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21:33:37

브루킹스 연구소

<colcolor=#ffffff> 브루킹스 연구소
The Brookings Institution
파일:브루킹스 로고.png
<colbgcolor=#062C5E> 설립일 <colbgcolor=#ffffff,#1f2023>1916년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자 로버트 S. 브루킹스
유형 싱크탱크
본부 미국 워싱턴 D.C.
연구소장 세실리아 라우즈
연간 운영비 5억 3,800만 달러(2023년 기준)[1]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조직 및 운영4. 정치적 성향5. 연구 성과 및 영향력6. 주요 연구 프로그램 및 하위 기관

1. 개요

미국싱크 탱크. 미국은 물론 전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외교·안보 싱크 탱크 중 하나로 손꼽힌다. 주로 미중관계, 경제학, 도시정책, 거버넌스 , 인공지능, 국제개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한다.
본부는 워싱턴 D.C. 내 노스웨스트 지역의 매사추세츠 애비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일대는 '싱크탱크 로우(Think Tank Row)'라고도 불리는 싱크탱크 밀집 지대다. 해당 건물은 학술 행사, 회의, 언론 브리핑 등을 위한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2. 역사

로버트 S. 브루킹스(Robert S. Brookings)를 중심으로 기타 정치·경제계 인사들이 1916년 창설한 ‘정부연구소(Institute for Government Research)’를 그 기원으로 삼는다. 이후 1927년에는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로버트 브루킹스 대학원과 카네기 교육진흥재단 산하 경제연구소와 합병하면서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1920년대~30년대에는 대공황 당시 루스벨트 정부에 경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한편, 뉴딜 정책 중 일부에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마셜 플랜과 같은 국제 원조 정책 설계에도 깊이 관여하였다.

종전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연구 프로그램을 세분화하여 조직을 정비했다. 1970년대에는 미국 의회의 요청으로 미국 의회예산처(CBO) 설립에 기술적 조언을 제공했으며, 1986년 세제 개혁 당시에도 관련 분석을 담당했다. 21세기 들어서는 기술, 환경, 도시정책 등 다방면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3. 조직 및 운영

브루킹스 연구소는 이사회(Board of Trustees)에 의해 운영되며, 소장은 통상적으로 학계, 정부 또는 공공 부문 출신 인사 중에서 선임된다. 2025년 기준 소장은 세실리아 로우스(Cecilia Rouse)로, 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의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브루킹스 역사상 첫 흑인 여성 소장이기도 하다.

조직은 크게 경제연구, 외교안보, 도시정책, 글로벌 개발, 법제 및 거버넌스 등 다섯 개의 주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이외에도 글로벌 싱크탱크와의 협력체계를 통해 국제 연구 프로젝트도 다수 진행하고 있다.

4. 정치적 성향

공식적으로는 초당파적(nonpartisan) 성향을 표방하고 있으나, 진보적 성향을 지닌 연구자들의 비중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공화당 정부 시절에도 지속적으로 자문 역할을 수행한 바 있으며, 어디까지나 학술 기관이기 때문에 특정 정파의 이익을 노골적으로 대변하진 않는다. 일반적으론 중도파로 간주되는 편.

5. 연구 성과 및 영향력

매년 수백 건 이상의 보고서, 정책 제안, 학술 논문을 발표하며, 미국 연방정부의회는 물론 UN, 세계은행, OECD 등에서도 브루킹스의 자료를 참고하거나 직접 자문을 구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조세, 복지제도, 도시정책, 국제관계 분야에서는 정기적으로 정책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각종 저널, 팟캐스트, 정책 토론회 등을 통해 대중과의 접점도 유지하고 있으며, 종종 언론에서 인용되기도 한다.

6. 주요 연구 프로그램 및 하위 기관

  • 동북아시아 정책 연구소
  • 브루킹스-칭화 공공정책 연구센터
  • 중동정책센터

[1] 80% 이상이 기부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