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베이 첩운 베이터우 | |||||
단수이 방면푸싱강 ← ㎞ | R 단수이신이선 (R22) | 샹산 방면치 옌 ㎞ → | |||
신베이터우 방면신베이터우 ← 1.2 ㎞ | R 신베이터우 지선 (R22) | 시종착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Beitou | ||||
한자 | 北投 | ||||
주소 | |||||
타이베이시 베이터우구 광명루 1호 台北市北投區光明路1號 | |||||
역 운영기관 | |||||
단수이신이선 | 타이베이 대중첩운 주식회사 | ||||
신베이터우 지선 | |||||
개업일 | |||||
단수이신이선 | 1997년 3월 28일 | ||||
신베이터우 지선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 |||||
승강장 구조 | |||||
3면 4선 혼합형 승강장 (횡단 가능) | |||||
노선거리표 | |||||
단수이 방면푸싱강 ← ㎞ | 단수이선 베이터우 | 중정기념당 방면치 옌 ㎞ → | |||
신베이터우 방면신베이터우 ← 1.2 ㎞ | 신베이터우 지선 베이터우 | 기점 |
[clearfix]
1. 개요
대만 타이베이시 베이터우구에 위치한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과 그 지선인 타이베이 첩운 신베이터우 지선의 역이다.2. 역 정보
타이완 철로관리국 단수이선 베이터우역은 1901년에 개통되었는데, 1916년에는 온천으로 유명한 신베이터우 지역으로 가는 지선이 설치되었다. 1988년에 문을 닫고 1997년에 첩운역 베이터우역으로 재개통.[1] 이 때 신베이터우 지역으로 가는 지선도 첩운으로 재개통 되었다.역사 디자인이 개성적이다. 단수이신이선의 다른 지상 역사들은 중국 화북지방의 건축양식을 채택한 데 반해 이 역사는 철골 구조의 유리궁전이다. 중국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역사의 폭이 40m에 달해 중국식 건축양식으로는 제약이 컸기 때문에 이런 구조를 택했다고 한다.
베이터우역에서 단수이 방향으로 갈 때는 고가를 달리던 노선이 지상으로 내려오며, 반대로 단수이 방향에서 베이터우역으로 올 때는 이 역서부터 고가 구간이 시작된다. 샹산역에서 전역까지는 섬식승강장이고, 다음역부터는 지상에 위치한 상대식 승강장이다. 종착역인 단수이역은 다시 섬식 고가역이다.
역명의 유래는 원주민인 케타갈란(카이다거란)족이 쓰던 단어 Ki-pataw를 한자로 음차한 것에서 유래했는데 무녀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한다.
저우화젠의 노래 朋友(친구)의 뮤직비디오 일부 장면도 여기에서 촬영하였다. 노래 발표일이 당시 1997년으로 개통한지 얼마 안 돼서 찍은 것으로 추정.
3. 역 주변 정보
베이터우 동네 분위기 |
역 주변에는 베이터우시장이 있다. 베이터우구청도 인근에 있는데 이 역에서는 미묘하게 멀고 신베이터우역에서 가도 크게 거리 차이는 안난다. 이 역에서 푸싱강역 방향으로 조금만 더 가면 베이터우차량기지가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타이베이 첩운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672명 | 5,485명 | 7,994명 | 10,848명 | 10,846명 | 11,711명 | 11,420명 | 12,481명 | 12,883명 | 13,515명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13,902명 | 14,457명 | 14,648명 | 14,893명 | 15,451명 | 15,796명 | 16,084명 | 16,517명 | 16,429명 | 16,340명 |
2017년 | 2018년 | ||||||||
16,399명 | 16,859명 |
5. 승강장
↑ 푸싱강 | 종착역 | ↑ 신베이터우 | |||||
1 | | | | | 2 | 3 | | | | | 4 |
치옌 ↓ |
1 |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 푸싱강·훙수린·단수이 방면 |
2 |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 민취안시루·타이베이역·다안·샹산 방면 |
3 |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 당역종착 (다안에서 온 열차) |
민취안시루·타이베이역·다안 방면 | ||
4 | 신베이터우 지선 | 신베이터우 방면 |
당역종착 (신베이터우에서 온 열차) |
이런 구조가 생긴 건 본래 신베이터우 지선이 단수이신이선 본선과 직통할 예정이었기 때문이다. 현재 배선의 경우 신베이터우 지선과 본선(타이베이역 방향)이 평면교차 없이 직통운행할 수 있기 때문. 배선도(중국어) 1996년까지 단수이신이선은 단수이행과 신베이터우행이 2:1의 비율로 운행될 예정이었다. 관련 인스타그램 링크(중국어)
대부분의 베이터우 종착열차는 다안 방면으로 제자리 회차를 하기 위해 3번 승강장으로 들어오지만 운행종료 후 차량기지로 들어가는 차량은 1번 승강장으로 들어온다. 기지 인입선은 본선인 1, 2번 선로에서 분기된다. 3번으로 진입하더라도 차량기지를 가기 위해선 2번 선로를 거쳐야 하는 구조이다. 3번 승강장에서 뻗어나가는 선로는 신베이터우 지선의 복선 중 한 쪽을 맡고 있지만, 정작 신베이터우 지선은 단선으로만 운행한다.
2019년에는 베이터우역에서 다안역 사이를 오가는 운행계통을 신베이터우역까지 연장하는 방식으로 지선과의 직통을 검토한 바 있다. 6월 20일에 시운전까지 했으나, 신베이터우 지선 구간의 소음 문제로 인해 무산되었다. 기사(중국어)
[1]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의 큰 첩운역들은 대부분 이런 역사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