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5 02:27:44

브라이언 음뵈모/국가대표 경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브라이언 음뵈모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브라이언 음뵈모/클럽 경력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

브라이언 음뵈모의 국가대표 경력을 서술한 문서.

2. 연령별

부계는 카메룬, 모계는 프랑스인 이중국적 보유자인데, 프랑스 태생이기에 프랑스 연령별 대표팀을 선택했다. 프랑스 U-17 첫 소집 이후 U-20과 U-21에서도 연이어 차출되었고 이후 성인팀도 자연스레 프랑스 국가대표팀을 선택할 것으로 보이나 동시에 카메룬에서도 꾸준히 러브콜을 받고 있는 상황이기에 어느 쪽을 택할 지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3. 데뷔

프랑스의 포지션 경쟁자들의 입지가 너무 확고했고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이 카타르 월드컵 본선 진출권 획득 후 꾸준히 러브콜을 보냈기 때문에 카메룬 대표팀에 합류할 의사를 표하며 최종적으로 카메룬 국적을 택했다. # #

2022년 9월 A매치 주간때 카메룬 국가대표팀 데뷔를 위해 방한한 것이 포착되면서 한국에서 펼쳐지는 우즈베키스탄전 혹은 한국전에서 A매치 데뷔를 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고, 9월 23일 우즈벡과의 경기에서 바로 A매치 데뷔전을 가지게 되었다. 다만 팀은 0대2 패배.

이어진 9월 27일 상암에서 진행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도 선발 출전했다. 양 팀의 답답한 경기력 속에서 순간적인 드리블과 기습적인 슛을 간혹 보여줬지만 골대 한 번 맞춘 것 외엔 이렇다할 활약 없이 무득점으로 마쳤고, 팀 또한 9월 A매치 무득점 2연패를 거두며 귀국하게 되었다.

4. 2022 FIFA 월드컵

파일:1245167568_ahcf15.jpg
카메룬의 월드컵 최종 명단에 들며 카타르로 향하게 되었다. 카메룬은 G조에 속하며 스위스, 세르비아, 브라질을 차례로 만나 브라질, 스위스에 이어 조 3위를 기록하며 탈락했지만, 음뵈모는 첫 대표팀 메이저대회를 경험하게 되었고 칼 토코 에캄비-추포모팅와 함께 주전 공격수로 활약하며 조별리그 세 경기 모두 선발 출전해 측면에서의 활발한 움직임과 압박으로 역사적인 브라질전 승리에 기여했다.[1]

5.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파일:b_1694564538.webp.jpg
2023년 6월 11일, 멕시코와의 친선전에서 A매치 데뷔골을 넣었다. 팀은 2:2 무승부.

9월 12일, 브룬디와의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선제골을 득점했다. 팀은 3:0 대승으로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10월 케냐와의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1골을 넣었고 팀은 4:1로 이겼다.

본선에서는 부상으로 1경기도 출전하지 못했고 카메룬도 16강에서 탈락했다.

6. 2026 FIFA 월드컵

6.1. 예선

  • 1R vs 모리셔스
    전반 추가시간 2분, 상대 키퍼의 선방 이후 세컨볼을 침착하게 마무리하며 선제골을 득점했고 카메룬은 후반전에 두 골을 더 넣으며 예선 첫 경기에서 3:0 완승을 신고했다.




  • 5R vs 에스와티니
    전반 초반에 시도한 중장거리 슈팅은 골대를 맞았고 이후 상대 박스 부근에서 수비를 벗겨내고 때린 공도 골대를 맞으며 불운이 겹치고 말았다.

  • 6R vs 리비아
    후반 53분, 후방에서 한번에 찔러주는 패스를 혼자서 몰고 올라가, 수비를 앞에 두고 한번 접은 뒤 침착하게 마무리하며 쐐기골을 넣었다.

  • 7R vs 에스와티니
    파일:ea5ea985cd53aa84df3f49d.webp.jpg

    전반 초반 박스 부근에서 올려준 크로스로 자책골을 유도하며 경기 시작한 지 6분만에 선제골을 만들었고 이후 전반 25분, 같은 위치에서 다시 올린 크로스를 은쿠두가 마무리하며 총 1어시스트 1자책골 유도를 기록했다.

  • 8R vs 카보베르데
    최근 경기들에서 좋은 모습을 연달아 보여줬기에 이번 경기에서 많은 기대를 받으며 출전했지만, 이른 시간 턴오버로 상대에게 공격 기회가 넘어가며 다일론 리브라멘토[2]의 슈팅까지 이어졌으나 다행히 안드레 오나나의 선방으로 실점을 막을 수 있었다.
    하지만 후반 54분, 리브라멘토가 발레바와의 몸싸움에서 승리하며 볼탈취 이후 하프라인부터 질주를 시작했고 이번에는 깔끔하게 마무리하며 1:0 결승골을 넣었다.

[1] 아프리카 팀이 월드컵에서 브라질을 이긴 첫 사례.[2] 엘라스 베로나 소속 공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