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d6d0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ed6d00> 노량진1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 }}} 구청 노량진동 | ||||
노량진2동 | ||||||
상도1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 }}} 상도동 | ||||
상도2~4동 | ||||||
흑석동 | 흑석동 | |||||
사당1, 3~5동 | 사당동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 }}} | ||||
사당2동 | ||||||
대방동 | 대방동 | |||||
신대방1, 2동 | 신대방동 | }}}}}}}}} |
동작구의 법정동 본동 本洞 | Bon-dong | |
<colbgcolor=#ed6d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기초자치단체 | 동작구 |
행정표준코드 | 1159010400 |
관할 행정동 | 노량진1동 |
면적 | 0.76㎢ |
1. 개요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법정동이다. 2008년 4월부터 노량진1동에 속한 법정동이다.2. 유래 및 역사
과천군 하북면 본동[1] / 상가차산리[2] / 하가차산리[3] 果川郡 下北面 本洞 / 上加次山里 / 下加次山里 1896 | → | 시흥군 북면 본동리 始興郡 北面 本洞里 1914 | → | 경성부 영등포출장소 본동정 京城府 永登浦出張所 本洞町 1936 | → | 경성부 영등포구 본동정 京城府 永登浦區 本洞町 1943 |
서울특별자유시 영등포구 본동 永登浦區 本洞 1946 |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본동 永登浦區 本洞 1949 | → | 서울특별시 관악구 본동 冠岳區 本洞 1973 | → | 서울특별시 동작구 본동 銅雀區 本洞 1980 |
'신림본동', '봉천본동' 등 '○○본동'의 표현이 광복 이후 행정동 개념으로 등장한 것과 다르게 이곳은 조선시대 때도 그냥 본동이라 불렸다. 노들나루가 본동에 있는 노들역 인근에 있었다. 지금의 노량진동은 원래 노들나루와 관계없이 일제가 노량진역을 설치한 이후 '노량진리'라고 부른데서 유래한 지명이고, 이와 구분하기 위해 일제가 '노량본동'이라 불렀다가 나중에 본동으로 환원했다. 가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