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 선거구 제85구 Wahlkreis 85: Berlin-Lichtenberg | }}}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196,799명 (2025) | |||||
상위 주 | 베를린 | |||||
하위 행정구역 | 리히텐베르크구 전체 | |||||
연방의원 | | 이네스 슈베르트너 |
1. 개요
독일 베를린 주의 연방의회 선거구. 2021년 제20대까지는 선거구 번호 86번이었으나, 2025년 제21대부터 85번으로 변경되었다. 리히텐베르크구 전체를 관할한다.독일 전체를 통틀어 좌파당의 성지 두곳 중의 한곳[1]이라 불러도 충분할 정도로 좌파당의 텃밭 지역구이다. 선거구가 생긴 2002년부터[2] 현재까지 지역구에서 단 한번도 빠짐없이 좌파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다만 비례대표 득표율은 사민당이 1위를 차지한 적도 몇번 있었다.
2021년 제20대에 좌파당의 득표율이 약해지고 2025년 제21대에서 AfD가 급부상하여 지역구와 정당득표율 모두 2위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 두드러진 추세 변화이다. 특히 제20대까지 현역의원이던 좌파당 게지네 뢰치 의원이 정계은퇴를 선언했고, 그동안 미테구에 도전하던 AfD 유명 정치인 베아트릭스 폰 슈토르히가 한계를 느끼고 이곳 리히텐베르크 지역구로 옮기기로 결정하면서, 결국 폰 슈토르히에게 내주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많았다. 게다가 좌파당이 내세운 새로운 후보 이네스 슈베르트너는 정치에 입문한지 2년도 안되는 신인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투표일 며칠 전까지 여론조사에서 폰 슈토르히가 근소하게 앞서는 것으로 나왔는데, 막상 개표하니 무려 12% 차이로 좌파당 슈베르트너가 승리했다. 제발 폰 슈토르히와 같은 극우 정치인에게 지역구 당선을 안겨줘서는 안된다는 시민의식이 커다란 힘을 발휘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3] 반면 비례대표 득표율에서 좌파당과 AfD의 차이는 1.1%에 불과하여 매우 위태로운 상태라고 평가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기민련은 평균 정도의 득표를 기록했고, 사민당, 녹색당은 2021년 제20대에 비해 상당히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했다.
세부 지역별 투표결과 역시 매우 복잡하여 분석이 까다롭다. 지역구 득표율 분포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남쪽 지역 즉 프리드리히스펠데, 카를스호르스트, 리히텐베르크, 펜풀, 알트호엔쇤하우젠 서부, 노이호엔쇤하우젠 서부, 루멜스부르크 전체에서 좌파당 슈베르트너가 1위, 북쪽 지역 즉 팔켄베르크, 말효, 노이호엔쇤하우젠 북부, 바르텐베르크 등의 지역에서는 AfD 폰 슈토르히가 1위, 알트호엔쇤하우젠 동부, 노이호엔쇤하우젠 남부에서는 기민련 프라이마르크가 1위를 차지했다.
비례대표 정당득표율 분포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남쪽 지역 즉 프리드리히스펠데, 카를스호르스트 대부분, 리히텐베르크, 펜풀, 루멜스부르크 대부분에서는 좌파당이 1위, 북쪽 지역 즉 팔켄베르크, 말효, 바르텐베르크, 알트호엔쇤하우젠, 노이호엔쇤하우젠에서는 AfD가 1위, 루멜스부르크 일부와 카를스호르스트 일부에서는 녹색당이 1위를 차지했다.
2. 역대 의원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74구 | 75구 | 76구 | 77구 | 78구 |
한나 슈타인뮐러 | 율리아 슈나이더 | 마르빈 슐츠 | 헬무트 클레방크 | 아드리안 그라세 | |
79구 | 80구 | 81구 | 82구 | 83구 | |
루카스 크리거 | 모리츠 호이베르거 | 페라트 코차크 | 파스칼 마이저 | 그레고르 기지 | |
84구 | 85구 | ||||
고트프리트 퀴리오 | 이네스 슈베르트너 | ||||
비례 1 | 비례 3 | 비례 4 | |||
베아트릭스 폰 슈토르히 | 로날트 글라스너 | 제바스티안 마크 | |||
비례 1 | 비례 2 | ||||
리자 파우스 | 안드레아스 아우드레치 | ||||
비례 3 | 비례 5 | ||||
카탈린 겐부르크 | 스텔라 메레디노 | ||||
비례 1 | 비례 2 | ||||
얀-마르코 루차크 | 오틸리 클라인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
루퍼트 슈튀베 | 안니카 클로제 | 하칸 데미르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베를린 리히텐베르크구 리히텐베르크구 전체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이네스 슈베르트너 | 52,378 | 34.0% | 1위 | 36,204 | 23.5% | 1위 |
| |||||||
| 베아트릭스 폰 슈토르히 | 33,707 | 21.9% | 2위 | 34,635 | 22.4% | 2위 |
| 비례 당선 | ||||||
| 다니 프라이마르크 | 27,190 | 17.6% | 3위 | 21,230 | 13.8% | 3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 얀 치멀링 | 13,926 | 9.0% | 4위 | 18,331 | 11.9% | 4위 |
| |||||||
노르만 볼프 | 11,527 | 7.5% | 5위 | 15,613 | 10.1% | 6위 | |
| |||||||
| 엘리자베트 기제만 | 8,108 | 5.3% | 6위 | 16,699 | 10.8% | 5위 |
| |||||||
플로리안 슈메딩 | 3,576 | 2.3% | 7위 | 3,100 | 2.0% | 8위 | |
''' 동물보호당 ''' | |||||||
| 죄렌 헨셸 | 2,231 | 1.4% | 8위 | 3,877 | 2.5% | 7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토비아스 길 | 851 | 0.6% | 9위 | 595 | 0.4% | 11위 | |
| |||||||
홀거 빌스케 | 516 | 0.3% | 10위 | 289 | 0.2% | 13위 | |
''' 독일 연합 ''' | |||||||
요나탄 트론 | 150 | 0.1% | 11위 | 83 | 0.1% | 17위 | |
''' BüSo ''' | |||||||
- | - | - | - | 1,546 | 1.0% | 9위 | |
''' Volt ''' | |||||||
- | - | - | - | 1,243 | 0.8% | 10위 | |
| |||||||
- | - | - | - | 389 | 0.3% | 12위 | |
''' PdF ''' | |||||||
- | - | - | - | 221 | 0.1% | 14위 | |
''' Todenhöfer ''' | |||||||
- | - | - | - | 139 | 0.1% | 15위 | |
''' MERA25 ''' | |||||||
- | - | - | - | 100 | 0.1% | 16위 | |
''' MLPD ''' | |||||||
- | - | - | - | 39 | 0.0% | 18위 | |
''' SGP ''' | |||||||
계 | 유효표 | 154,160 | 154,333 | ||||
무효표 | 1,237 | 1,064 | |||||
총 투표수 | 155,397 | 155,397 | |||||
투표율 | 79.0% | 79.0% | |||||
결과 | 유지 | 획득 |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75구 | 76구 | 77구 | 78구 | 79구 |
한나 슈타인뮐러 | 슈테판 겔프하르 | 모니카 그뤼터스 | 헬무트 클레방크 | 토마스 하일만 | |
80구 | 81구 | 82구 | 83구 | 84구 | |
미하엘 뮐러 | 케빈 퀴너트 | 하칸 데미르 | 자난 바이람 | 그레고르 기지 | |
85구 | 86구 | ||||
마리오 차야 | 게지네 뢰치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
안드레아스 아우드레치 | 레나테 퀴나스트 | 리자 파우스 | |||
비례 4 | 비례 5 | ||||
안니카 클로제 | 루퍼트 슈튀베 | ||||
비례 6 | 비례 7 | ||||
다니엘라 클루커트 | 크리스토프 마이어 | ||||
비례 8 | 비례 9 | 비례 10 | 비례 11 | 비례 12 | |
고트프리드 퀴리오 | 괴츠 프뢰밍 | 베아트릭스 폰 슈토히 | 오틸리 클라인 | 얀-마르코 루차크 | |
비례 13 | |||||
페트라 파우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베를린 리히텐베르크구 리히텐베르크구 전체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게지네 뢰치 | 36,409 | 25.8% | 1위 | 25,840 | 18.3% | 2위 |
| |||||||
| 안야 잉엔블레크 | 27,413 | 19.4% | 2위 | 32,403 | 23.0% | 1위 |
| |||||||
| 라우라 도른하임 | 19,179 | 13.6% | 3위 | 21,777 | 15.4% | 3위 |
| |||||||
| 빌프리트 뉜텔 | 17,696 | 12.5% | 4위 | 16,891 | 12.0% | 5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 디트마어 드레프스 | 17,415 | 12.3% | 5위 | 17,916 | 12.7% | 4위 |
| |||||||
| 리나 틸 | 8,463 | 6.0% | 6위 | 9,796 | 6.9% | 6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카티야 미헬 | 5,821 | 4.1% | 7위 | 4,823 | 3.4% | 7위 | |
''' 동물보호당 ''' | |||||||
노라 뢰너 | 3,818 | 2.7% | 8위 | 2,906 | 2.1% | 8위 | |
| |||||||
토비아스 바우어 | 2,443 | 1.7% | 9위 | 1,857 | 1.3% | 10위 | |
| |||||||
울리히 클리볼트 | 1,768 | 1.3% | 10위 | - | - | - | |
''' dieBasis ''' | |||||||
리자 슈테머 | 284 | 0.2% | 11위 | 212 | 0.2% | 17위 | |
''' ÖDP ''' | |||||||
마티아스 브루제 | 203 | 0.1% | 12위 | 126 | 0.1% | 19위 | |
''' LKR ''' | |||||||
다그마어 아르네케 | 195 | 0.1% | 13위 | 106 | 0.1% | 20위 | |
''' MLPD ''' | |||||||
- | - | - | - | 2,130 | 1.5% | 9위 | |
''' Die Grauen ''' | |||||||
- | - | - | - | 928 | 0.7% | 11위 | |
''' Volt ''' | |||||||
- | - | - | - | 712 | 0.5% | 12위 | |
''' Gesundheitsforschung ''' | |||||||
- | - | - | - | 705 | 0.5% | 13위 | |
| |||||||
- | - | - | - | 620 | 0.4% | 14위 | |
''' Todenhöfer ''' | |||||||
- | - | - | - | 349 | 0.2% | 15위 | |
''' DKP ''' | |||||||
- | - | - | - | 339 | 0.2% | 16위 | |
''' Die Humanisten ''' | |||||||
- | - | - | - | 210 | 0.1% | 18위 | |
''' du. ''' | |||||||
- | - | - | - | 99 | 0.1% | 21위 | |
''' V-Partei ''' | |||||||
- | - | - | - | 79 | 0.1% | 22위 | |
''' BüSo ''' | |||||||
- | - | - | - | 49 | 0.0% | 23위 | |
''' SGP ''' | |||||||
계 | 유효표 | 141,107 | 141,167 | ||||
무효표 | 2,719 | 2,659 | |||||
총 투표수 | 143,826 | 143,826 | |||||
투표율 | 71.7% | 71.7% | |||||
결과 | 유지 | 획득 |
[1] 나머지 한곳은 베를린 트렙토-쾨페니크구[2] 2002년 이전 역사를 살펴보면, 1990년 제12대에는 두 선거구로 쪼개져서 베를린 프리드리히스하인 - 트렙토 - 리히텐베르크 1구(지역구 사민당 후보 당선)와 베를린 쾨페니크 - 리히텐베르크 2구(지역구 사민당 후보 당선)가 되었다. 1994년 제13대부터 1998년 제14대까지는 선거구 획정이 또 바뀌어 베를린 프리드리히스하인 - 리히텐베르크 선거구에 속하게 되고, 지역구에서 두번 모두 좌파당의 전신 PDS 후보가 당선되었다.[3] 물론 리히텐베르크 지역구에 수십년을 이어온 좌파당 조직이 여전히 살아있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하지만, 뢰치 역시 2021년 20대 선거에서 지역구 득표 25%에 그쳤고 SPD, AfD 등 후보의 득표는 계속 오르고 있었다. 게다가 21대 선거의 AfD의 약진 등을 생각해 보면, 이번에는 선거일 며칠 전까지는 거의 폰 슈토르히에게 넘어가는 분위기였다. 그점을 감안하면 슈베르트너 개인의 경쟁력 또한 만만치 않았다고 평가하는게 맞다.[4] 15대에는 PDS 소속으로 당선되었고, 2005년 16대부터 좌파당 소속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