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08:25:36

부모 바보

부모 바보 (2025)
Heritage
파일:부모바보포스터.png
<colbgcolor=#006600,#006600><colcolor=#ffffff,#dddddd> 장르 드라마
감독 이종수
각본
프로듀서 정보라
주연 윤혁진, 안은수, 나호숙
촬영 최유승
음악 이종수
조명 박영하
제작사 보리수나무영화사
배급사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1월 8일
상영 시간 101분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평가7. 기타

[clearfix]

1. 개요

이종수 감독이 연출한 <부모 바보>는 2025년 1월 8일 개봉한 한국 영화이다.

2. 개봉 전 정보

2023년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월드 프리미어로 관객에게 첫선을 보인 '부모 바보'는 KB 뉴 커런츠 관객상을[1] 수상하고 '제 49회 서울독립영화제' , '제 12회 무주산골영화제' , '제 9회 울산울주세계산악영화제' 등 국내 유수의 영화제들에 초청이 되었다.

3. 예고편

메인 예고편

영화제 트레일러

4. 시놉시스

사회복무요원 ‘영진’과 그의 담당자 사회복지사 ‘진현’. 매일 똑같은 옷을 입고 다니는 영진은 지각이 잦다. 며칠 후 진현은 출근길에 다리 밑에서 나오는 영진과 마주친다. 자초지종을 들어보니 아버지의 집에 본인의 방이 없어, 다리 밑에서 노숙을 하고 있다는 영진. 우선 영진을 자신의 집에서 지내게 한다. 진현은 영진과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진현은 점점 마음이 동한다.

5. 등장인물

  • 백진현 (윤혁진)
    정릉종합사회복지관에서 진현을 비롯한 사회복무요원 담당 업무를 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이다. 진현이 지각이 잦아서 그를 추적해보니, 어느 고가도로[2]와 옹벽 사이의 절묘한 공간에 올라가서 노숙중이었다. 그러한 그를 그대로 둘 수 없어 마치 빅슬립의 기영이 길호를 집에 들인 것처럼 그를 자기 집에 들이는데......
  • 임영진 (안은수)
    지각이 잦아서 담당자 진현의 골치를 썩이는 정릉종합사회복지관 소속 사회복무요원이다. 집에서 나와서 노숙하고 있다. 사회에서는 미술대학 학생이었다.
  • 박순례 (나호숙)
    백진현의 사회복지관에서 백진현의 사회복지 서비스를 받는 한 노인.
  • 정인영 (정인영)
  • 한관장 (오춘환)
    정릉종합사회복지관의 관장.
  • 이과장 (최연화)
    백진현의 직속 상관.
  • 미현 (송윤채)
  • 명섭 (김명섭)
  • 집주인 (박지윤)

6. 평가

  • <부모 바보>는 이 인 물들의 관계에 이른바 풍부한 서사를 부여하지 않는다. 대신에 소수의 몇 가지를 반복, 재반복하자 기이한 인상들이 출몰하여 영화 전체를 감싼다. 이것이 이 영화의 천연덕스러운 마술이다. 특정 상황, 장소, 동작, 대사(혹은 침묵)이 절묘하게 반복되면서 매력적인 이미지와 장면들로 술렁인다.<부모 바보>는 매혹의 미니멀리즘이다. 기원을 따질 수 없는 괴유머이며 분류 불가능한 감정들의 쓸쓸한 잔해 더미다. 불가해함으 로 치닫고자 하는 세련된 괴작이다.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프로그래머, 정한석)
  • 익숙하고 낯익은 것일수록 보는 관점과 방식을 조금만 달리하면 전혀 예상치 못한 풍경을 선사할 때가 있다. 이종수 감독의 <부모 바보>는 얼핏 부조리한 단면을 고발하는 소셜 리얼리즘 영화처럼 보인다. 하지만 영화는 인물들의 숨겨진 사정과 속내를 일일이 설명할 생각이 없다. 서사를 대신해 자리를 채우는 건 스쳐 지나가는 상황, 반복되는 상황 속에 인물들이 받는 인상이다. 이종수 감독은 말을 줄이고 인물들이 지나간 흔적들을 오래 바라본다. 그 위에 독특한 푸티지 영상과 사운드들이 겹치며 전에 없던 형태의 감흥을 발생시킨다. 익스트림 클로즈업과 사운드의 증폭 등을 통해 일상 속에서 비일상적인 순간들을 찾아내는 영화는 소재적으로는 친숙한 가운데 형식적으로는 그 어떤 영화와도 닮은 구석이 없다. 침묵으로 입을 열고 이미지와 사운드로 균열을 벌리는, 독특한 에너지로 감싸인 작품이다. (씨네21 편집장, 송경원)

7. 기타

  • 영화의 주요 촬영지는 서울 성북구 정릉동 일대이다. 정릉종합사회복지관이 주요 배경이자 촬영지로, 내부순환로가 지나가는 정릉동의 한 장소가 영진이 노숙하는 곳으로 활용되었다.
  • 이종수는 실제로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한 자신의 자전적 경험을 반영하여 이 영화를 완성했다고 한다. #


[1] 뉴 커런츠에 선정된 영화를 대상으로 관객으로부터 최고의 호평을 받은 작품에 2,000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상금은 KB국민은행에서 후원한다.[2] 후술하겠지만 정릉동 관내에 지나가는 내부순환도로의 한 지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