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23:10:48

바라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아수라장의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바라타(아수라장)]]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바라타(아수라장)#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바라타(아수라장)#|]]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아수라장의 캐릭터: }}}[[바라타(아수라장)]]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바라타(아수라장)#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바라타(아수라장)#|]]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라마야나의 등장인물3. 마하바라타의 등장인물4. 마하바라타의 부족5. 서사시 <바라타(Bharata)>

1. 개요

인도 신화에 나오는 등장인물 혹은 개념. 인도의 힌디어 국명인 바라타의 어원이다.

2. 라마야나의 등장인물

인도 신화의 대서사시 라마야나의 등장인물이다. 락슈마나와 마찬가지로 비슈누를 따르는 뱀의 화신이다.

십육대국 중 하나인 코살라의 다사라타 왕은 오랫동안 아이가 태어나지 않아 고민이라 성자를 시켜 하늘에 제의를 보내자 불 속에 거인이 나타나 약을 주고 "브라흐마의 뜻으로 찾아오니, 이 약을 먹으면 아들이 태어날 것이오."라는 말을 전하고 사라졌다. 그 말을 들은 왕은 세 아내에게 각각 약을 나누어 먹였는데, 일 년 후 같은 날에 첫째 아내 카우살야는 라마찬드라를, 둘째 아내 수미트라는 락슈마나와 사트루그나 쌍둥이를 낳고, 셋째 아내 카이케이가 낳은 아들이 바라타다.

라마가 시타와 결혼하면서 자신도 결혼했다고 하며 다사라타 왕은 라마를 즉위시킬 때 바라타가 거슬린다고 생각해서 외할아버지를 만나고 오라며 바라타를 외가로 보내고 재빠르게 즉위식 준비를 한다. 사트루그나도 따라갔는데 사실 카이케이와 나이 차이가 많이 나서 카이케이 아버지에게 카이케이 아들을 후계자로 삼겠다고 맹세했던지라 재빠르게 일을 정리하려고 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 행동은 곱사등이 만타라가 '저대로 라마가 즉위하면 만타라도 카이케이도 무사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판단하게 만들었고 자신의 어머니 카이케이가 시녀 곱사등이 만타라의 꼬드김에 넘어가[1] 왕에게 바라타를 즉위시키고 라마를 십사년 동안 추방하라는 소원을 빌게 된다.[2]

외가에서 머물던 중 왕의 부고와 라마의 추방 소식을 듣고 급히 귀국했으며, 카이케이에게 왜 그런 짓을 했냐고 화를 내며 어머니를 내쳤다. 하지만 카이케이의 시녀들에게 만타라가 진짜 원흉이라는 것을 알고 사트루그나가 만타라를 죽이려 하자 네가 굳이 손에 피를 묻힐 필요 있냐고 저지한다. 이후 카우살야와 수미트라를 만나는데 왕비들은 처음에는 바라타를 의심하지만 바라타의 태도를 보고 바라타는 상관없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별다른 분란은 없었다.

왕은 바라타와 만나고 싶지 않다고 유언을 남긴 탓에 장례식에서 빠져야 했고 장례식이 끝나자마자 라마를 쫓아가는데, 락슈마나는 라마를 해치려는 것으로 오해하고 죽이려고 했지만 라마가 저지해서 마주하게 된다. 바라타는 왕이 되어야 하는 것은 라마라면서 왕이 되라고 하지만 라마는 이미 카이케이의 말을 따르기로 정한 이상 말을 돌릴 수 없다며 거절하고 왕자들의 스승도 라마가 왕이 되라고 하지만 신들이 '이대로 가다가는 라바나 처치가 안 되겠다' 싶어서 '됐으니까 바라타가 왕이 되어라'라고 직접 명령한다.

그러자 바라타는 신의 뜻이라면서 받아들이는데, 엄밀히 말하면 왕이 된 건 아니고 라마의 신발을 왕좌에 놔두고 자신은 십사 년 동안 섭정으로 나라를 다스릴 테니 끝나면 반드시 돌아오라고 요구한다. 십사 년이라는 세월 동안 고행과 명상도 많이 했다는 모양. 이후 십사 년이라는 세월 동안 라마는 연락두절되고 찾아오지 않자 초조해하는데[3] 라마가 라바나를 쓰러뜨리고 돌아오자 반갑게 환영하면서 왕위를 넘겨준다.

다른 형제들과 마찬가지로 극렬 브라콘이다. 왕위를 두고 하는 태도를 보면 비현실적이라는 말밖에 안 나온다...

락슈마나, 사트루그나가 다혈질인 데 반해 라마처럼 기본적으로 온후한 성격이다. 어머니에게 화내기는 하지만 사연을 알자 곧바로 용서하고 만타라를 죽이려는 사트루그나를 저지하기도 했다.

3. 마하바라타의 등장인물

샤쿤탈라의 아들.

4. 마하바라타의 부족

마하바라타는 '위대한 바라타족 이야기'라는 뜻으로 스토리의 주요 인물들인 쿠루 부족의 인물들이 바라타족으로 칭해지기도 한다. 바라타를 지명 비슷하게 사용하기도 했던 모양.

5. 서사시 <바라타(Bharata)>

비샴파야나는 브야사가 쓴 2만 4천 연으로 이루어진 서사시 <자야(Jaya)>를 듣게 되는데, 그는 자나메자야의 궁정에서 열리는 뱀 희생제에 나타나 청중들 앞에 5만 연으로 확장한 서사시를 들려준다. 이 서사시를 들은 사우티는 이걸 숲 속의 현자들에게 확장 버전을 들려주고, 현자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구전이라는 형식으로 갈수록 확장해서 전했다. 서력 이후 서사시는 규모와 체계가 정해지는데, 이 서사시가 현재의 마하바라타다.


[1] 원래 카이케이는 라마도 자신의 아들이라며 즉위를 축하해줬지만 만타라가 '라마가 즉위하면 너도 바라타도 무사할 수 없다'고 꼬드겼다. 사실은 라마가 왕으로만 지내면 스리랑카에 머무는 라바나를 처치할 수 없기 때문에 신들이 수작질을 부린 것이다.[2] 과거 카이케이는 다사라타 왕이 인드라와 아수라간의 전쟁에 참전했다가 목숨을 잃을 뻔했을 때 왕의 목숨을 구한 적이 있어서 훗날 두 가지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약속했다.[3] 판본에 따라서는 자결하고 이복형제에게 왕위를 넘기려다 이복형제가 저지한 사이에 라마가 왔다는 버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