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21:20:29

발야구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발야구(전술)]]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발야구(전술)#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발야구(전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의미: }}}[[발야구(전술)]]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발야구(전술)#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발야구(전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fcd111><colcolor=#000>
소개 영상

1. 개요2. 명칭3. 일반 규칙4. 투구 관련 규칙5. 타구 관련 규칙6. 야수 관련 규칙7. 관련 문서

1. 개요

Kickball

야구의 규칙을 빌려온 간이 스포츠로, 명칭과 달리 야구공 대신 축구공 또는 배구공을 쓰는 구기 스포츠이다. 가끔 럭비공이나 고무공을 쓰는 경우도 있다. 야구공, 배트 등의 제약 없이 야구의 재미를 대신 느낄 수 있는 스포츠이며, 난이도가 높지 않은 것 치고 여럿이 할만 하기 때문에 피구와 함께 여학생들의 인기 종목이다.[1] 반면 남학생들은 축구공 있으면 걍 축구를 하고, 배구공 있으면 걍 족구를 하며, 고무공 있으면 걍 피구를 하는 경우가 많기에 굳이 야구를 하고는 싶은데 여건이 안될 때 어쩔 수 없이 할 뿐 선호 종목은 아니다.

투구는 볼링처럼 공을 굴리는 것으로 대신하고, 타구는 공을 발로 차는 것으로 대신한다. 야구와 같이 파울과 스트라이크도[2] 있으며, 안타가 나올 경우 야수가 공을 주우러 가는 사이 최대한 진루하여야 한다. 보통 기준 펜스 선을 정하고, 그 선을 넘어가는 경우를 홈런으로 한다. 거의 모든 경우 포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대신 홈을 지키는 수비수는 있을 수 있다.[3]

2. 명칭

본래는 Kick Baseball 또는 Kick Base Ball이라고 했다. 미국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 공원 유원지 관리자였던 니컬러스 수스(Nicholas C Seuss)라는 사람이 1917년에 고안해 냈다고 한다. 1920년대 들어서 미국에서는 그보다 축약된 명칭인 Kickball이라는 이름이 정착되기 시작했다. 캐나다에서는 Soccer-Baseball 혹은 California kick ball 이라고 불리고,[4] 스페인 어느 지방에서는 "Beisbol pie" 라고 불린다. 일본에서는 Kick Baseball을 그대로 옮긴 キックベースボール(킥쿠 베-스보-루)를 정식 명칭으로 쓰고 있고, 줄여서 キックベース(킥쿠 베-스)라고도 한다.

3. 일반 규칙

  • 보통 게임 시간은 체육교사가 호출할 때까지... 실상은 1회초에 리드오프로 뛰는 학생이 용규놀이만 줄창 하다 시간 다 날려먹는다던지 해서 시간 활용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5][6]
  • 게임 장소는 교문 근처 혹은 교문과 멀리 떨어져 있는 운동장 끝자락이다. 간혹 공이 교문을 넘어갈 수도 있으므로 교문을 등지고 차는 것이 안전하다. 다만 가끔 공을 찰 때 뒤로 날아갈 수도 있으므로 교문과의 거리는 충분히 두거나 아예 최대한 멀리 떨어져서 진행하는 것이 좋다.

4. 투구 관련 규칙

  • 볼 카운트를 따지지 않고 무조건 차기 쉽게 굴려줘야 한다. 헛발질 시 곧장 아웃이라는 시간단축형 변형룰도 존재한다.
  • 볼 카운트를 따지되 무조건 직구로 굴려줘야 한다. 원만한 진행을 위해 2S 아웃, 2S 이후 파울은 아웃 등을 도입하기도 하며, 레벨이 올라가면 던져주는 선수도 마구 회전을 넣어 던진다.
  • 볼도 있기는 하지만, 볼넷으로 출루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 거의 대부분 도루는 금지. 간혹 도루를 인정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포수 위치에서 투수에게 공을 던져주는 역할을 맡은 이가 공을 던져 도루를 재빨리 저지한다.
  • 지역에 따라서 아예 투구가 없이 그냥 차기 쉬우라고 발 앞에 공을 두는 경우도 있다. 발로 차는 종목인 만큼 누가 굳이 던져줘야 할 필요 없이 걍 차기만 하면 장땡인 데다 매번 공 굴리는 것도 귀찮은 만큼 오히려 투수 없이 바로 공을 놓고 깔 때가 더 많다!

5. 타구 관련 규칙

아래는 특정 지역, 특정 학교에서만 쓰인 개인 경험담도 많다. 자기가 듣도 보도 못한 룰은 전국 어디선가 쓰였다고 생각하고 넘어가자.
  • 대부분 야구와 같이 파울 라인을 그리고, 선을 넘으면 짤없이 파울이다.[7] 의도적으로 공을 선 바깥으로 차버리는 게 쉬운 만큼 2 스트라이크 이후의 파울도 번트와 똑같이 취급해 아웃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 내야를 넘지 않는 타구, 즉 번트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개 마운드와의 중간 정도 되는 거리까지 선을 긋고, 여기에 타구가 낙구하면 파울로 선언된다.
  • 발로 찬 공이 수비수나 투수의 얼굴에 맞을 경우 아웃 처리하는 경우도 있다.
  • 경기의 재미(?)를 위해 홈런이 아니라면 무조건 1루만 진루하거나, 장타가 나와도 2루타까지만 허용하는 경우가 많다. 추가적인 변형으로 2사 이후에는 무제한 진루가 가능한 경우도 있다.[8] 2루타, 3루타 선을 따로 그어서 구분하는 방법도 있다.
  • 2루, 3루에서 루를 밟지 않고 넘어가면 오버런, 수비가 먼저 루를 밟으면 아웃이다(하지만 1루는 제외).
  • 피구처럼 송구로 주자를 맞힐 경우 아웃되는 룰도 있다.
  • 장외홈런을 날릴 경우 오히려 감점을 하기도 한다. 여럿 피곤하니깐.
  • 간혹 남녀가 섞여 경기를 할 경우 남자에게는 도움닫기 금지, 약한 발 사용 등의 핸디캡이 붙는다.[9] 물론 손과는 달리 발은 어느 쪽이 주력인지 친구간에도 알아채기 힘들어 속이기 굉장히 쉽다.

6. 야수 관련 규칙

  • 야구와 같이 플라이의 경우, 잡으면 바로 아웃이지만, 재미를 위해 아웃에 조건을 달기도 한다. 공을 잡고 ~행동 완료하기, 공을 잡은 아이 뒤에 한 줄로 서기 등.
  • 공을 차서 송구하는 것은 가끔 힘 조절이 안 돼서 공이 엉뚱한 곳으로 날아가기도 하고, 부상의 위험도 높기 때문에 주로 금지.
  • 야구와 달리 야수의 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야수가 포구한 이후에는 주자가 진루할 수 없다. 다음 베이스로 이동 중에 상대팀 야수가 포구할 경우, 포구 직전에 밟은 가장 마지막 베이스로 돌아와야 한다. 다만 태그 업은 학교에 따라서 허용하기도 하고 허용하지 않기도 한다.
  • 거의 대부분 포수가 없기 때문에 홈으로 들어오는 주자는 막을 방법이 없다. 따라서 로컬 룰로 홈에 일정 반경의 원을 그리고, 야수가 던져서 주자가 홈을 밟기 전에 공이 원 안으로 떨어지면 홈으로 들어오는 주자가 아웃되는 경우도 있다.

7. 관련 문서



[1] 다만 피구는 최근 남녀노소 모두에게 인기가 있는 편이다.[2] 차지 못할 경우나 헛으로 차는 경우.[3] 인플레이 상황에서 홈으로 들어오는 주자를 태그하기 위한 것이다. 야구의 베이스커버를 생각하면 된다. 보통은 투수가 커버해준다.[4] 왜 이런 이름이 붙었는지는 미상.[5] 한국에서 대다수의 학교에서는 교사가 누구냐에 따라 규칙이 많이 변하기도 한다.[6] 용규놀이를 차단하기 위해 종종 스트라이크를 포함하여 3~4번째 파울은 삼진 아웃으로 인정하는 로컬룰도 있다.[7] 투구 관련 룰에 따라 아웃 또는 스트라이크.[8] 물론 아웃될 위험은 주자가 감수해야 한다.[9] 혼성인 경우에는 대부분 핸디캡이 없어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