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1. 개요
양무제 소연(蕭衍)의 혈통과 그에 관한 논쟁을 정리한 문서.정사인 《양서》(梁書)에서는 양무제 소연을 전한의 상국(相國) 소하(蕭何)의 후예라 명시하고 있으나 근거가 명확하지 않기에 일어난 논쟁으로 현재로는 혈통이 거짓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2. 계보
| <colbgcolor=#A11><colcolor=#ece5b6> | |
| 고성현상전략 (古聖賢像傳略, 공연경 作) | |
| 생몰 | ? ~ 기원전 193년 8월 16일 |
한(漢) 상국(相國) 소하(何)의 후예이다.
(漢相國何之後也)
라고 적고 있다.(漢相國何之後也)
그러나 《한서》(漢書) <소하전> (蕭何傳)에 따르면 소하의 가계는 서한때도 수없이 단절되었는데 당시 황제가 대를 이으려고 조서를 내려 후사를 찾은 것이 무려 4번이나 되었고, 이마저도 왕망이 패망할 당시에 모두 대가 끊겼다.
| 소하(蕭何) | |||||||
| 소록(蕭祿) | 소연(蕭延) | ||||||
| 소유(蕭遺) | 소칙(蕭則) | 소가(蕭嘉) | 소표(蕭彪) | ||||
| 소승(蕭勝) | 소장(蕭章) | ||||||
| 소호(蕭皓) | |||||||
| 소앙(蕭仰) | |||||||
| 소망지(蕭望之) | |||||||
| 소육(蕭育) | 소함(蕭咸) | 소유(蕭由) | |||||
문제는 소표가 정사서 《한서》가 아닌 《양서》나 《신당서》(新唐書) 등에만 언급된다는 것인데 소망지(蕭望之) 대에 이르러서는 부친이 언급되지 않은 당대의 이름이 있었던 유학자 소망지를 소앙(蕭仰)의 아들로 삼아 강제로 난릉 소씨의 계보에 편입시키기도 했다.
| 望之八子,至大官者育、咸、由。 소망지는 아들이 8명이 있었는데,이중에 이르러 관직에 오른 이는 소육(育), 소함(咸), 소유(由)였다. |
[1] 다만 후한이 들어선 후 다시 소하의 후손을 찾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