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09:38:44

본인확인

본인 인증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인증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네이버 웹툰 '태백 : 튜토리얼 맨'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인증서(태백 : 튜토리얼 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암호학에서의 인증서3. 본인확인 방법4. 관련 문서

1. 개요

본인확인이란 특정한 방법을 통하여 특정인이 본인인지 아닌지 식별하는 방법이다. 본인인증은 특정한 방법을 통하여 특정인이 본인임을 증명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혼용되어서 쓰이고 유사한 의미가 전달되기 때문에 구분을 하고 있지 않는 게 현실이다. (출처 : 한국NFC 페이스북)

2. 암호학에서의 인증서

Public Key Infrastructure(PKI)라고도 하며, Cerificate Authority(본인확인 기관)의 공개키로부터 서명이 가능하기에 해당 이름이 붙었다. 이 경우는 인증서가 개인 키 소유자의 무결성과 신원을 보증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CA 운용 방식은 기초적인 레벨에서는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완전 독점 체계: CA를 담당하는 회사 또는 기관이 하나밖에 없는 경우. 당연히 인증정보를 저장하게 되어 있으므로 공격의 대상이 되기 쉽고, 한번 무너지면 다 털리는 거라 사용되진 않는다.
  • 완전 자율 체계: CA의 대상인 회사가 너무 많아서 사용자가 이 CA의 Validity를 알아서 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 부담이 너무 심하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 소수 독점 체계: 위 두 케이스의 중간 위치. CA 인증서가 있고 사용자 부담이 있긴 하지만 분산 토폴로지이므로 공격의 대상이 될 확률이 낮다.

3. 본인확인 방법

4. 관련 문서



[1] 흔히 SMS 문자메시지 인증이라고도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