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6 19:11:02

삼진(초한시대)

삼진(초한쟁패기)에서 넘어옴
파일:IMG_0286.jpg
십팔제후왕[1]

1. 개요2. 역사3. 위치

1. 개요

三秦

진한교체기에 등장한 후초의 제후국. 항우진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한 옹(雍), 새(塞), 적(翟) 세 나라를 일컫는다.

2. 역사

기원전 206년 진나라를 멸망시킨 항우는 군주인 초의제을 무시하고 중국 각지에 제후들을 분봉했다. 가장 먼저 유력한 경쟁자인 패공 유방을 벽지 중의 벽지인 파촉한중을 다스리는 한왕으로 봉하고, 관중은 셋으로 나누어 항장인 장한을 옹왕에, 사마흔을 새왕에, 동예를 적왕에 봉했다. 이는 위험분자인 유방을 사천 분지에 가두어두고 삼진왕으로 하여금 감시하게 하여 두 번 다시 중원에 나오지 못하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하지만 막상 유방이 뛰쳐나오자 삼진은 허무하게 무너져내렸다.

재밌는 부분은 결국 이 삼진 평정 자체는 유방도 나름대로 명분이 있었다는 것이다. 과거 의제가 약속했던 것이 관중을 먼저 함락하는 자가 관중왕이 된다는 것이었는데, 항우가 '거짓말은 하지 않았다' 는 식으로 파촉에 유방을 봉함으로서 처리했는데 유방이 삼진을 평정함으로서 본디 의제가 내세운 약속대로 행동했다고 하면 그만이니까 말이다. 관중은 통상 함양 주변, 한-삼국시대의 옹주, 근현대의 섬서성을 의미하나, 넓게는 전국시대 시절 진나라의 영역을 의미하므로, 사마착의 정복 이래 진에 포함된 파촉이 포함되었다. 항우 측이 그 의미의 간극을 이용한 것.

이 삼진의 왕들은 관중의 왕으로 봉해질 자격도 없었다. 의제가 내세운대로 관중을 먼저 평정한 사람이 관중의 왕이 될 거라고 했는데 문제는 사마흔, 장한, 동예 등은 본래 진나라의 장수들로서 진승 오광의 난 이후로 구 육국 지역 곳곳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느라 돌아다니던 도중 항우와 거록에서 만나 격파당하고 항우에게 항복한 장군들이었다. 그래서 관중을 평정하는데 기여한 것이 아니라 왕으로 봉해질 마땅한 이유조차 불분명한 이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세 사람이 진나라 출신이긴 하지만 왕족 같은 것도 아닌만큼 진나라 유민들 기준으로도 딱히 혈통적 정당성도 없어서, 신안에서 진나라 군사를 20만 명이나 날려먹은 주제에 항우에게 붙어서 부귀영화를 누렸다고 생각했을 진나라 사람들이 하나둘이 아니었을 것이다.

때문에 유방은 아예 "저 세 명은 관중은 커녕 애초에 왕으로 봉해질 이유가 있기는 함?" 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 이들의 항복으로 진나라는 끝장나지만 그들의 항복을 받아낸건 항우이기에 이마저도 그 세 명이 아닌 항우의 공이다. 결국 유방 빼면 관중에 봉해진 왕들은 관중에 봉해질 명분도 없고 왕으로 봉해지는 것조차 항우가 아니었으면 힘들었을 것이다.

그래서 유방이 한중에서 뛰쳐 나와서 삼진을 평정할 때 이 지역은 너무나 쉽게 무너졌다. 명분도 유방에게 있고 지역 민심도 항우에게 원한을 가진 지역인만큼 반대급부로 유방에게 쏠린데다 항우의 앞잡이 취급을 받게 된 삼진왕들이 이 곳을 지키는 것은 처음부터 거의 불가능했다. 시간의 여유가 있었다면 지역 민심을 다잡고 기반을 닦을 기회라도 있었겠지만, 가능성 여부 이전에 유방이 한중에서 뛰쳐 나온 건 채 1년도 되지 않았다.

유방이 관중으로 나아가자 새왕 사마흔과 적왕 동예는 곧 항복해버렸다. 가장 먼저 침공을 받은 옹왕 장한은 연전연패했음에도 수도 폐구에서 버티고 있었지만 팽성대전에서 패배한 유방이 후방의 우환을 끊기 위해 폐구에 수공을 가하자 자결했다. 사마흔과 동예는 팽성대전 직후 다시 항우에게 투항했지만 새, 적 두 나라는 유방이 완전히 장악하여 군을 설치한 뒤였고, 그들도 사수 전투에서 패배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로써 삼진은 단 1년만에 무너지고 한나라의 일부가 되었다.[2]

3. 위치

옹나라의 영토는 함양 이서, 새나라의 영토는 함양 이동에서 황하까지, 적나라의 영토는 상군 전역이다. 전한의 행정구역으로 따지면 옹나라는 대략 우부풍과 농서·무도·천수[3]·북지·안정[4] 6군, 새나라는 대략 경조윤과 좌빙익 2군, 적나라는 상 1군이다. 인구수는 전한 기준으로는 대략 옹>새>적으로, 삼진왕 중 원래 진나라에서 가장 높은 위치였던 장한이[5] 가장 큰 몫을 가져간 건 당연한데 의외로 사마흔의 몫이 장한과 큰 차이가 안 나고 동예는 사실 이 둘에 견주기에도 민망할 만큼 조금 받았다.

옹나라의 수도는 폐구[6], 새나라의 수도는 약양[7], 적나라의 수도는 고노[8]다. 옛 진나라의 수도 함양이 황폐화되고 그나마도 옹과 새 두 나라가 나눠가졌으니 새 수도를 정하는 건 당연하고, 폐구는 한때 주나라의 수도였으며 약양은 나중에 한나라도 수도로 사용했었으니 입지도 괜찮았던 것 같다. 폐할 폐(廢)라는 망한 도시 삘나는 이름을 안 바꾼 건 신기하지만. 적나라의 수도는 상군의 전통적인 중심지 부시[9]가 아닌데, 당시 흉노가 부시까지 세력을 확대했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다른 지역을 수도로 정한 것 같다.
[1] 옹, 색(새), 적 세 나라가 바로 삼진이다.[2] 천하를 통일한 유방이 군국제를 실시할 때 삼진은 조정의 직할령이었다.[3] 이상 세 군은 진나라의 농서군에 해당[4] 이 두 군은 진나라의 북지군에 해당[5] 사마흔과 동예는 장한의 휘하 장수였다.[6] 지금의 싱핑시[7] 지금의 시안시 옌량구[8] 지금의 옌안[9] 지금의 위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