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5 12:49:29

블루 노트

1. 음악 용어2. 재즈 음반사3. 공연장4. 젝스키스의 라이브 앨범5. 페어리 테일의 등장인물6. 페이지의 3집 앨범(1999년) 'Blue Note'
6.1. 수록곡 'Blue Note'

1. 음악 용어

blue note

재즈블루스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온음계 기준 근음부터 단3도, 감5도, 단7도를 말한다. 이 음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블루스 음계(blues scale)'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 ♭3, ♭5, ♭7로 표기되어 있다.
  • 6음음계
    • 장음계: 1, 2,♭3, 3, 5, 6
    • 단음계: 1, ♭3, 4, ♭5, 5, ♭7
  • 7음음계: 1, 2, ♭3, 4, ♭5, 6, ♭7('도리안 ♭5'와 동일)
  • 9음음계: 1, 2, ♭3, 3, 4, 5, 6, ♭7, 7

다만 이 음들이 실제로 어떻게 실현되는가에 대한 문제는 훨씬 복잡한데, 이는 블루 노트가 12음 평균율이 아닌 순정률에 기반해 있기 때문이다. 영문 위키백과 Blue note 문서에서 학자들이 추정한 값은 다음과 같다. 단, 센트(cents) 값은 근음과의 거리를 뜻하며, 소숫점 이하 세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1]
  1. 단3도
    7:6(266.87 cents)에서 350 cents 사이로 추정하며, 현실적으로는 5-limit 순정률 장3도(5:4, 386.31 cents)와의 관계를 고려해 5-limit 순정률 단3도(6:5, 315.64 cents)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2. 감5도
    학자들에 따라 7:5(582.51 cents), 11:8(551.32 cents)로 추정하며, 후자의 경우 순정률 완전4도(4:3, 498.04 cents)와의 관계를 고려한 추정값이다.
  3. 단7도
    이 역시 학자들에 따라 7:4(968.83 cents), 9:5(1017.60 cents)로 추정한다. 두 가지 모두 사용되며, 전자는 7배음을 고려한 자연7도(harmonic 7th)이며, 후자는 5-limit 순정률 단7도로 자주 사용되는 음정이다.

하지만, 현악기, 일부 관악기, 성악은 미분음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순정률 기반 음정 역시 실현 가능하지만, 건반악기에서는 전조 시 음정이 붕괴되어 순정률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들을 12음 평균율로 근사시켜 단순화한 것이 단3도(300 cents), 감5도(600 cents), 단7도(1000 cents)라는 표현이다. 물론 24음 평균율(24-TET, quarter tone)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감5도를 장4도(major 4th, 550 cents)로 대체하여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2. 재즈 음반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루 노트 레코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루 노트 레코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루 노트 레코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공연장

미국 뉴욕시 맨해튼 그리니치 빌리지 131 West 3rd Street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1년 11월 30일에 대니 벤수잔(Danny Bensusan)이 개장하였다. 재즈의 역사에서 중요한 공연장이다. 미국 와이키키, 일본 도쿄, 나고야, 중국 베이징, 슬로바키아 노베메스토 등에 지역 클럽이 위치해 있다.

디지 길레스피, 사라 본, 오스카 패터슨, 라오넬 햄턴 등 모던재즈 뮤지션들의 공연을 위해 설립되었고, 재즈의 공연장으로 활용 뿐만 아니라 제임스 카터, 레이 찰스 등 수많은 뮤지션들의 음반 녹음장으로도 활용되었다.

4. 젝스키스의 라이브 앨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lue Note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ue Not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ue Not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페어리 테일의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루노트 스팅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루노트 스팅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루노트 스팅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페이지의 3집 앨범(1999년) 'Blue Note'

페이지가 1999년 10월에 발매한 3집 앨범의 이름이다. 타이틀곡은 김조한과 같이 부른 'Say Goodbye'이다.

6.1. 수록곡 'Blue Note'

이 앨범의 수록곡이다.
Blue Note


[1] 음정에 따른 진동수 비가 [math(x:y)]이면 센트 값은 [math(1200 \log_{2}\frac{x}{y})]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