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6E6E6E><tablebgcolor=#6E6E6E> |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 선수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 | 코칭스태프 | <colbgcolor=#ffffff,#191919> ''' 감독 ''' 베키 해먼 |
| 가드 | PG 첼시 그레이 · SG 다나 에반스 | |
| 포워드 | SF 재키 영 · PF 주얼 로이드 | |
| 센터 | C 에이자 윌슨 | |
| 벤치 | G 미첼 · F 벨 · PF 나리사 스미스 · 에그보 · PF/C 구스타프손 · C 엘리자베스 키틀리 · 파커 · 스톡스 | |
| * 풀네임: 나무위키에 등재된 선수 | ||
| 다른 WNBA 팀 선수단 보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 <tablealign=right><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00> |
Becky Hammon}}} ||
| 출생 | 1977년 3월 11일 ([age(1977-03-11)]세) |
| 국적 | | |
| 포지션 | 포인트 가드 |
| 신체 | 175cm / 77kg |
| 소속 | 뉴욕 리버티 (1999~2006) 트렌티노 로베르토 바스켓 (2001~2002) |
| 지도자 | 샌안토니오 스퍼스 코치 (2014~2021)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 감독 (2022~) |
1. 개요
전 WNBA 선수이자 현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의 감독.2. 클럽 경력
뉴욕과 샌안토니오 두 팀에서 뛰며 팀의 에이스 겸 리더로서 많은 인기를 누렸으나 번번이 라이벌 팀에 가로막혀 우승에는 실패한, WNBA의 대표적인 무관의 제왕이었다.3. 국가 대표 경력
베키 해먼은 원래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미국인이었지만, 2008년 올림픽 미국 대표팀에서 탈락하자 러시아로 귀화하였다. 이전에도 올림픽 경험이 없었던데다가 2008년 당시 만 31세였기에 이때 대표팀에 뽑히지 않은 이상 앞으로 올림픽에 나갈 기회가 더이상 없을 수도 있다 여기고 러시아 귀화를 택한 듯하다.그러나 해먼의 개인 사정이 어쨌든, 당시 나름 인기 스타였던 해먼이 전통의 라이벌 러시아로 귀화하여 올림픽에 출전한 것은 미국인들에게 제법 논란이 되었다. 더군다나 해먼이 귀화하기 직전, WNBA 오프 시즌에 선수로 뛰던 모스크바 CSKA 팀과 이전 연봉의 3배로 3년 재계약을 했을뿐 아니라 메달을 따낸 뒤에는 러시아로부터
그래서인지 준결승 미국 대 러시아 전에서 미국 대표팀 선수들은 유독 베키 해먼을 악착같이 수비했다. 그 결과 해먼은 달랑 슛 6개를 던져 1개 만을 넣는 굴욕을 겪을 수 밖에 없었다.. 그나마 3,4위 전인 중국 전에서
4. 지도자 경력
2014년 샌안토니오 스퍼스 코치로 부임하여 NBA 역사상 첫 여성 코치가 되었다. 2021년까지 활동하였다.2022년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상술한대로 2008년 러시아로 귀화한 뒤 러시아 국적을 유지 중이기에 WNBA 역사상 최초의 러시아인 코치이자 감독이다.
같은해인 2022년, 선수시절 우승이 없던 한을 풀고 감독 부임 첫해 팀을 WNBA 파이널 우승으로 이끌었다. 이러한 성과로 그해 올해의 감독상 또한 수상하였다. WNBA 역사상 감독 부임 첫 해에 파이널 우승을 차지한 것은 해먼이 최초이다.
이듬해인 2023년, 팀을 WNBA 파이널 우승으로 이끌었다.
2025년 시즌에도 팀을 WNBA 파이널 우승으로 이끌었다.
5. 수상
5.1. 개인
- WNBA 퍼스트 팀 (2007, 2009)
- WNBA 세컨드 팀 (2005, 2008)
- WNBA 올해의 감독상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