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13:47:45

비석 비에서 넘어옴
돌기둥/비석 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3획
고등학교
[1]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いしぶみ
-
표준 중국어
bē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碑는 '비석 비'라는 한자비석(碑石), 돌기둥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비석, 돌기둥
중국어 표준어 bēi
광동어 bei1
객가어
민북어
민동어
민남어 pi
오어 pe (T1)
일본어 음독
훈독 いしぶみ[2]
베트남어 bi

뜻을 나타내는 (돌 석)과 소리를 나타내는 (낮을 비)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래는 해시계용, 혹은 가축을 매어두는 등등 목적으로 사용하는 돌기둥을 가리키는 글자였다. 우리가 '비석'이라고 부르는 것을 한나라 이전 시대에는 각석(刻石)이라 부르다가 한나라 시절부터 비(碑)라고 부르게 되었다.

유의어로 갈()이란 글자가 있다. 여러 가지 비석을 총칭하여 비갈(碑碣)이라고 부른다. 정확하게는 비석 중에서도 머리 부분에 이수(螭首)나 가첨석(加檐石) 등을 더 얹은 것을 비(碑), 이런 것이 없고 비의 머리를 둥그렇게 다듬은 것을 갈(碣)이라고 구분한다. 당연히 갈보다는 비의 위계가 더 높고 제작도 어렵다.


유니코드에는 U+7891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口竹田十(MRHWJ)으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비석 갈)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낮을 비)의 총획이 8획이 아닌 9획이다. 문서 참조.[2] 돌을 뜻하는 고유어 いし(이시)와 글을 뜻하는 고유어 ふみ(후미)에서 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