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하 공공기관 | |
남북하나재단 |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24FA2><colcolor=white> 탈북 | 탈북(과정과 사례 · 위장 탈북) →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 → 하나원 | ||||
현황 | 정치 · 문화 및 북한 내 경험 · 제도적 지원 및 문제 · 정부의 대응 · 경제 활동 · 법적 지위 · 인적 구성 | |||||
한국 외부의 탈북자 | 한국 외부의 탈북자 | |||||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
북한의 대응 | 북한의 대응 | |||||
한국 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이 받는 혜택과 난민 수용 문제 | 한국 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이 받는 혜택과 난민 수용 문제 | |||||
유관 기관 | 국가정보원 · 통일부 · 남북하나재단 |
- [ 펼치기 · 접기(해외 관련) ]
- ||<|4><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24FA2><colcolor=white> 항공편 선택 ||<|4><colbgcolor=#024FA2><colcolor=white> 안전한 항공사 및 항공편 ||<colbgcolor=#024FA2><colcolor=white> 대한민국 기준 || 오세아니아/아메리카 · 서아시아/유럽 · 아프리카 ||
미국/캐나다 기준 안전한 항공편(미국 기준) · 안전한 항공편(캐나다 기준) EU 기준 안전한 항공편(아일랜드 기준) · 안전한 항공편(노르딕 기준) · 안전한 항공편(영국 기준) · 안전한 항공편(프랑스 기준) · 안전한 항공편(이탈리아 기준) · 안전한 항공편(스페인, 포르투갈 기준) · 안전한 항공편(유럽 연합 기준) 아시아/대양주 안전한 항공편(싱가포르 기준) · 안전한 항공편(호주-뉴질랜드) · 안전한 항공편(이스라엘 기준) 해외 입국 시 주의사항 안전하지만 주의해야 하는 사항 · 위험한 국가들에 대한 사항 진로 선택 시 유의사항 사학 및 철학 계열 취업 시 주의사항 · 어문계열 취업 시 주의사항 · 대중문화 관련 업종 취업 시 주의사항 · 해외 활동 시 주의사항
남북하나재단 南北하나財團 Korea Hana Foundation | |
설립일 | 2010년 9월 27일 |
이사장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새창로 7 |
주무기관 | 통일부 |
형태 | 기타공공기관(정부출연연구기관)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제30조(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① 정부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보호 및 정착지원을 위하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이하 "재단"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② 재단은 법인으로 하며, 그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성립한다. ⑭ 이 법에 따른 재단이 아닌 자는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1] ⑮ 재단에 관하여 이 법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 중 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⑯ 그 밖에 재단의 설립·구성·운영과 지도·감독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2. 로고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시절에 사용된 로고다.
3. 사업
남북하나재단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한다(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제30조 제4항).- 북한이탈주민의 생활안정 및 사회적응 지원사업
-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지원사업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직업훈련에 필요한 사업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장학사업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전문상담인력의 양성과 전문상담사업
- 북한이탈주민과 관련된 민간단체 협력사업
- 북한이탈주민 지원을 위한 정책개발 및 조사·연구사업
-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실태조사 및 통계구축사업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영농정착지원에 관한 사업
- 그 밖에 통일부장관이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재단에 위탁하는 사업
4. 논란
4.1. 조민호 이사장의 성희롱 혐의
- 2024년 10월 24일, 국회 외통위 통일부 국정감사에서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조민호 이사장이 성희롱발언, 겸직(스카이데일리 대표이사) 금지 규정위반, 업무추진비 부적정 집행, 사찰 등의 의혹이 있다고 제기했다.
- 2024년 11월 7일, 국회 외통위에서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국정감사에서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조민호 이사장의 부적절한 발언과 행태에 대해 통일부장관에게 질의를 한 후, 조 이사장이 부서장-팀장을 소집해 '당사자는 무릎을 꿇고 사과해라', '본인과 상대하려면 목숨을 걸어야' 등 발언", "직무정지 후 감사원 의결사항"을 주장했다. 이에 대해 조민호 이사장은 "제보 내용 허위, 왜곡, 과장이 대부분", "당사자 색출 등의 언급은 없었다" 등 반박했다. #
- 2025년 1월 14일, 통일부 성희롱성폭력고충심의위원회는 8일에 접수된 의혹 심의결과, 조민호 이사장에게 '해임' 등 중징계를 권고했다. 접수된 내용은 "(육아)휴직하고 오면 내가 예전에 일한 곳에서는 자리가 없어졌을 것", "(제왕절개가) 뭐 애를 낳은 거냐, 박스에서 꺼낸 것", "압둘라, 나까무라 (외모비하)", "바퀴벌레 (북한이탈주민)", "걸레 (특정 국회의원)" 등 15건의 발언이 성희롱 및 차별로 판단되었다. 조민호 이사장은 심의위에 일부 발언은 인정, 일부 발언은 부인했다. "15건이 개별사안이 아닌 비슷한 내용을 쪼개놓은 것", "기억이 나지 않는 일이 다수", "사실이더라도 왜곡-과장 측면", "외모 비하는 당사자들이 웃으며 반응", "여직원 반바지 착용 언급은 성적 시선이 아닌 반바지를 입지 말라는 드라이한 발언" 등 반박했다. #
- 2025년 1월 21일, JTBC는 지난 10월 29일 조민호 이사장이 "가능한 모든 방법을 고민할 것", "당사자가 무릎 꿇고 사과해야 할 것", "누구라도 나와 상대했을 때는 목숨을 걸어야 돼" 등 발언한 녹취를 확보해 단독보도했다. 조민호 전 이사장은 JTBC와의 인터뷰에서 본인이 등기상 스카이데일리 대표이사인 점에 대해 "이미 2년여 전 사표를 낸 뒤 경영과 보도에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 스카이데일리 측을 상대로 등기 말소 소송에서 이겨 현재 절차를 밟고 있다"고 주장했다. #
- 2025년 1월 24일, 남북하나재단이 오전 긴급 이사회를 열어 조민호 이사장 해임을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 2025년 1월 24일, JTBC가 추가 확보 녹취들을 단독보도했다. "(일본 여성은) 허리에 담요를 차고 남자만 오면 자리를 깔고... 누가 아버지인지 알 수가 없잖아", "이번에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억수로 죽었잖아. 남자 씨를 말리는 거야. 한국 남자들도 러시아로 가면 돼" 등. #
5. 관련 문서
[1] 이를 위반하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는 과태료의 제재를 받는다(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제34조 제1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