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05:24:39

봇치 더 록!(애니메이션 2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000000> 파일:봇치 더 록! 한국어 로고.svg봇치 더 록!
애니메이션
}}}
TVA 1기 (음악 · 평가 · 극장총집편)
TVA 2기 (음악 · 평가)
! 2기 (미정)
ぼっろっく!第2期
BOCCHI THE ROCK! Season 2
<nopad> 파일:봇치 더 록! 2기 제작결정 비주얼.jpg
{{{#f7598f,#f7598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0,#000> 장르 음악, 일상, 드라마
원작 하마지 아키
감독 야마모토 유스케(山本ゆうすけ)
부감독
시리즈 구성
각본 요시다 에리카
캐릭터 디자인 오다 케이몬
케로리라
총 작화감독
라이브 디렉터
라이브 애니메이터
프롭 디자인
2D 웍스
색채 설계
미술 감독
미술 설정
촬영 감독
CG 디렉터
라이브 CG 디렉터
편집
음악
음향 감독
음향 효과
제작총괄
프로듀서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우메하라 쇼타
애니메이션 제작 CloverWorks
제작 호분샤
애니플렉스
방영 기간
방송국
스트리밍
편당 러닝타임
화수
시청 등급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음악6. 회차 목록7.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8. 방송국 일람9. 평가10. 원작과의 차이점11. 기타1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하마지 아키의 만화 봇치 더 록!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2기. 감독은 야마모토 유스케(山本ゆうすけ), 캐릭터 디자인은 오다 케이몬 / 케로리라, 제작 프로듀서는 우메하라 쇼타. 방영 시기는 미정.

2. 공개 정보

  • 1기 종영 이후 약 2년이 지난 2025년 2월 15일, 결속 밴드 TOUR ADDED We will B에서 드디어 제작이 발표되었다.#
  • 감독이 사이토 케이이치로에서 야마모토 유스케로 변경되었다. 야마모토 유스케 감독은 1기의 부감독이기 때문에 분위기가 크게 바뀔 염려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 이후 봇치 더 라디오! 특별편[1]에서 사이토 본인은 봇치 더 록!은 1기로서 완결된 작품이라고 생각해 직접 속편을 만들겠다는 의사를 보이지 않았기에 감독 교체가 이루어졌다고 언급하였다. 케로리라가 다음 현장으로 넘겨주자고 제안하였다고 한다.
  • 라디오에서 밝히길 메인 캐릭터 디자인과 작화감독은 오다 케이몬이며 전작의 캐릭터 디자이너이자 총 작화감독이었던 케로리라는 이번엔 서브가 되었다. 케로리라는 오다가 여러 점에서 자신과 가까운 것 같아서 후임으로 지명했다고 한다. 다만 케로리라도 참여는 한다고 한다.
  • 라디오에서 밝히길 제작 결정이 2025년에 겨우 되어서 나오려면 좀 더 기다려야 한다고 한다. 2기 제작 첫 발표 당일 기준으로 아무것도 시작한 게 없고 이제부터 한다고 한다.

2.1. PV

제작결정 PV

2.2. 키 비주얼

파일:봇치 더 록! 2기 제작결정 비주얼.jpg
제작 결정 비주얼[2]

3. 줄거리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봇치 더 록!/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7598f> 등장인물 성우
파일:GT..png
고토 히토리
아오야마 요시노
파일:Dr..png
이지치 니지카
스즈시로 사유미
파일:Ba..png
야마다 료
미즈노 사쿠
파일:GTVO..png
키타 이쿠요
하세가와 이쿠미

5. 음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봇치 더 록!(애니메이션 2기)/음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회차 목록

<rowcolor=#f7598f> 회차 제목[3]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화 日:
韓:

7.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

8. 방송국 일람

9.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봇치 더 록!(애니메이션 2기)/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원작과의 차이점

11. 기타

  • 2기 제작 축전 및 감독 코멘트
파일:봇치 더 록! 2기 축전.jpg}}} ||
<colbgcolor=#000> 2기 제작 축전
봇치 더 록! 2기의 발표 축하합니다! 이번에 야마모토 유스케 씨에게 감독을 배턴 터치하는 형태이긴 하지만, 애니메이션이 방송 종료되고 나서 지금까지 많은 분들로부터 2기를 기대하는 목소리를 들었고, 또, 많은 분들이 애니메이션 2기 제작의 실현을 위해 계속 움직여 온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여러분 앞에서 발표까지 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야마모토 씨라면, 엄청 웃을 수 있고 귀엽고 뜨거운 애니메이션으로 완성해 주실 것이라고 신뢰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부터 정말 기대됩니다!
봇치 더 록! 아직도 즐거움이 계속되는구나~!
Thank you ||<^|1>야마모토 유스케 Yusuke Yamamoto
이 자리에서의 발표는 시기상조일지 모르지만, 한 명이라도 더 많은 팬 여러분에게 직접 전달하고 싶다는 생각에, 오늘 발표를 결심했습니다.
다시 결속 밴드와 함께 즐길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신 봇치 제작팀으로서, 부디 따뜻한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
  • 1기와 마찬가지로 1쿨 분량일 경우, 분량을 감안할 때 원작 2권 후반부터 4권 중반까지 진행된 미확인 라이엇을 중심으로 다룰 가능성이 높다. 원작 팬덤에선 2기 제작 결정 이전부터 활발하게 제기되던 추측이다.

12. 둘러보기

파일:망가타임 카라라 로고.png
망가타임 KR 코믹스 애니메이션 작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ffffff,#191919> 2007년 히다마리 스케치 · 동인워크
2008년 히다마리 스케치×365
2009년 케이온! · 카나메모 · GA 예술과 아트 디자인 클래스
2010년 히다마리 스케치×☆☆☆ · 케이온!!
2011년 꿈을 먹는 메리 · A채널 · 히다마리 스케치×SP · 더 무비 케이온
2012년 킬미 베이비 · 미노리 스크램블! · A채널+smile · 여기저기 · 히다마리 스케치×허니컴
2013년 유유시키 · 금빛 모자이크
2014년 사쿠라 트릭 · 주문은 토끼입니까? · 하나야마타
2015년 행복 그래피티 · 헬로!! 금빛 모자이크 · 성 아랫마을의 단델리온 · 와카바*걸 · 학교생활! · 주문은 토끼입니까??
2016년 언해피♪ · 삼자삼엽 · NEW GAME! · 스텔라의 마법 · 금빛 모자이크: 프리티 데이즈
2017년 우라라 미로첩 · 유유시키 OVA · NEW GAME!! · 블렌드·S · 주문은 토끼입니까?? ~디어 마이 시스터~
2018년 유루캠△ · 슬로우 스타트 · 코믹 걸즈 · 하루카나 리시브 · 아니마 옐!
2019년 길모퉁이 마족 · 주문은 토끼입니까?? Sing For You
2020년 사랑하는 소행성 · 실내캠핑△ · 타마요미 · 주문은 토끼입니까? BLOOM · 뒤떨어진 후르츠 타르트
2021년 유루캠△ 2 · 극장판 금빛 모자이크: 땡큐!!
2022년 슬로우 루프 · RPG 부동산 · 길모퉁이 마족 2번가 · 극장판 유루캠△ · 봇치 더 록!
2023년 별무리 텔레패스
2024년 유루캠△ 3기
2025년 mono · 배드 걸
미정 유루캠△ 4기 · 봇치 더 록! 2기 }}}}}}

[1] 진행: 아오야마 요시노 (고토 히토리 역)
게스트: 사이토 케이이치로 (1기 감독), 야마모토 유스케 (1기 부감독/2기 감독), 케로리라(캐릭터 디자인)
[2] 고토 히토리와 그녀에게 각각 생수, 마이크, 드럼스틱을 내밀고 있는 손은 각 물건의 특징상 왼쪽부터 순서대로 야마다 료, 키타 이쿠요, 이지치 니지카로 보인다.[3]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을 기준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