조건=자신 덱의 카드가 15장 이상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패가 0장인 플레이어는 1장 드로우한다.)]
사이킥족 덱은 로맨스 픽으로 적극적으로 덱을 덤핑하는 타입이 많다보니, 듀얼 후반이면 조건을 채우기 힘들다는 리스크가 있다. 따라서 가급적 초반이나 중반 쯤에 소환해두는 편이 좋다.
자신의 패에 따라 전개와 세트를 다 마친 후 사용하면 별 탈없이 조건을 채울 수 있을 것이다. 상대도 드로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긴긴 해도, 상대가 패 코스트를 사용하는 함정 카드를 세트해두지 않는 이상 크게 신경 쓸 문제는 아니다.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하고 상성이 좋은 편으로, 해당 카드의 번 효과와 전체 약체화 수치를 올릴 수가 있다.
남은 덱 매수를 따지는 최초의 카드로, 이런 조건은 러시 듀얼은 물론 OCG에서조차 전례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후로도 프로그레스 폿터 루프 때문에 드로우와 덱 회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몬스터는 해당 텍스트를 달고 있는 경우가 많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오도 유히&오도 유아무와의 2vs1 듀얼 중 사용. 소환 즉시 효과를 발동해 유히와 유아무에게 드로우를 시켜서 투주의 밴디죠의 효과를 통한 강화 수치 상승으로 연계했으며, 그 후 투주의 밴디죠의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었다.
| 수록 시리즈 |
2022-10-08 | RD/KP11-JP020 | デッキ改造パック 旋風のフォルテシモ!! |
2023-01-13 | RD/KP11-KR020 | 덱 개조 팩 - 선풍의 포르티시모!! - |
4.2.2.2. 비브라 브리간드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비브라 브리간드,
일어판명칭=ヴィブラ・ブリガンド,
영어판명칭=Vibra Brigand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2, 공격력=200, 수비력=200, 종족=사이킥족,
조건=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2장을 묘지로 보낸다. 그 중에 장착 마법 카드가 있었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1장 드로우할 수 있다.)]
| 수록 시리즈 |
2023-11-11 | RD/KP15-JP013 | 闇黒のレッドリブート |
2024-03-15 | RD/KP15-KR013 | 암흑의 레드리부트 |
4.2.2.3. 시타루토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시타루토,
일어판명칭=シタールート,
영어판명칭=Sitarloot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2, 공격력=100, 수비력=100, 종족=사이킥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 바람 속성 / 사이킥족)가 있을 경우\,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그 후\, 자신 묘지의 장착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투주의 밴디죠와 연계하는 용도로 나온 듯한 카드. 상대의 마법, 함정을 패로 되돌려 함정을 제거하고 밴디죠의 공격력 상승에 기여한다. 이 효과로 더블넥스칼리버를 가져오고 밴디죠로 회수한 로바림을 버린다면 폭발적인 딜링이 가능해진다.
공격력과 수비력이 100이기에 매지니컬 미라클로 상급 사이킥을 소생해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매지니컬 판타스틱으로 소생해 릴리스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수록 시리즈 |
2025-04-12 | RD/5TH1-JP047 | 5th ANNIVERSARY PACK |
2025-07-23 | RD/5TH1-KR047 | 5th ANNIVERSARY PACK |
4.2.3. 레벨 3
4.2.3.1. 타이반 블루마이
| |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타이반 블루마이,
일어판명칭=タイバン・ブルーマイ,
영어판명칭=Taiban Bluemai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3, 공격력=1000, 수비력=1000, 종족=사이킥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상대의 패가 4장 이하이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3 이외 / 사이킥족)가 2장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묘지의 몬스터 2장을 고르고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상대는 패가 5장이 되도록 드로우한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유디아스 벨갸와의 듀얼 중 사용.
| 수록 시리즈 |
2022-10-08 | RD/KP11-JP021 | デッキ改造パック 旋風のフォルテシモ!! |
2023-01-13 | RD/KP11-KR021 | 덱 개조 팩 - 선풍의 포르티시모!! - |
4.2.3.2. 프란돌린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프란돌린,
일어판명칭=プランドリン,
영어판명칭=Plandolin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3, 공격력=1100, 수비력=400, 종족=사이킥족,
조건=1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넘기고\, 서로 확인한다. 자신은 넘긴 카드 중에서 "퓨전" "사이큅 퓨전"을 합계 2장까지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남은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창구 테마의 창구천사들처럼 덱을 넘겨 퓨전을 더할 수 있다.
넘기는 장수가 영 못 미덥지만 최대 2장까지 확보할 수 있으며 풍사이킥에는 패코스트 지불이 필요한 카드가 은근히 많기 때문에 연속 퓨전이 아니더라도 단순히 패에 더할 수 있는 것만으로 꽤 큰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다.
라이프 100을 지불해야 하는 것도 선공부터 로맨스 픽 같은 라이프 조건을 요구하는 사이킥족 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기에 유용하다.
| 수록 시리즈 |
2023-11-11 | RD/KP15-JP014 | 闇黒のレッドリブート |
2024-03-15 | RD/KP15-KR014 | 암흑의 레드리부트 |
4.2.4. 레벨 4
4.2.4.1. 블루그래스 스틸러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블루그래스 스틸러,
일어판명칭=ブルーグラス・スティーラー,
영어판명칭=Bluegrass Stealer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4, 공격력=1200, 수비력=0, 종족=사이킥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이 효과로 몬스터(사이킥족)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추가로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사이킥족) 1장을 고를 수 있다. 이 턴에\, 몬스터(바람 속성 / 사이킥족)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고른 몬스터는 2장만큼의 릴리스로 할 수 있다.)]
바람 속성 / 사이킥족 최상급 몬스터를 주축으로 하는 덱에서 진가를 발휘하는 카드로, 덱 맨 위를 조작해두면 추가 효과를 확정적으로 쓸 수 있지만 사이킥 덱이라면 운에 맡기고 발동해 봐도 손해볼 것은 없을지 모른다. 자신도 고를 수 있으니 다른 사이킥족이 없더라도 1장 소비로 최상급 몬스터를 전개할 수 있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유디아스 벨갸와의 듀얼 중 사용. 후공 첫 턴째에 소환되어 효과로 로바림을 묘지로 보내고, 같이 소환된 래드로그 멜을 2장 릴리스로 써먹은 후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의 효과로 약체화된 헤븐 갠젤을 공격해서 파괴했다. 다음 로비안의 턴에는 힐 힐러와 함께 투주의 밴디죠의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었다.
| 수록 시리즈 |
2022-10-08 | RD/KP11-JP022 | デッキ改造パック 旋風のフォルテシモ!! |
2023-01-13 | RD/KP11-KR022 | 덱 개조 팩 - 선풍의 포르티시모!! - |
4.2.4.2. 원주의 컨더글러
| | |
| 울트라 레어 | 오버 러시 레어 |
한글판명칭=원주의 컨더글러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援奏<rp>(</rp><rt>えんそう</rt><rp>)</rp></ruby>のコンダーグラー,
영어판명칭=Condurglar the Assisting Anthem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4, 공격력=1300, 수비력=1200, 종족=사이킥족,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바람 속성 / 사이킥족 / 공격력 1300 이외) 2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 이 카드의 레벨은 턴 종료시까지 3 올라간다. 그 후\, 자신 묘지의 "노바디 스캣시프" 또는 "트래디셔널 택스" 1장을 고르고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할 수 있다. 세트했을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공 1300 이외의 풍 사이킥 2장을 덱으로 돌리는 조건으로, 레벨을 3 올리면서 노바디 스캣시프와 트래디셔널 택스 중 하나를 재활용하고, 상대 몬스터의 표시 형식까지 건드릴 수 있는 카드.
레벨 상승 효과를 통해 밴디바 D의 소재 범위에 들어갈 수 있으며, 회수하는 함정, 특히 트래디셔널 택스가 범용적이며 강력한 견제가 되기 때문에 다음 턴까지 보기도 좋다. 킬각이 나왔다면 밴디바 D의 코스트로 써버릴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는 샤먼 밴디트 카드이지만 핸디레이디 덱에도 이 카드 자체가 해당 덱과 서포트를 공유하는 바람 속성 수비력 1200인데다 공 1300 이외의 풍 사이킥이 4종이나 있고 밴디바 D의 소환 각을 쉽게 보게 해주기 때문에 써먹기 좋다.
여담으로 공격력 1300 이외를 지정한 것은 1차적으로는 자기 자신을 되돌리지 말라는 의도로 보이나, 이 카드 이전에 이 공격력에 해당하는 건 루프를 유발하던 프로그레스 폿터뿐이라서 폿터의 채용을 막으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성능 외적으로, 특유의 눈매와 긴 연두색 머리, 뒤에 놓인 바이올린과 모자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카드의 정체는 극주의 마하바이오의 평소 모습이다. 배경에는 '시프' 함정 카드에서 샤먼 밴디트가 훔쳐낸 물건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아직 오프라인으로 발매되지 않은 타케다케시프와 라이어시프에서 훔쳐낸 물건도 있다. 본인을 뺀 샤먼 밴디트 최상급들의 피규어도 보이는데, 유일하게 코믹스에서 등장한 프랙트크라임은 뒤를 돌아 있다.
이름의 어원은 컨덕터 + 강도(Burglar).
| 수록 시리즈 |
2025-10-08 | RD/ORP3-JP064 | オーバーラッシュパック3 |
4.2.5. 레벨 5
4.2.5.1. 힐 힐러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힐 힐러,
일어판명칭=ヒール・ヒーラー,
영어판명칭=Heel Healer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5, 공격력=1600, 수비력=0, 종족=사이킥족,
조건=자신 묘지의 마법 카드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1000 LP 회복한다.)]
사이킥족 덱이라면 로맨스 픽 등 효과로 묘지 덤핑을 실행할 때 마법 카드도 묻히기 쉽고, LP 코스트를 요구하는 몬스터도 많으므로 효과가 도움이 될 일이 많을 것이다. 다만 단순히 LP 회복이 목적이라면 하급 몬스터인 케미칼큐어 블루 등이 존재하며, 해당 카드가 당장 돌아오는 리턴도 많다. 이 카드를 쓰겠다면 묘지의 마법 카드를 재활용한다는 점, 바람 속성 / 사이킥족 서포트를 받는다는 점 등으로 차별화하게 될 것이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유디아스 벨갸와의 듀얼 중 사용. 염장 프렛베르쥬를 덱으로 되돌리고 LP를 회복한 뒤, 투주의 밴디죠의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었다.
| 수록 시리즈 |
2022-10-08 | RD/KP11-JP023 | デッキ改造パック 旋風のフォルテシモ!! |
2024-07-01 | RD/B242-JP007 | バトルパック2024 Vol.2 |
2023-01-13 | RD/KP11-KR023 | 덱 개조 팩 - 선풍의 포르티시모!! - |
4.2.5.2. 프리퍼라이어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프리퍼라이어,
일어판명칭=プリファライヤー,
영어판명칭=Preferlyr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5, 공격력=1700, 수비력=100, 종족=사이킥족,
효과외=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바람 속성 / 사이킥족)가 있을 경우\, 이 카드는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할 수 있다.,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상대의 패가 4장 이하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3장 드로우한다. 그 후\, 이 카드의 레벨은 턴 종료시까지 2 올라간다. 추가로\, 자신 묘지의 "퓨전" 또는 "사이큅 퓨전"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같이 발매된 밴디죠D를 서포트하기 위해 발매된 상급 샤먼밴디트 몬스터.
레벨 5이지만 타협 소환 효과 덕분에 바람/사이킥족 몬스터가 있다면 릴리스 없이 일반소환할 수 있다.
일반 소환된 턴에 상대 패가 4장 이하일 경우 상대에게 3장을 드로우 시키고, 자신의 레벨을 2 올려서 7로 만들며, 거기에 묘지에 퓨전 혹은 사이큅퓨전이 있다면 추가 회수까지 노릴 수 있다.
상대에게 드로우를 시켜주는 효과는 상대 패의 매수가 중요한 샤먼밴디트에서 매우 좋은 효과이며, 거기에 레벨을 7로 올려줘 밴디죠D의 소환조건도 낮추고 퓨전준비까지 마쳐주는 매우 강력한 지원 카드이다. 장착마법은 회수 못하지만 기존 퓨전소재 몬스터인 피들파두르의 상위호환이나 다름 없는 수준.
| 수록 시리즈 |
2025-04-12 | RD/5TH1-JP046 | 5th ANNIVERSARY PACK |
2025-07-23 | RD/5TH1-KR046 | 5th ANNIVERSARY PACK |
4.2.6. 레벨 7
4.2.6.1. 투주의 밴디죠
4.2.6.2.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
|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 | ||
| <nopad> | ||
| <nopad> | ||
| 연주하는 포크, 울려퍼지는 블루스, 바람이 칠하는 얼터네이트 피킹. 奏でるフォーク、轟くブルース、風が彩るオルタネイト・ピッキング。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 「風彩のプロフェシーフレーズ」! -유희왕 고 러시!! 中 키리시마 로비안- | ||
| |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
일어판명칭=<ruby>風彩<rp>(</rp><rt>ふうさい</rt><rp>)</rp></ruby>のプロフェシーフレーズ,
영어판명칭=Prophecy Phrase of the Colors of the Win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바람, 레벨=7, 공격력=2200, 수비력=0, 종족=사이킥족,
조건=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가 몬스터(바람 속성 / 사이킥족)뿐일 경우\, 1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패가 있는 플레이어는\, 패를 전부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이 효과로 묘지로 보내진 카드의 수] × 2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추가로\, 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의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이 효과로 상대에게 준 데미지]만큼 내릴 수 있다.)]
의존도가 꽤나 있는 편이지만 상당히 나쁘지 않은 성능을 가졌다. 몬스터판 카드활살이라 보면 된다. 쓴다면 같이 발매되는 래드로그 멜이나 풍쇄의 아스포트파이레츠등을 같이 써주도록 하자.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오도 유히&오도 유아무와의 2vs1 듀얼 중 사용. 선공 첫 턴에 어드밴스 소환된 후 바로 효과를 써서 유히와 유아무의 패를 각각 4장 버리게 하고 1600 데미지를 주었다. 다음 유히의 턴에는 포스 오브 카지바시프에 의해 전투 파괴 내성을 부여받고 조인테크 렉스의 공격을 버텼으나, 그 다음 유아무의 턴에 깜짝해치 비비다운과 드래그 온 드롭에 의해 공격력이 1500으로 내려간 채 블루 투스 버스트드래곤의 효과로 파괴되었다.
이후로도 로비안이 듀얼을 하면 높은 빈도로 등장한다. 일종의 서브 에이스 포지션인데, 2기부터는 유디아스의 트랜잠 라이나크가 그렇듯 메인 에이스인 투주의 밴디죠를 제치고 로비안의 진정한 비장의 패라는 식으로 언급되는 경우가 늘었다. 74화에서는 이 카드가 선봉으로 나오자 유나가 '듀얼 음유시인 로비안 님의 상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에이스 몬스터'라고 띄워주었으며, 94화에서는 유히가 밴디죠가 나왔을 땐 아무 말도 하지 않다가 프로퍼시프레이즈가 나오자 로비안과의 첫 듀얼을 회상하며 '저 녀석에겐 잔뜩 고생했다'고 반응했다. 해당 화에서는 퓨전 진화체인 화접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일도 등장해서 피니시를 냈다.
효과명은 '노바디 온스테이지(ノーバディ・オンステージ)'. 공격명은 '에잇 바즈 오브 갓(エイト・バーズ・オブゴッド)'.
블루레이 & DVD 수록 특전 일러스트.ver에선 배경이 파론성으로 바뀌었으며, 표정 또한 여유로운 표정으로 바뀌었다. 로비안의 이명인 '파론성의 여왕'이 생각나는 부분.
여러모로 로민의 채광의 프리마기타나와 일맥상통하는 요소가 많다. 공격력과 수비력 모두 프리마기타나와 똑같으며, 로비안의 듀얼마다 첫 턴에 등장하며 로비안의 상징이라 하는 에이스 카드에, 1000 LP를 코스트로 발동하는 효과. 그리고 프리마기타나의 효과명인 '익사이트 온 스테이지'와 효과명도 비슷하다. 반대로 메인 에이스 투주의 밴디죠는 CAN-Re:D와 대응되는 포지션인 듯하다.
이름의 어원은 프로퍼시(예언) + 시프 + 프레이즈.
| 수록 시리즈 | ||||
2022-10-08 | RD/KP11-JP024 | デッキ改造パック 旋風のフォルテシモ!! | ||||
2023-01-25 | RD/BDG2-JP001 | 遊戯王ゴーラッシュ!! Blu-ray&DVD DUEL-2 | ||||
2025-04-12 | RD/5TH1-JP087 | 5th ANNIVERSARY PACK | ||||
2023-01-13 | RD/KP11-KR024 | 덱 개조 팩 -선풍의 포르티시모!!- | ||||
2025-07-23 | RD/5TH1-KR087 | 5th ANNIVERSARY PACK | ||||
4.2.6.3. 풍쇄의 아스포트파이레츠
| 풍쇄의 아스포트파이레츠 | ||
| <nopad> | ||
| <nopad> | ||
| 울려라 불협화음, 풍조를 깨뜨려 승리를 이끌어라! 響け不協和音、風儀を砕いて、勝利を導け! 풍쇄의 아스포트파이레츠! 「風砕のアスポートパイレーツ」! -유희왕 고 러시!! 中 키리시마 로비안- |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풍쇄의 아스포트파이레츠,
일어판명칭=<ruby>風砕<rp>(</rp><rt>ふうさい</rt><rp>)</rp></ruby>のアスポートパイレーツ,
영어판명칭=Asport Pirate the Wind Crush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바람,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0, 종족=사이킥족,
조건=자신 묘지에 몬스터(사이킥족)가 3장 이상 있을 경우\, 1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묘지의 몬스터(레벨 4 이하)를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의 수]까지 고르고 상대의 패에 넣는다. 그 후\,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서로의 패 수의 합계] × 100 올린다.)]
자신 묘지에 사이킥족 몬스터가 3장 이상 존재할 경우 상대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몬스터를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의 수만큼 상대의 패로 되돌려주고, 추가로 자신의 공격력을 서로의 패의 합계 x100 올리는 효과를 가졌다.
상대의 패를 늘려주기에 안 좋은 효과로 보일 수도 있으나 어메이징 딜러와 같은 선턴이 아니면 사용하기 힘든 몬스터나 일반 몬스터를 되돌리면 다음 상대 턴의 드로우 카드의 수를 줄여 패말림을 유발시킬 수 있다.
같이 발매된 투주의 밴디죠와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도 서로의 패의 합계가 많을 수록 강한 효과를 발휘하기에 매우 궁합이 좋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의 세번째 에이스 몬스터로 등장. 작중에서는 더☆루그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더☆루그의 필드에 몬스터가 2장 존재하는 상태에서 효과를 발동하여 루그의 패에 몬스터를 2장 추가시키고 양쪽의 패가 5장이 되면서 공격력을 500 올렸다. 여기에 중장 더블넥스칼리버와 천장 더글래식을 장착해서 공격력을 3500으로 강화하여 레이 드래곤과 아이스배럴 드래곤을 격파했으나, 다음 턴 바이슬래셔로 강화된 더☆드라기아스의 공격에 파괴된 후 연이은 직접 공격에 로비안이 패배했다.
이름의 어원은 아스포테이션(절도)[2] + 파이레츠. 애니 출신 최상급 중에서 유일하게 소리나 음악과 관련된 단어가 이름에 없는데, 소환 대사에서 불협화음 운운하는 것은 이 때문으로 보인다.
| |
| 설정화 |
| 수록 시리즈 | ||||
2022-10-08 | RD/KP11-JP025 | デッキ改造パック 旋風のフォルテシモ!! | ||||
2023-01-13 | RD/KP11-KR025 | 덱 개조 팩 -선풍의 포르티시모!!- | ||||
4.2.6.4. 극주의 마하바이오
| 극주의 마하바이오 | ||
| <nopad> | ||
| 분노한 포크는 잼버리! 어드밴스 소환하노니! 슈퍼스타도 꿈이 아니다! 怒れるフォークはジャンボリー!アドバンスに召喚すれば!スーパースターも夢じゃない! 연주하라, 극주의 마하바이오! 奏でろ、極奏のマッハヴァイオ! -유희왕 고 러시!! 中 키리시마 로비안- | ||
| |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극주의 마하바이오,
일어판명칭=<ruby>極奏<rp>(</rp><rt>きょくそう</rt><rp>)</rp></ruby>のマッハヴァイオ,
영어판명칭=Machvio of the Ultimate Aria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바람, 레벨=7, 공격력=2400, 수비력=1400, 종족=사이킥족,
조건=없음,
지속효과=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가 장착하고 있는 장착 마법 카드의 수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일반 몬스터의 수의 합계] × 500 올린다.)]
장착 마법 1장만 있어도 공격력 2900이 되므로 최상급 몬스터의 웬만한 기준치를 웃돌게 된다. 사이킥족이니 대응하는 장착 마법도 나름 충실하며, 장착해서 얻는 강화 수치까지 합하면 더한 어태커로 만들어줄 수 있다. 상대 일반 몬스터 수에 따라 또 강화가 가능하지만, 어디까지나 상대에 의존하는 것이니 덤으로 쳐두도록 하자.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46화에서 키리시마 로비안이 소게츠 마나부와의 듀얼 중 사용. 장착 마법 견장 이지슬라이드, 명장 파라스탠드를 장착하고 자신의 효과로 공격력을 4800으로 강화시킨 뒤에 크로마토그라파가스를 공격해 파괴했다. 다음 턴에 일시적으로 공격력이 5500까지 강화되었으나, 케미컬라이즈 샐러맨더, 알케미컬라이즈 사라만도라의 효과로 장착해놓은 장착 마법들이 전부 파괴된데다 공격력도 200까지 다운, 그대로 알케미컬라이즈 사라만도라의 공격에 파괴되며 로비안이 패배했다.
공격명은 '블러디 포크싱어(ブラッディ・フォークシンガー)'.
블루레이 & DVD 수록 특전 일러스트.ver에선 노을 지는 파론성을 배경으로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모습으로 바뀌었고, 이펙트 또한 오선 형태로 바뀌었다.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와 비교해보았을 때 전혀 반대의 배경 구도를 지닌 것이 특징.
| |
| 설정화 |
이름의 어원은 마하(음속) + 바이올린. 장착 마법 수에 따라 공격력을 500 강화하는 효과와 결부시켜 OCG의 마하 바일로도 참고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원주의 컨더글러와 동일 인물이다.
| 수록 시리즈 |
2023-01-21 | RD/KP12-JP010 | デッキ改造パック 強襲のダブルスター!! |
2023-7-26 | RD/BDG4-JP001 | 遊戯王ゴーラッシュ!! Blu-ray&DVD DUEL-4 |
2023-04-11 | RD/KP12-KR010 | 덱 개조 팩-강습의 더블스타!! |
4.2.6.5. 참주의 프랙트크라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00> | 유희왕 러시 듀얼 최강점프 동봉 카드(2023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 1월호 | 2월호 | 3월호 | 4월호 | |
| SJMP-JP022 사이버 서치 드래곤 | SJMP-JP023 해킹 드래곤 | SJMP-JP024 트랜잠 라이카 | SJMP-JP025 참주의 프랙트크라임 | |
| 5월호 | 6월호 | 7월호 | 8월호 | |
| SJMP-JP026 딥씨 헌터 | SJMP-JP027 새털라이트솔저 | SJMP-JP028 숙성의 라이트 소서러 | SJMP-JP029 디프로스트루퍼 | |
| 9월호 | 10월호 | 11월호 | 12월호 | |
| SJMP-JP030 퓨저닉 리바이반 | SJMP-JP031 더☆트리니티 드라기아스타 | SJMP-JP032 낙오자 사역매지션 | SJMP-JP033 에클리케라스 드라콘 |
| ← 2022년ㆍ2024년 →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참주의 프랙트크라임,
일어판명칭=<ruby>斬奏<rp>(</rp><rt>ざんそう</rt><rp>)</rp></ruby>のプレクトクライム,
영어판명칭=Plectcrime of the Deadly Dirg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1500, 종족=사이킥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1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장착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그 후\,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400 올린다.)]
묘지에 장착 마법을 두는 사전 준비와 LP 코스트가 필요하긴 해도 1장의 어드밴티지를 얻으면서 공격력을 강화할 수 있는 성능은 우수하다. 회수한 장착 마법을 이 카드에 장착할 수 있다면 강화 수치에 맞춰서 3000 타점을 넘기는 것도 어렵지는 않을 듯 하다.
| |
嵐より生まれし無限なる轟音、その鋭き音で全てを切り裂け。アドバンス召喚、「斬奏のプレクトクライム」!!!!
"폭풍에서 태어난 무한한 굉음, 그 예리한 소리로 모든 것을 베어갈라라. 어드밴스 소환, '참주의 프랙트크라임'!!!!"
키리시마 로비안, 유희왕 고 러시!! 코믹스 中
"폭풍에서 태어난 무한한 굉음, 그 예리한 소리로 모든 것을 베어갈라라. 어드밴스 소환, '참주의 프랙트크라임'!!!!"
키리시마 로비안, 유희왕 고 러시!! 코믹스 中
유희왕 고 러시!! 코믹스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유디아스 벨갸와의 듀얼 중 사용. 효과로 중장 더블넥스칼리버를 회수한 후 천장 더글래식과 함께 장착한 뒤에 트랜잠 라이나크와 트랜잠 라이커를 격파했다. 다음 턴에 자신과 트랜잠 에피라이의 효과로 공격력이 상승한 트랜잠 라이나크 오버라이트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첫 듀얼에서의 행보나 이후 퓨전 강화체가 나오는 등 사실상 코믹스 로비안의 진 에이스로 묘사되고 있다.
공격명은 '풍화쌍인쇄(風華双刃殺)'.
이름의 어원은 플렉트럼 + 크라임(범죄).
| 수록 시리즈 |
2023-04-01 | RD/SJMP-JP025 | 最強ジャンプ(2023年4月号) 付属カード |
2023-12-16 | RD/HC01-JP045 | ハイグレードコレクション |
2023-10-20 | RD/EPP1-KR019 | 익스프레스 팩 |
2024-04-17 | RD/HC01-KR042 | 하이그레이드 컬렉션 |
4.3. 퓨전 몬스터
4.3.1. 레벨 7
4.3.1.1. 블루그래스 하이스틸러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블루글래스 하이스틸러,
일어판명칭=ブルーグラス・ハイスティーラー,
영어판명칭=Bluegrass High Stealer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1200, 종족=사이킥족,
소재="블루그래스 스틸러" + "피들바두르",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의 마법 카드가 있을 경우\, 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또는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그 후\, 자신 묘지의 "피들바두르"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블루그래스 스틸러의 진화체.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의 마법 카드가 있으면 마법 / 함정을 패로 돌리고 퓨전에 쓴 피들바두르를 회수할 수 있다.
시아큅 퓨전의 회수 효과로 조건 충족하기도 쉽고 피들바두르의 회수 효과를 통해 연속 퓨전을 노릴 수 있다. 이 경우 밴디바나 프랙트크라이브의 효과를 위해 자신의 마법 / 함정을 회수한다는 선택지도 있다.
| 수록 시리즈 |
2023-11-11 | RD/KP15-JP041 | 闇黒のレッドリブート |
2024-03-15 | RD/KP15-KR041 | 암흑의 레드리부트 |
4.3.1.2. 프란돌린 아라모드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프란돌린 아라모드,
일어판명칭=プランドリン・アラモード,
영어판명칭=Plandolin-a-la-Mod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7, 공격력=2200, 수비력=2000, 종족=사이킥족,
소재="프란돌린" + "피들바두르",
조건=없음,
지속효과=자신이 "퓨전" "사이큅 퓨전"의 효과로 몬스터(레벨 8 이상)를 퓨전 소환할 경우\, 자신 묘지의 몬스터(사이킥족)를 소재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소재는 필드 / 묘지에서 주인의 덱으로 되돌아간다.)]
퓨전과 사이큅 퓨전의 효과로 퓨전 소환할 경우 필드와 묘지의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고 퓨전 소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소재인 프란돌린도 퓨전을 가져오기에 이 카드를 빠르게 소환할 수 있다.
다만 콘택트 퓨전 같은 소환 조건이 있는 것도 아니라 퓨전을 서포트하는 자신이 퓨전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 상당한 하자인 카드. 이 카드에 대응하는 2장의 퓨전은 단일의 어드밴티지가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2장을 겹쳐 잡은 것으로도 이미 상당한 부담이 된다. 비슷한 효과를 받은 환괴와 비교하자면 따로 퓨전을 소모하지 않으면서 퓨전을 가져오는 카드도 많아 하자성이 상당히 돋보인다.
| 수록 시리즈 |
2024-08-10 | RD/KP18-JP042 | 幻影のダークマター |
2024-11-19 | RD/KP18-KR042 | 환영의 다크매터 |
4.3.2. 레벨 9
4.3.2.1. 순가투주의 밴디바
| ||
| <nopad> | ||
| 참는 것의 한계 아득히 넘어... 참는 것이 한계 돌파 모드! ガマンの限界、遥かに越えて!ガマンが限界突破モード! 노하라! 날뛰어라! 怒れ!荒ぶれ! -유희왕 고 러시!! 中 키리시마 로비안-[3] |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순가투주의 밴디바,
일어판명칭=<ruby>瞬苛闘奏<rp>(</rp><rt>しゅんかとうそう</rt><rp>)</rp></ruby>のバンディーヴァ,
영어판명칭=Bandiva the Ballistic Battle Ballad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9, 공격력=3000, 수비력=2100, 종족=사이킥족,
소재="투주의 밴디죠" + "피들바두르",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그 후\, 이 카드의 공격력은 다음 상대 턴 종료시까지\, [서로의 패 수의 합계] × 500 올린다. 자신의 패가 1장일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최상급 몬스터를 소재로 요구하다 보니 꺼내기는 다소 까다롭다. 패 매수와 관련된 효과인 만큼 블루그래스 스틸러나 소생 카드로 소비를 최소화시켜서 전개할 필요가 있다. 피들바두르가 사이큅 퓨전을 회수할 수 있으니 소재만 갖춰진다면 퓨전 소환은 저절로 성사될 것이다.
드로우와 자체 강화 효과가 있는 덕분에, 퓨전 소환에 들어간 어드밴티지 손실을 줄이면서 최소 공격력 3500의 타점을 얻을 수가 있다. 투주의 밴디죠, 사이큅 퓨전의 효과로 회수하면 최대 1000을 찍고, 그밖에 패가 남아 있으면 더더욱 올라간다. 상대 턴에도 가장 높은 공격력으로 버틸 수 있으니 다른 몬스터를 지키는 염장 프렛베르쥬나 파괴 내성을 부여하는 아르테네의 가호하고도 상성이 좋다. 후자는 필드 유지력을 높여서 다음 턴까지 살아남으면 3000 가까이나 되는 강화도 가능하다.
상대 패도 포함하지만 보통은 상대 턴에 패를 되도록 남기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타이반 블루마이와의 콤보가 필수가 된다. 적용만 된다면 2500 강화가 이뤄지니 적극적으로 노릴 가치는 있다.
자신의 패가 1장일 경우 추가 효과로 상대 필드의 카드를 파괴할 수 있다. 이 경우 강화 수치는 고작 500에서 머물겠지만 어드밴티지 1장 분량은 얻을 수 있으므로 일장일단. 카드 종류도 따지지 않는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 카드의 전개 과정에서 사이킥족과 장착 마법이 들어오므로, 중장 더블넥스칼리버와 상성이 매우 뛰어나다. 공격력 4500에 2회 공격이 가능해지고, 패 1장이면 제거 효과도 쓸 수 있으니 단숨에 상대 LP를 깎아내릴 수가 있다. 타이반 블루마이의 효과로 상대 패를 늘렸다면 원턴킬도 어렵지 않다.
최초의 레벨 8 이상 사이킥족 몬스터로, 그 전까지 레벨 8을 넘기는 사이킥족 관련 퓨전 몬스터는 오메가사이킥족 밖에 없었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고하 유나와의 듀얼 중 사용. 사이큅 퓨전의 효과로 퓨전 소환된 후 중장 더블넥스칼리버와 영장 아발로니아홀더를 장착시킨 다음 효과를 발동했다. 양쪽 패 합계가 로비안이 드로우한 1장 뿐이었기에 강화는 500에서 끝이었지만, 후반 효과로 유나의 셀레브로즈 데스와인드를 파괴하는 데에 성공. 자신과 같은 공격력 3800의 셀레브로즈 가십 매지션을 공격하고 영장 아발로니아홀더의 효과로 혼자 전투 파괴를 피해갔다. 중장 더블넥스칼리버 덕분에 2회 공격으로 결판을 내기 직전이었으나, 셀레브로즈 가십 매지션이 클로즈드 리턴의 효과로 되살아나는 바람에 마무리가 틀어졌고, 다음 턴 바라바런웨이의 효과로 수비 표시가 된 후 관통 능력을 얻은 셀레브로즈 매지션의 공격을 받으며 로비안이 패배했다.
작중 로비안이 퓨전 소환을 쓰는 것을 처음 봤다는 유나의 반응을 보면 이 카드가 그녀의 첫 퓨전 몬스터인 모양.
공격명은 '분노의 스트러글 스트링(怒りのストラグルストリング)'.
| |
|
두 눈과 헤어의 가장자리 부분이 붉게 빛나는 모습이 특징인데, 이는 주인인 키리시마 로비안과 그 후손인 키리시마 로민의 '참는 게 한계' 모드의 모습에서 따온 것으로 설정화에서 밝혀졌다. 소환 대사에서도 노골적으로 암시하고 있다.
이름의 어원은 밴디트 + 디바.
| 수록 시리즈 |
2023-11-11 | RD/KP15-JP042 | 闇黒のレッドリブート |
2024-03-15 | RD/KP15-KR042 | 암흑의 레드리부트 |
4.3.2.2. 선자참주의 프랙트크라이브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선자참주의 프랙트크라이브,
일어판명칭=<ruby>旋紫斬奏<rp>(</rp><rt>せんしざんそう</rt><rp>)</rp></ruby>のプレクトクライブ,
영어판명칭=Plectclive the Dynamauve Deadly Dirg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9, 공격력=3000, 수비력=2100, 종족=사이킥족,
소재="참주의 프랙트크라임" + "피들바두르",
조건=패의 마법 카드를 2장까지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8 이하 / 바람 속성 / 사이킥족)를 [이 효과의 조건으로 보여준 카드의 수]만큼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참주의 프랙트크라임의 진화체.
참주의 효과를 발동한 후 사이큅 퓨전으로 퓨전소환을 하면 바로 풀 파워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구조이다.
다만 원본의 참주나 밴디죠의 경우 일반 소환을 해야 효과를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효과로 밴디바의 퓨전을 위한 세트를 꺼내거나 패에 있는 다른 상급 몬스터를 꺼내기 위한 소재들을 꺼내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유희왕 고 러시!! 코믹스에서 키리시마 로비안이 사용한 몬스터이다. 본인 효과로 프렛베르쥬 2장을 공개하고 밴디죠와 프랙트크라임을 소생시켜 오도 유아무를 압도하지만 다음턴 레드부트 인핸스드 부스트드래곤의 공격에 당해 로비안의 패배로 끝났다.
이름의 어원은 플렉트럼 + 라이브.
| 수록 시리즈 |
2023-11-11 | RD/KP15-JP043 | 闇黒のレッドリブート |
2024-03-15 | RD/KP15-KR043 | 암흑의 레드리부트 |
4.3.2.3. 화접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일
| 화접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일 | ||
| <nopad> | ||
| 꽃처럼 싱, 나비처럼 포엠! 바람이 그리는 내추럴 하모닉스! 華のようにシング 蝶のようにポエム 風が彩るナチュラルハーモニクス 화접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일 첫 피로! 「華蝶風彩のプロフェシーフレイル」 初・披・露! -유희왕 고 러시!! 中 키리시마 로비안- |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화접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일,
일어판명칭=<ruby>華蝶風彩<rp>(</rp><rt>かちょうふうさい</rt><rp>)</rp></ruby>のプロフェシーフレイル,
영어판명칭=Prophecy Flail of the Colors of the Wind\, Butterflies\, and Flowers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바람, 레벨=9, 공격력=2900, 수비력=2200, 종족=사이킥족,
소재="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 + "피들바두르",
조건=없음,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하)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그 후\, 상대 묘지의 몬스터를 전부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되돌렸을 경우\, 추가로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1200 올리고\,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순가투주의 밴디바, 선자참주의 프랙트크라이브에 이어 3번 째로 등장한 샤먼 밴디트 에이스 몬스터의 진화체. 이번에는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의 퓨전 진화체이다.
아무런 코스트 없이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파괴하고, 그와 동시에 상대 묘지의 몬스터를 전부 덱으로 되돌리며 타점 1200 업 그리고 1장 드로우라는 그야말로 어마무시하게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아무리 퓨전과 장착 마법 기믹을 가지고 있는 샤먼 밴디트라 하더라도 정말 단순하게 강력한 수준.
상대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파괴한 후 묘지에서 곧바로 덱으로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레전드 스트라이크같은 소생 류의 마법 / 함정도 모두 무용지물로 만들어버릴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다크 레버레이션같은 묘지의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하는 강력한 함정도 모두 발동 불능상태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 그 뿐만이 아니라 상대의 묘지 자원을 전부 덱으로 회수시켜버렸기 때문에 다음 턴, 묘지 자원이 필요한 상대에게 치명타를 줄 수도 있다.
또한 최대 공격력은 4100에, 1장 드로우로 자신의 어드밴티지 또한 늘리며 원작의 연출 그대로 중장 더블넥스칼리버의 코스트로 사용할 수 있다. 그렇게 나오는 결과물은 공격력 4100의 2회 공격.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프린세스 음유시인과의 듀얼 중 사용. 프린세스의 필드에 놓인 3체의 채광의 프리마기타나 중 1체를 파괴하고 묘지의 몬스터를 전부 덱으로 되돌려 서로의 묘지의 일반 몬스터의 수만큼 공격력을 올리는 채광의 스테이지의 효과를 무용지물로 만들었다. 또한 1장 드로우로 풍쇄의 아스포트파이레츠를 드로우하여 사이큅 퓨전의 효과로 회수한 중장 더블넥스칼리버를 장착. 2회 공격으로 피니셔를 냈다.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가 채광의 프리마기타나와 포지션이 같다 보니 프리마기타나의 퓨전체인 채광초 오메가기타나와 채광초 프린세스오메가의 효과와 비슷한 부분을 가지고 있다.[4]
효과명은 '세메터리 퍼레이드(セメタリー・パレード)'. 공격명은 '스파이시 갤럭시 템페스트(スパイシー・ギャラクシー・テンペスト)'.
| 수록 시리즈 |
2024-02-10 | RD/KP16-JP043 | 超越のトランザム |
2024-05-10 | RD/KP16-KR043 | 초월의 트랜잠 |
4.3.3. 레벨 10
4.3.3.1. 풍주조가의 밴디바 D
| | |
| 울트라 레어 | 오버 러시 레어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풍주조가의 밴디바 <ruby>D<rp>(</rp><rt>듀오</rt><rp>)</rp></ruby>,
일어판명칭=<ruby>風奏調苛<rp>(</rp><rt>ふうそうちょうか</rt><rp>)</rp></ruby>のバンディーヴァ・<ruby>D<rp>(</rp><rt>デュオ</rt><rp>)</rp></ruby>,
영어판명칭=Bandiva Duo the Elegy of the Wailing Wind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바람, 레벨=10, 공격력=3600, 수비력=2400, 종족=사이킥족,
소재=몬스터(레벨 7 / 바람 속성 / 사이킥족) × 2,
조건=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패 / 필드의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상대 패의 수와 상대 필드의 카드의 수의 합계] × 300 올린다. 자신 묘지에 일반 몬스터가 있을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최초로 피들바두르를 소재로 하지 않는 퓨전 몬스터이자, 샤먼 밴디트의 최종 에이스.
소재는 레벨 7 / 바람 속성 / 사이킥족 2장으로, 상당히 빡빡하게 들고 나왔지만 함께 출시된 프리퍼라이어를 쓴다면 생각보다 쉽게 충족할 수 있다.
소재에 걸맞게 효과는 매우 강력하다. 패/필드의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상대의 패/필드의 카드의 수 ×300만큼 공격력을 대폭 강화시키며, 묘지에 일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카드를 종류 상관없이 1장 파괴할 수 있다.
| |
| |
디자인은 투주의 밴디죠와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를 합친 것. 때문에 눈동자도 밴디죠의 푸른색과 프로퍼시프레이즈의 붉은색을 합친 오드아이 디자인이다.
| 수록 시리즈 |
2025-04-12 | RD/5TH1-JP027 | 5th ANNIVERSARY PACK |
2025-07-23 | RD/5TH1-KR027 | 5th ANNIVERSARY PACK |
4.4. 마법 카드
마법 카드는 사이큅 시리즈를 제외하면 이름의 앞에 ~장 이라는 글자를 가진 장착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4.4.1. 일반 마법
4.4.1.1. 사이큅 퓨전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사이큅 퓨전,
일어판명칭=サイクイップ・フュージョン,
영어판명칭=Psyquip Fusi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사이킥족)를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고\, 퓨전 소환한다. 그 후\, 자신 묘지에 몬스터(바람 속성)가 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장착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사이킥족 전용 퓨전 마법. 원작과 비교해 장착 마법 회수 조건이 묘지에 바람 속성이 있는 것으로 변해 다른 퓨전 몬스터를 뽑아도 회수를 쓰는 것이 가능해졌다.
퓨전 몬스터를 꺼내면서 묘지의 장착 마법을 회수할 수 있지만 사이킥이 사용할 수 있는 장착의 전반적인 질이 좋지 않은 데다 일반 퓨전과 다를 바 없는 사용감이 문제. 이 카드를 서포트하는 카드들은 대개 퓨전도 같이 지정하기에 서포트가 많은 퓨전을 우선시할 수 있다.
일러스트면에선 가운데의 보물들과 밴디죠와 피들바두르의 실루엣에 디테일이 더해지고 단순히 이전 퓨전이나 융합 일러스트의 포즈를 따라한 것이 아니라 보물을 향해 손을 뻗는 동작이 들어가는 등 상당한 상향을 받았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 키리시마 로비안이 고하 유나와의 듀얼 중 사용. 비브라 브리간드의 효과로 드로우된 후 발동하여 순가투주의 밴디바를 퓨전 소환했다. 이후 후반 효과로 영장 아발로니아홀더를 회수했다.
카드 이름은 사이킥과 장착을 의미하는 이큅(equip)을 합친 것이다.
| 수록 시리즈 |
2023-11-11 | RD/KP15-JP051 | 闇黒のレッドリブート |
2025-04-12 | RD/5TH1-JP127 | 5th ANNIVERSARY PACK |
2024-03-15 | RD/KP15-KR051 | 암흑의 레드리부트 |
2025-07-23 | RD/5TH1-KR127 | 5th ANNIVERSARY PACK |
4.4.1.2. 사이큅 다 카포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사이큅 다 카포,
일어판명칭=サイクイップ・ダ・カーポ,
영어판명칭=Psyquip da Capo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2장을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자신 묘지의 "퓨전" 또는 "사이큅 퓨전" 1장을 고르고 덱 위나 아래로 되돌릴 수 있다. 되돌렸을 경우\, 추가로 자신 묘지의 몬스터(바람 속성 / 사이킥족)\, "퓨전"\, "사이큅 퓨전" 중에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퓨전과 사이큅 퓨전을 회수하는 효과를 지닌 마법 카드.
피들바두르를 제외하면 사이큅 퓨전이 묘지로 보내질 경우 회수 수단이 전무했던 샤먼 밴디트 테마에 퓨전 테마로서의 안정성을 더욱 더해주며, 여기에 기본 효과인 2장 덤핑도 묘지에 사이큅 퓨전을 보낼 수 있도록 보조해준다. 다만 피들바두르와 달리 갤럭티아라 F 이브처럼 덱 위나 아래로 되돌리는데, 이는 덱 위로 되돌린 다음 프란돌린 또는 칠보선 등의 부스팅 카드와 연계할 경우 손쉽게 패로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퓨전과 사이큅 퓨전을 되돌렸을 경우 묘지의 동명 카드 또는 풍사이킥 몬스터 중에서 1장을 회수하는 효과를 지녔다. 덕분에 퓨전 소재로 쓸 몬스터를 회수할 수 있게 되었으며,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프란돌린 자체를 회수해서 바로 덱 위로 되돌린 사이큅 퓨전을 패로 가져오거나, 여기서 더 나아가 프란돌린 아라모드를 뽑아내는 연계도 가능하다.
| 수록 시리즈 |
2024-08-10 | RD/KP18-JP052 | 幻影のダークマター |
2024-11-19 | RD/KP18-KR052 | 환영의 다크매터 |
4.4.2. 장착 마법
4.4.2.1. 중장 더블넥스칼리버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중장 더블넥스칼리버,
일어판명칭=<ruby>重装<rp>(</rp><rt>じゅうそう</rt><rp>)</rp></ruby>ダブルネクスカリバー,
영어판명칭=Heavy Arms - Double Nexcalibur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패의 몬스터(바람 속성 / 사이킥족) 1장을 묘지로 보내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사이킥족)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발동효과=장착 몬스터는 1턴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장착 몬스터에게 2회 공격 능력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진 사이킥족 전용 장착 마법.
패 코스트 지정으로 인해 사이킥족 덱 중에서도 바람 속성 중심 타입에서 쓰이게 될 것이다. 일단 장착 대상에 속성 지정은 없으니 어느 정도 속성을 혼용해도 발동해볼 수는 있다.
투주의 밴디죠와 상성이 좋은 편으로, 해당 카드의 샐비지 효과로 패 코스트를 준비하면서 자기 강화 효과로 2회 공격 능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시크릿오더로 소생시킬 수 있는 핸디레이디도 장착 대상으로 적합하며, 공격력 3100으로 2회 공격이 가능해진다.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의 전체 약체화 효과 역시 시너지는 있지만, 먼저 이 카드를 장착하고 나서 해당 카드의 효과를 써줄 필요가 있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오도 유히&오도 유아무와의 2vs1 듀얼 중 사용. 로바림을 코스트로 삼아 발동하여 투주의 밴디죠에게 장착되면서 2회 공격으로 결판을 냈다. 발동시에는 밴디죠의 현악기가 대검으로 변형되는 것으로 연출되는데, 손잡이가 둘이라 양손으로 붙잡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후로도 로비안이 가장 주력으로 사용하는 장착 마법으로 비중 높게 등장한다. 장착한 몬스터에 따라 공격 방식이 바뀌는 것이 특징. 가령 밴디죠가 장착하면 진격의 거인의 리바이처럼 세로로 빠르게 회전하면서 상대를 베어내지만, 프로퍼시프레일이 장착하면 빔 공격으로 바뀐다.
| 수록 시리즈 |
2022-10-08 | RD/KP11-JP052 | デッキ改造パック 旋風のフォルテシモ!! |
2025-04-12 | RD/5TH1-JP079 | 5th ANNIVERSARY PACK |
2023-01-13 | RD/KP11-KR052 | 덱 개조 팩 - 선풍의 포르티시모!! - |
2025-07-23 | RD/5TH1-KR079 | 5th ANNIVERSARY PACK |
4.4.2.2. 염장 프렛베르쥬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염장 프렛베르쥬,
일어판명칭=<ruby>炎装<rp>(</rp><rt>えんそう</rt><rp>)</rp></ruby>フレットベルジュ,
영어판명칭=Flame Arms - Fretberg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 필드의 원래 종족이 사이킥족인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발동효과=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400 올린다. 장착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인 한\, 상대는 장착 마법 카드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몬스터에 공격 선언할 수 없다.)]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 강화 및 장착 마법을 장착하지 않은 몬스터에 대한 공격 봉쇄 효과를 가진 사이킥족 전용 장착 마법.
강화 수치는 그냥저냥. 장착 마법을 장착하지 않은 몬스터에 대한 공격 제한 효과도 로맨스 픽이 필드에 남아버린 상태에서 보험이 되어줄 수는 있다. 다만 장착 몬스터 자신을 포함해 장착 마법을 장착한 몬스터에 대한 공격을 막지 못하고, 이 카드가 제거될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과신은 금물.
장착 가능한 몬스터의 종족을 '원래 종족'으로 지정하는 최초의 장착 마법이기도 하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유디아스 벨갸와의 듀얼 중 사용.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에게 장착하여 공격력을 강화하고 다른 사이킥족 몬스터에 대한 공격도 봉쇄했다.
| 수록 시리즈 |
2022-10-08 | RD/KP11-JP051 | デッキ改造パック 旋風のフォルテシモ!! |
2023-01-13 | RD/KP11-KR051 | 덱 개조 팩 - 선풍의 포르티시모!! - |
4.4.2.3. 성장 스트라비숍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성장 스트라비숍,
일어판명칭=<ruby>聖装<rp>(</rp><rt>せいそう</rt><rp>)</rp></ruby>ストラビショップ,
영어판명칭=Sacred Arms - Strabishop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사이킥족)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발동효과=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100 올리고\, 수비력은 1500 올리며\, 그 몬스터는 상대의 함정 카드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장착 몬스터의 능력치 강화 및 함정 파괴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진 사이킥족 전용 장착 마법.
함정 카드를 통한 파괴는 기본적으로 공격 표시 몬스터나 전투를 실행하는 몬스터에 작용하는 일이 많아 수비 표시를 파괴하는 케이스는 드물다. 따라서 공격 표시 몬스터에 장착했을 경우에는 강화 효과가 덤이고 파괴 내성 부여가 메인이 될 것이며, 공격시에는 제거될 리스크를 경감할 수 있다. 반대로 수비 표시 몬스터에게 장착했을 경우에는 파괴 내성이 덤이 되고 강화 효과가 메인이 될 테니 전투를 통한 벽으로서의 내성을 비약적으로 높여준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유디아스 벨갸와의 듀얼 중 사용. 투주의 밴디죠에게 장착하여 강화 및 파괴 내성을 부여했으며, 이로써 스트레인지 어트랙터의 효과를 피해가고 공격을 일방적으로 성공시켰다. 또한 수비력 강화 효과는 다음 턴에 발동한 미드나이트 타케다케시프에 의한 공격 제한에 활용되었다.
| 수록 시리즈 |
2022-10-08 | RD/KP11-JP053 | デッキ改造パック 旋風のフォルテシモ!! |
2023-01-13 | RD/KP11-KR053 | 덱 개조 팩 - 선풍의 포르티시모!! - |
4.5. 함정 카드
함정 카드는 대부분 끝에 '시프(Thief)' 라는 단어가 들어가며 일러스트는 대부분 소속 카드군 몬스터가 공격을 피해 도주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4.5.1. 포스 오브 카지바시프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포스 오브 카지바시프,
일어판명칭=フォース・オブ・カジバシーフ,
영어판명칭=Force of Thief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카드가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마법 / 함정 카드를 2장까지 고르고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한다. 그 후\,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 사이킥족)를 3장까지 고를 수 있다. 고른 경우\, 이 턴에\, 그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조건을 상대에게 의존하기 때문에 패나 필드에 자리만 차지하기 쉽고, 이 카드 자신이 저격당하면 발동도 할 수 없다. 또한 세트한 함정 카드는 그 턴에 발동할 수도 없기 때문에 그 턴에 상대의 플레이를 막아보기는 힘들다. 레벨 7 이상의 사이킥족 몬스터에게 전투 파괴 내성을 주는 효과는 유용하겠지만, 조건 특성 상 쓸 수 있는 상황이 매우 한정된다는 것이 문제.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키리시마 로비안이 오도 유히&오도 유아무와의 2vs1 듀얼 중 사용. 세트된 픽업 스트럼이 조인테크 렉스의 효과로 파괴되는 순간 발동하여 파괴된 픽업 스트럼을 그대로 세트하고,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에게 전투 파괴 내성을 부여했다.
카드명의 어원은 일본어 관용구 '불난 집 도둑질(火事場泥棒)'과 카지바노 바카지카라.
| 수록 시리즈 |
2022-10-08 | RD/KP11-JP064 | デッキ改造パック 旋風のフォルテシモ!! |
2023-01-13 | RD/KP11-KR064 | 덱 개조 팩 - 선풍의 포르티시모!! - |
4.5.2. 트래디셔널 택스
해당 항목 참고.4.5.3. 노바디 스캣시프
| | |
| 오버 러시 레어 | 시크릿 레어 |
| 일러스트 1 | |
| <nopad> |
| 일러스트 2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노바디 스캣시프,
일어판명칭=ノーバディ・スキャットシーフ,
영어판명칭=Nobody Scat Thief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상대의 공격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3장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은 패를 1장 이상 고르고 묘지로 보낸다.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없을 경우\, 추가로 이 턴에\, 상대 몬스터(레벨 8 이하)의 공격으로 자신은 전투 데미지를 받지 않는다.)]
조건은 수동적이기는 해도 듀얼 중 저절로 채우기 쉬운 부류에 속한다. 묘지에 보내는 카드를 1장이라 친다면 이 카드와 파괴된 몬스터의 소비만큼 어드밴티지를 채울 수 있다. 상대 턴에는 패를 늘릴 메리트가 별로 없지만, 함정 카드 등에 걸려서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이 가능하다면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묘지로 보내는 매수는 임의로 고를 수 있으므로 묘지 덤핑을 우선시한다면 여러 장 묘지로 보내줄 수도 있다. 특히 상대 턴에는 일시적으로 패를 늘리기보다도 이후 전개를 위해 묘지를 늘리고자 하는 케이스도 적지는 않을 것이다.
이 카드를 발동할 때 자신의 몬스터가 없다면 추가로 후속 효과 덕분에 전투 데미지를 막을 수 있으니 버티기도 쉬워진다. 처음 사용하는 유저들이 자신의 필드위의 몬스터가 남아 있는 상황에 발동해서 추가의 데미지 무효 효과를 놓치는 경우도 종종 나왔다. 다만 레벨 9 이상의 퓨전 몬스터나 맥시멈 몬스터한테는 통하지 않으니 과신은 금물. 물론 자신의 턴에 발동했을 경우라면 이 효과는 의미가 없다.
카드명의 어원은 일본어 관용구 '고양이 한 마리 없다(猫の子一匹いない)'와 도둑고양이. 여기에 재즈의 창법 중 하나인 스캣까지 겹쳐놨으며, 일러스트에서 훔치고 있는 보물도 고양이 모양이다.
| 수록 시리즈 | ||||
2023-05-13 | RD/KP13-JP060 | 閃光のオブリビオン | ||||
2024-10-01 | RD/S243-JP005 | スペシャルビクトリーパック2024Vol.3 | ||||
2025-04-26 | RD/SD0E-JP040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黒魔術の儀式 | ||||
2023-08-18 | RD/KP13-KR060 | 섬광의 오블리비언 | ||||
2025-08-20 | RD/SD0E-KR040 | 흑마술의 의식 | ||||
5. 미발매 카드
5.1. 마법 카드
5.1.1. 장착 마법
5.1.1.1. 천장 더글래식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천장 더글래식 <sub>(미발매)<sub>,
일어판명칭=<ruby>天装<rp>(</rp><rt>てんそう</rt><rp>)</rp></ruby>ダグラシック,
영어판명칭=Heavenly Arms - Daglassic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사이킥족)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발동효과=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장착 몬스터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자신은 1000 LP 회복한다.)]
5.1.1.2. 견장 이지슬라이드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견장 이지슬라이드 <sub>(미발매)<sub>,
일어판명칭=<ruby>堅装<rp>(</rp><rt>けんそう</rt><rp>)</rp></ruby>イージスライド,
영어판명칭=Strong Arms - Aegislid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사이킥족)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발동효과=장착 몬스터는 상대 몬스터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장착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있는 한\, 서로 패 / 묘지에서 몬스터(레벨 7 / 8)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5.1.1.3. 명장 파라스탠드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명장 파라스탠드 <sub>(미발매)<sub>,
일어판명칭=<ruby>冥装<rp>(</rp><rt>めいそう</rt><rp>)</rp></ruby>パラスタンド,
영어판명칭=Dark Arms - Parastand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의 LP가 상대의 LP보다 적고\, 자신 필드에 이 카드 이외의 앞면 표시의 "명장 파라스탠드"가 없을 경우\,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사이킥족)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발동효과=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서로의 LP의 차]만큼 올린다.)]
5.1.1.4. 령장 아발로니아홀더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령장 아발로니아홀더 <sub>(미발매)<sub>,
일어판명칭=<ruby>霊装<rp>(</rp><rt>れいそう</rt><rp>)</rp></ruby>アヴァロニアホルダー,
영어판명칭=Soul Arms - Avalonia Holder <sub>(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사이킥족)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발동효과=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의 수] × 100 올린다.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의 "중장 더블넥스칼리버"가 있을 경우\,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중장 더블넥스칼리버"는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추가로\, 자신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는 전투와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홀더라는 이름처럼 더블넥스칼리버에 씌우는 식으로 장착한다. 효과 역시 더블넥스칼리버를 보호해주는 효과이다.
더블넥스칼리버와 장착 몬스터를 지켜줘 확실히 2회 공격을 먹일 수 있고 필드 유지를 도와준다. 하지만 더블넥스칼리버가 없으면 공격력 상승 수치가 너무 적은 장착 마법이 되니 발매되도 채용될지는 의문이다.
5.1.1.5. 영장 듀란달테이너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영장 듀란달테이너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永装<rp>(</rp><rt>えいそう</rt><rp>)</rp></ruby>デュランダルテイナー,
영어판명칭=Eternal Arms - Durandaltainer <sub>(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바람 속성 / 사이킥족)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발동효과=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수] × 300 올린다. 장착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될 경우\, 대신 자신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묘지로 보낼 수 있다.)]
효과명은 '데코이 앤 블루스(デコイ・アンド・ブルース)'.
5.1.2. 필드 마법
5.1.2.1. 장도 크레셰랜드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장도 크레셰랜드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装島<rp>(</rp><rt>そうとう</rt><rp>)</rp></ruby>クレッシェランド,
영어판명칭=Equip Island Cresceland <sub>(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서로의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의 합계가 4장 이상일 경우\, 덱 위에서 카드 4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카드가 필드 존에 앞면 표시인 한\, 서로의 필드의 장착 마법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장착하고 있는 장착 마법 카드의 수] × 500 올린다.)]
5.2. 함정 카드
5.2.1. 미드나이트 타케다케시프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미드나이트 타케다케시프 <sub>(미발매)<sub>,
일어판명칭=ミッドナイト・タケダケシーフ,
영어판명칭=Midnight Ferocious Thief <sub>(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상대가 마법 카드를 발동한 후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사이킥족) 1장을 고르고\, 그 수비력을 턴 종료시까지 1200 올린다. 이 턴에\, 상대는 [고른 몬스터의 수비력 이하의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로 공격할 수 없다.)]
카드명의 어원은 일본어 관용구 '도둑이 뻔뻔스럽다(누슷토 타케다케시이 / 盗人猛々しい)'.
5.2.2. 비기닝 오브 라이어시프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비기닝 오브 라이어시프 <sub>(미발매)<sub>,
일어판명칭=ビギニング・オブ・ライアーシーフ,
영어판명칭=Beginning of Lyre Thief <sub>(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상대가 드로우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묘지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뒷면 수비 표시로 할 수 있다. 골랐을 경우\, 이 턴에\, 그 몬스터는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없다.)]
카드명의 어원은 일본어 관용구 '거짓말쟁이는 도둑의 시작(嘘つきは泥棒の始まり)'.
5.2.3. 얼리버드 포티시프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얼리버드 포티시프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アーリーバード・フォーティーシーフ,
영어판명칭=Early Bard Fortithief <sub>(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카드가 2장 이하일 경우\, 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4장을 묘지로 보내고\, 자신은 500 LP 회복한다. 그 후\, 자신 묘지의 장착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바람 속성 / 사이킥족)에 장착할 수 있다.)]
카드명의 어원은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 알리바바를 비슷한 발음의 얼리버드로 바꿨으며, 거기에 ally(동맹)[5]와 bard(음유시인)까지 이중으로 겹쳐놓은 듯하다.
5.2.4. 헤이트록 어레스트시프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헤이트록 어레스트시프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ヘイトロック・アレストシーフ,
영어판명칭=Haterock Arrest Thief <sub>(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사이킥족)가 상대의 공격 또는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의 장착 마법 카드를 전부 세트한다. 다음 상대 턴 종료시까지\, 상대는 이 효과로 세트한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없을 경우\, 추가로 이 턴에\, 자신은 전투 데미지를 받지 않는다.)]
카드명의 어원은 일본어 관용구 '도둑이 밧줄을 원망한다(泥棒が縄を恨む)'.
[1] OCG와는 다르게 러시 듀얼은 카드명에 대한 테마의 구분이 없기 때문에 이름이 제각각 달라도 '샤먼 밴디트'라는 하나의 테마로 구분이 가능하다.[2] Asportation. 일상적인 단어는 아니고 법률 용어다.[3] 'ガマン'이 후손의 대사에 맞춰 '참는 것'이라고 직역되었으나, 'ガマン'이라는 일본어 자체가 한국어에 일대일로 대응시키기에는 용법이 다양한 말이다 보니 다소 어색한 문장이 되었다. 여기서는 '인내심' 정도로 치환하면 자연스러운 문장이 된다.[4] 필드의 카드를 파괴하고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는 채광초 오메가기타나, 묘지의 카드를 덱으로 되돌리는 효과는 채광초 프린세스오메가[5] ally의 명사 발음은 앨라이뿐이지만 일본에서는 재플리시로 종종 앨리/얼리로 쓰기도 한다. ally(アリー)라는 SNS 서비스도 있었으며, 특히나 코나미에게는 A·O·J라는 전례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