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쥐란(사슴뿔란) Staghorn ferns, Elkhorn ferns | |
| |
학명 | Platycerium Desv., 1827 |
분류 | |
<colbgcolor=#d7ffce,#0f4a02> 계 | 식물계 Plantae |
계통군 | 관다발식물군 Tracheophytes |
문 | 양치식물문 Polypodiophyta |
강 | 양치식물강 Polypodiopsida |
목 | 고사리목 Polypodiales |
아목 | 고란초아목 Polypodiineae |
과 | 고란초과 Polypodiaceae |
아과 | 고란초아과 Platycerioideae |
속 | 박쥐란속 Platycerium |
1. 개요
고사리목 고란초과 박쥐란속에 속하는 양치식물의 총칭.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등 광범위한 지역의 열대 기후대에 걸쳐 서식한다.국내에서는 공중에 매달아 키우는 방식과 삐져나온 이파리의 모습이 마치 박쥐를 연상시킨다 하여 박쥐란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상술했듯이 사실 난(蘭)이 아니라 고사리에 가까운 양치식물이다. 서양권에서는 주로 이파리가 사슴이나 엘크의 뿔과 닮았다 하여 Staghorn ferns 혹은 Elkhorn ferns 등으로 불린다. 학명 역시 '넓다, 평평하다'의 의미를 지닌 그리스어 platys(πλατύς)와 뿔을 의미하는 keratos(κερατος)의 합성어로 넓은 뿔 정도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그 탓에 국내에서도 사슴뿔란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2. 특징
일반적으로 높은 나무나 바위 등에 부착하여 생활한다.크게 영양엽(營養葉)과 생식엽(生殖葉)으로 불리는 두 종류의 잎을 가진다. 영양엽의 경우 콩팥 모양으로 자라며 시들어도 떨어지지 않고 겹겹이 쌓이며 뿌리줄기를 감싸 보호하고 수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생식엽은 말그대로 번식을 위한 이파리로 적절한 시기가 되면 생식엽의 뒷면에 포자낭군이 달려 포자를 퍼뜨려 번식한다. 생식엽은 꾸준히 떨어지고 새로운 이파리가 올라오는 것이 특징이다.
3. 종류
현재까지 자연에 총 18종이 발견되었다. 그 외에도 자연적인 종을 섞어 만들어낸 수많은 품종이 존재한다.- 마다가스카르박쥐란 (Platycerium alcicorne)
- 안디눔박쥐란 (Platycerium andinum)
- 비푸카툼박쥐란 (Platycerium bifurcatum)
- 코로나리움박쥐란 (Platycerium coronarium)
- 엘리시박쥐란 (Platycerium ellisii)
- 엘레판토티스박쥐란 (Platycerium elephantotis)
- 대왕박쥐란 (Platycerium grande)
- Platycerium hillii
- 홀투미박쥐란 (Platycerium holttumii)
- Platycerium madagascariense
- 쿠아드리코토뭄박쥐란 (Platycerium quadridichotomum)
- 리들리박쥐란 (Platycerium ridleyi)
- 스테마리아박쥐란 (Platycerium stemaria)
- 수퍼블박쥐란 (Platycerium superbum)
- 베이치박쥐란 (Platycerium veitchii)
- 왈리치박쥐란 (Platycerium wallichii)
- 완대박쥐란 (Platycerium wandae)
- 자바박쥐란 (Platycerium willinckii)
4. 여담
- 2024년 8월 3일부터 11월 30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박쥐란 동호인들과 협업하여 '박쥐란의 신비한 비행(The Mysterious Flight of the Platycerium)' 기획 전시를 진행하였다.
-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공기 정화 능력이 뛰어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