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15:57:51

부생종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부생종
夫生鍾[1]으로 등재되어 있다.]
파일:부생종.jpg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이명 부영화(夫永華)
자 / 호 화종(華鍾) / 설파(雪波)
본관 제주 부씨[2]
출생 1909년 8월 25일
전라남도 제주군 신좌면 함덕리
(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3131번지)
사망 1936년 6월 29일[3] (향년 26세)
전라남도 목포부 목포형무소
묘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1. 개요2. 생애3. 여담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1909년 8월 25일 전라남도 제주군 신좌면 함덕리(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3131번지)에서 아버지 부만천(夫萬千, 1888. 7. 16 ~ 1945. 3. 8)과 어머니 경주 김씨 김완희(金完熙, 1888. 7. 17 ~ 1965. 7. 9)[4] 사이의 4남 4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31년 1월 일본 도쿄에서 유학하던 친구 적광(赤光) 한영섭(韓永燮)이 도쿄에서 급사하자, 그의 유해를 고향 함덕리로 운구해와 김일준(金日準)·고종건(高宗虔)·김두생(金斗生)·김재동(金才童)[5]·양공근(梁共根)[6]·김치홍(金致弘)·한희룡(韓熙龍) 등 7명의 청년들과 함께 장례를 치러준 뒤 그를 애도하는 기념비를 길가에 세웠다. 그러나 장례식 당일에 사상이 불온한 행동이 있었고 만사(輓詞:망자를 애도하는 글)와 묘비문에 독립사상을 드러내는 문구가 있다는 이유로 3월 29일부터 이틀간에 걸쳐 제주도경찰서 조천경찰관주재소 소속 경찰들에 검속되어 3월 30일 오후 제주경찰서에 송치되었고, 이어 책 몇 권과 한영섭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 몰수되는 등 고초를 겪었다.

출옥 후 1933년 2월 김일준과 함께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향동회(鄕同會)와 민풍진흥회(民風振興會)를 조직했고, 그해 3월에는 농민조합을 조직해 겉으로는 농민운동을 가장해 독립운동을 함께 할 동지 포섭에 주력했다. 1934년 3월에는 김원근(金元根)의 집에서 독서회를 조직해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글한국사를 교육하던 중 1934년 8월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후 잔혹한 고문을 받다가 1936년 6월 8일 예심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법원 지청의 공판에 회부되었고, 미결수로 복역을 이어가다가 1936년 6월 29일 목포형무소에서 옥사, 순국했다.[7]

198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고, 이어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3. 여담

  • 장남 부익재(夫益宰, 1934. 11. 16 ~ 2011. 9. 18)[8]는 1970년 7월 1일부터 1974년 9월 10일까지 제15대 함덕리 이장(간선)을 역임했고, 이후 광복회 제주도지부장으로 재임하던 중 2005년 6월 24일 치러진 '2005년 모범국가유공자 정부포상식'에서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훈받았다.

[1] 형사사건부에는 夫[2] 열공계(悅公系) 19세.[3] 음력 5월 11일.[4] 김평민(金平玟)의 딸이다.[5] 1931년 4월 9일 동아일보 기사에는 김수동(金手童)으로 오기되어 있다.[6] 1931년 4월 9일 동아일보 기사 참조. 1931년 4월 12일 동아일보 기사에는 梁根으로 적혀 있다.[7] 사후 1937년 4월 12일 1심이 개정되어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징역 1년 6개월형(미결 구류 통산 545일)이 선고된 기록이 형사사건부에 남아 있다.[8] 족보명 부덕수(夫德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