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 선거구 제81구 Wahlkreis 81: Berlin-Neukölln | }}} | |||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192,506명 (2025) | |||||
상위 주 | 베를린 | |||||
하위 행정구역 | 노이쾰른구 전체 | |||||
연방의원 | | 페라트 코차크 (Ferat Koçak) |
1. 개요
독일 베를린 주의 연방의회 선거구. 2021년 제20대까지는 선거구 번호 82번이었으나, 2025년 제21대부터 81번으로 변경되었다. 노이쾰른구 전체를 관할한다.1990년에 선거구가 생긴 이후 현재까지 지역구에서 사민당이 6번, 기민련이 3번, 좌파당이 1번 당선되어 전통적으로 범좌파가 우세한 지역구로 평가할 수 있다.
시내와 가까운 노이쾰른 구역과 그밖의 변두리 지역, 즉 브리츠, 부코, 루도, 그로피우스슈타트의 지지율 분포가 대조적인 지역구이다. 전통적으로 시내 노이쾰른 구역에서는 좌파당/녹색당/사민당이 번갈아가며 지지율 1위를 차지했고, 그밖의 지역에서는 사민당/기민련의 지지율이 높게 나오기 때문에, 합산한 선거 결과에서는 사민당이 앞서는 경우가 많았다. 옛 서베를린 지역이었기 때문에 좌파당의 지지율은 별로 높지 않았다.
그러다가 2025년 제21대에서 급격히 변화했는데, 좌파당이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전체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옛 서베를린으로만 이루어진 지역구에서는 최초로 일어난 일이었다.[1] 지역별로 살펴보면, 시내 노이쾰른 지역을 좌파당이 휩쓸었고, 그밖의 변두리 지역은 기민련이 휩쓸었다. 사민당은 거의 모든 투표소에서 패하며 3위로 추락했다. 게다가 선거운동 여론조사기간 내내 기민련 후보가 1위를 차지할 거라는 전망이 나오다가 선거운동 막판에 페라트 코차크가 10.3% 차이로 역전했기 때문에 더욱 드라마틱했다고 볼수 있다.
녹색당은 2021년 제20대에 비해 상당히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했다. AfD 지지율은 여전히 만만치 않게 나오는 중이다. 이런 점들이 이웃 선거구와 대조적이다. 신호등연정에 대한 정치적 비판에 더해, 노이쾰른구에 상대적으로 저소득층과 노동자 유권자가 많은 것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된다.
2. 역대 의원
- 디트마어 슈타펠트(Ditmar Staffelt) (사민당): 1998년 제14대부터 2005년 제16대까지 3선.
- 슈테파니 포겔장(Stefanie Vogelsang) (기민련): 2009년 제17대 1선.
- 프리츠 펠겐트로이(Fritz Felgentreu) (사민당): 2013년 18대부터 2017년 제19대까지 2선.
- 하칸 데미르 (사민당): 2021년 제20대 1선.
- 페라트 코차크(Ferat Koçak) (좌파당): 2025년 제21대 1선.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74구 | 75구 | 76구 | 77구 | 78구 |
한나 슈타인뮐러 | 율리아 슈나이더 | 마르빈 슐츠 | 헬무트 클레방크 | 아드리안 그라세 | |
79구 | 80구 | 81구 | 82구 | 83구 | |
루카스 크리거 | 모리츠 호이베르거 | 페라트 코차크 | 파스칼 마이저 | 그레고르 기지 | |
84구 | 85구 | ||||
고트프리트 퀴리오 | 이네스 슈베르트너 | ||||
비례 1 | 비례 3 | 비례 4 | |||
베아트릭스 폰 슈토르히 | 로날트 글라스너 | 제바스티안 마크 | |||
비례 1 | 비례 2 | ||||
리자 파우스 | 안드레아스 아우드레치 | ||||
비례 3 | 비례 5 | ||||
카탈린 겐부르크 | 스텔라 메레디노 | ||||
비례 1 | 비례 2 | ||||
얀-마르코 루차크 | 오틸리 클라인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
루퍼트 슈튀베 | 안니카 클로제 | 하칸 데미르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베를린 노이쾰른구 노이쾰른구 전체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페라트 코차크 | 43,413 | 30.0% | 1위 | 36,686 | 25.3% | 1위 |
| |||||||
| 오틸리 클라인 | 28,487 | 19.7% | 2위 | 26,183 | 18.0% | 2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비례 당선 | ||||||
| 하칸 데미르 | 27,266 | 18.8% | 3위 | 22,853 | 15.7% | 3위 |
| 비례 당선 | ||||||
| 로베르트 에쉬리히트 | 18,893 | 13.0% | 4위 | 18,874 | 13.0% | 5위 |
| |||||||
| 안드레아스 아우드레치 | 16,136 | 11.1% | 5위 | 22,260 | 15.3% | 4위 |
| 비례 당선 | ||||||
| 막스 클링스포른 | 2,791 | 1.9% | 6위 | 4,033 | 2.8% | 7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클라우스 파린 | 2,654 | 1.9% | 7위 | 2,207 | 1.5% | 8위 | |
''' 동물보호당 ''' | |||||||
위르겐 토덴회퍼 | 2,135 | 1.5% | 8위 | 704 | 0.5% | 11위 | |
''' Todenhöfer ''' | |||||||
파울 니체 | 1,335 | 0.9% | 9위 | 861 | 0.6% | 10위 | |
| |||||||
마르셀 콘 | 831 | 0.6% | 10위 | 425 | 0.3% | 12위 | |
| |||||||
카르스텐 샨츠 | 506 | 0.3% | 11위 | 241 | 0.2% | 14위 | |
''' 독일 연합 ''' | |||||||
샤커 아라키 | 262 | 0.2% | 12위 | 110 | 0.1% | 16위 | |
''' MLPD ''' | |||||||
크리스티안 파페 | 128 | 0.1% | 13위 | - | - | - | |
| |||||||
- | - | - | - | 8,186 | 5.6% | 6위 | |
| |||||||
- | - | - | - | 976 | 0.7% | 9위 | |
''' Volt ''' | |||||||
- | - | - | - | 325 | 0.2% | 13위 | |
''' MERA25 ''' | |||||||
- | - | - | - | 177 | 0.1% | 15위 | |
''' PdF ''' | |||||||
- | - | - | - | 36 | 0.0% | 17위 | |
''' BüSo ''' | |||||||
- | - | - | - | 32 | 0.0% | 18위 | |
''' SGP ''' | |||||||
계 | 유효표 | 144,837 | 145,169 | ||||
무효표 | 1,399 | 1,067 | |||||
총 투표수 | 146,236 | 146,236 | |||||
투표율 | 76.0% | 76.0% | |||||
결과 | 획득 | 획득 |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75구 | 76구 | 77구 | 78구 | 79구 |
한나 슈타인뮐러 | 슈테판 겔프하르 | 모니카 그뤼터스 | 헬무트 클레방크 | 토마스 하일만 | |
80구 | 81구 | 82구 | 83구 | 84구 | |
미하엘 뮐러 | 케빈 퀴너트 | 하칸 데미르 | 자난 바이람 | 그레고르 기지 | |
85구 | 86구 | ||||
마리오 차야 | 게지네 뢰치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
안드레아스 아우드레치 | 레나테 퀴나스트 | 리자 파우스 | |||
비례 4 | 비례 5 | ||||
안니카 클로제 | 루퍼트 슈튀베 | ||||
비례 6 | 비례 7 | ||||
다니엘라 클루커트 | 크리스토프 마이어 | ||||
비례 8 | 비례 9 | 비례 10 | 비례 11 | 비례 12 | |
고트프리드 퀴리오 | 괴츠 프뢰밍 | 베아트릭스 폰 슈토히 | 오틸리 클라인 | 얀-마르코 루차크 | |
비례 13 | |||||
페트라 파우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베를린 노이쾰른구 노이쾰른구 전체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하칸 데미르 | 33,880 | 25.8% | 1위 | 31,498 | 23.9% | 1위 |
| |||||||
| 안드레아스 아우드레치 | 25,790 | 19.7% | 2위 | 29,474 | 22.4% | 2위 |
| 비례 당선 | ||||||
| 크리스티나 슈바르처 | 25,173 | 19.2% | 3위 | 22,400 | 17.0% | 3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 루치아 슈넬 | 16,943 | 12.9% | 4위 | 15,616 | 11.9% | 4위 |
| |||||||
| 마르셀 골다머 | 10,047 | 7.7% | 5위 | 10,089 | 7.7% | 5위 |
| |||||||
| 야니네 팔켄베르크 | 8,240 | 6.3% | 6위 | 9,325 | 7.1% | 6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이스하이 로젠바움 | 3,841 | 2.9% | 7위 | 3,226 | 2.5% | 8위 | |
''' 동물보호당 ''' | |||||||
토마스 테크토 | 2,600 | 2.0% | 8위 | 1,973 | 1.5% | 9위 | |
| |||||||
하바 외루지 | 2,326 | 1.8% | 9위 | 3,234 | 2.5% | 7위 | |
''' Todenhöfer ''' | |||||||
빌프리트 마이어 | 1,236 | 0.9% | 10위 | - | - | - | |
''' dieBasis ''' | |||||||
라모나 콜레 | 251 | 0.2% | 11위 | - | - | - | |
''' Die Sonstigen ''' | |||||||
킬리만 모저 | 201 | 0.1% | 12위 | - | - | - | |
| |||||||
토마스 린들마이어 | 181 | 0.1% | 13위 | - | - | - | |
| |||||||
토마스 타빌 | 171 | 0.1% | 14위 | 87 | 0.1% | 20위 | |
''' MLPD ''' | |||||||
크리스티안 리베람 | 136 | 0.1% | 15위 | 115 | 0.1% | 18위 | |
''' LKR ''' | |||||||
크리스티안 파페 | 62 | 0.0% | 16위 | - | - | - | |
| |||||||
- | - | - | - | 1,135 | 0.9% | 10위 | |
''' Die Grauen ''' | |||||||
- | - | - | - | 961 | 0.7% | 11위 | |
| |||||||
- | - | - | - | 645 | 0.5% | 12위 | |
''' Volt ''' | |||||||
- | - | - | - | 451 | 0.3% | 13위 | |
| |||||||
- | - | - | - | 275 | 0.2% | 14위 | |
''' Gesundheitsforschung ''' | |||||||
- | - | - | - | 264 | 0.2% | 15위 | |
''' du. ''' | |||||||
- | - | - | - | 197 | 0.1% | 16위 | |
''' Die Humanisten ''' | |||||||
- | - | - | - | 120 | 0.1% | 17위 | |
''' DKP ''' | |||||||
- | - | - | - | 98 | 0.1% | 19위 | |
''' NPD ''' | |||||||
- | - | - | - | 77 | 0.1% | 21위 | |
''' V-Partei ''' | |||||||
- | - | - | - | 61 | 0.0% | 22위 | |
''' BüSo ''' | |||||||
- | - | - | - | 34 | 0.0% | 23위 | |
''' SGP ''' | |||||||
계 | 유효표 | 131,078 | 131,524 | ||||
무효표 | 2,926 | 2,480 | |||||
총 투표수 | 134,004 | 134,004 | |||||
투표율 | 68.2% | 68.2% | |||||
결과 | 유지 | 획득 |
[1] 미테구, 프리드리히스하인·크로이츠베르크구 등에서도 좌파당이 승리했지만, 이들 선거구는 동-/서베를린 혼합선거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