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12:04:26

무릎차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격투기 기술}}}에 대한 내용은 [[니킥]]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니킥#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니킥#|]]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격투기 기술: }}}[[니킥]]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니킥#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니킥#|]]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포켓몬스터/기술/주요 기술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nclude(틀:포켓몬 기술, 격투=, 물리=,
파일=울썬문 무릎차기 1.png, 파일2=울썬문 무릎차기 2.png,
한칭=무릎차기, 일칭=とびひざげり(토비히자게리), 영칭=High Jump Kick,
위력=130, 명중=90, PP=10,
효과=점프해서 무릎차기로 상대를 공격한다. 빗나가면 자신이 전체 HP의 ½의 데미지를 입는다.,
변경점=4세대: 85 → 100 위력 상승, 변경점2=5세대: 100 → 130 위력 상승,
성능=반동, 성질=접촉)]

1. 기본 정보2. 역사3. 성능4. 배우는 포켓몬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1. 기본 정보

포켓몬스터기술. 점프킥의 강화판으로, 점프킥과 마찬가지로 실패하면 자신이 반동 대미지를 입는 특이한 기술이다.

일칭은 'とびひざげり(뛰어무릎차기)'(점프킥은 とびげり(뛰어차기))라 한눈에 점프킥의 강화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칭은 단순히 무릎차기로 번역되었는데, 점프킥이란 번역명을 고려하면 점프니킥 정도로 번역해야 적절할 것이다. 다시 말해 플라잉 니킥. 실제로 무릎차기를 하다가 목표가 아닌 이상한 곳에 맞으면 충격이 장난이 아니기에 묘하게 현실적인 기술이기도 하다.

영문판에서는 5세대까진 기술 이름의 길이 한계가 띄어쓰기 포함해서 12자였던 관계로, 기술 이름을 발음만 같게 억지로 줄여서 Hi Jump Kick이었다. 6세대에서 16자로 풀리자 정상적인 High Jump Kick으로 바뀌었다.

2. 역사

1세대에선 시라소몬의 전용기로 등장했고, 위력/명중률은 85/90이었다. GB용 1세대 게임에서는 뭔가가 잘못되었는지 무조건 반동 대미지가 1이었는데, 그 당시 기준으로는 격투 타입 기술 중에서 가장 강력한 기술이었다. 지옥의바퀴와 비교해보면 명중률도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그래서 시라소몬은 라이벌 홍수몬에 비해 비교적 우위에 있었다.

2세대에서는 크로스촙의 등장으로 가장 강한 격투 기술에서는 내려왔지만, 그래도 쓰려면 쓸 수 있는 기술이다. N64용 포켓몬 스타디움 시리즈에서 반동 데미지 판정이 수정되어, 빗나가면 상대에게 입혀야 할 대미지의 ⅛의 피해를 입었다.

3세대부터는 배루키와 요가램이 자력기로 배우게 되었으며, 반동 데미지가 입혀야 할 데미지의 ½로 크게 늘어났다. 그래서 해피너스 같은 HP가 미친듯이 높은 포켓몬에게 쓰다 실패하면 반동 대미지도 무식해졌었다.[1] 요가램이나 배루키 진화형들이나 해피너스에게 줄 수 있는 대미지의 ½을 버틸 수 있는 포켓몬들이 아니다.[2]

4세대에서는 리오르가 유전기로 배울 수 있게 되었으며, 위력이 100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이 시점부터 만능 격투기 인파이트의 등장을 시작으로 안다리걸기엄청난힘의 보급으로 이점이 크게 줄었다. 그나마 시라소몬의 특성인 이판사판으로 강화가 가능하지만, 1.2배 보정으로 인파이트와 간신히 동률이기 때문에 오히려 해당 특성을 잉여로 만들었다.

이를 감안해서인지 5세대에서는 배우는 포켓몬이 더 늘었고, 위력이 130으로 상향되어 쓰기 어려운 힘껏펀치를 제외하면 격투 타입 최강의 위력을 가진 기술이 되었다. PP가 20에서 10으로 반토막나긴 했지만 위력을 생각하면 납득할 수 있는 수준. 그리고 이 시점부터 반동 데미지가 사용자의 최대 체력의 ½로 조정되어, 해피너스에게 날렸다가 자폭하는 일은 없어졌다.

이래저래 단점이 많지만 고성능 기술임은 분명하기에, 인파이트를 배우지 못하는 격투타입 포켓몬들에게 한줄기 빛이 되어주는 기술이 되었다. 특히 가속 번치코의 메인 웨폰으로 가장 유명한데, 5세대에서 숨겨진 특성인 가속 추가와 함께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의 굴욕을 벗어나 아예 사기 포켓몬의 반열에 올랐다. 그 외에도 곤율거니, 비조도 등 인파이트를 배우지 못하는 포켓몬들이 이 기술을 배움으로써 주력기의 부재가 해결되었다.

8세대에서는 인파이트가 기술레코드로 풀려서 무릎차기의 쉐어를 일부 뺏어갔고, 주 사용자였던 메가번치코, 메가이어롭이 삭제되어 빈도가 줄었다. 대신 에이스번이 주력기 중 하나로 채용하며 여전히 자주 보이는 기술의 입지는 지켜졌다.

3. 성능

  • 빗나간 경우는 물론, 상대방이 방어류 기술을 써서 기술이 실패한 경우, 상대방이 고스트 타입으로 교체한 경우에도 반동 데미지를 받는다.
    • 예외적으로 적이 기절해서 표적이 없는 상태에서 기술이 실패한 경우 반동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표적이 없어서 사용자가 무릎차기를 취소한 것이니 당연하다면 당연하다. (안 쓴 거라서 PP도 닳지 않는다.)
  • 반동 데미지는 소수점 내림이다. 만약 체력이 홀수라면 풀피에서 2번 빗나가도 체력이 1 남기 때문에, 채용한다면 체력을 홀수로 맞추는 것이 좋다.
  • 중력[3]을 통해 빗나감을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중력 밑에서는 점프 기술이 봉인되므로 무릎차기의 사용 자체가 막힌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5세대 이후를 기준으로 130/90으로 기대 위력 117이라는 위력/명중률을 자랑한다. 반대 버전인 특수 격투 기술의 한계선인 기합구슬이 120/70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충격과 공포. 심지어 5세대 당시 타이틀 전설의 포켓몬의 전용기 푸른불꽃/뇌격보다도 높으며, 용성군 같은 기술과 비교하면 위력과 명중률이 똑같은데 페널티는 훨씬 가볍다.

그 대가로, 빗나가는 등 여러가지 이유로 실패하면 1턴을 그대로 버리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체력이 50%나 깎이는 무서운 페널티가 있다. 이거 배우는 포켓몬 중 내구가 높은 포켓몬이 별로 없기 때문에 빗나감은 곧 죽음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배우는 포켓몬이 전부 내구력이 좋지 않으니 빗나가건 말건 한방타이므로 페널티 무시하고 뻥뻥 날려대면 그만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아무리 내구가 낮아도 내구력이 반토막으로 깎이면 온갖 선공기에 1타 범위로 들어오기 때문에 극심한 손해가 맞다.[4] 인파이트와 다르게 기합의띠가 알아서 박살나는 것도 문제.

그렇기 때문에 무릎차기 사용자는 항시 방어와 고스트 타입으로의 교체를 예측하면서 위험한 플레이를 해야 한다. 이런 심리전에 능통해서 전부 다 예측한다 하더라도 10% 확률로 빗나가서 실패하면 생지옥을 보기 때문에 운이 안 따르는 사람에게는 비추천한다. 언제 어떻게 써도 불안한 기술.

물론 전부 다 맞는다면 별 문제는 아니기도 하다. 사실 90이라는 명중률은 객관적으로 높으며, 스토리라면 모를까 실전에서는 광각렌즈 등 별도의 수단으로 명중률을 보정하기에는 효율이 나쁘다. 오히려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위력이 130씩이나 되는 사기 기술이 쓰는 족족 맞고 반동 이외의 페널티도 없으니 불공정하다고 느껴질만한 기술.

가장 많이 비교되는 인파이트와 비교하면 둘 다 일장일단이 있지만, 인파이트에 비해서는 미묘하게 아래로 평가된다. 다 맞는다는 가정 하에서는 무릎차기가 훨씬 강하지만, 90의 명중률은 다 이긴 게임을 뒤집기에 충분하기 때문. 무릎차기와 인파이트를 둘 다 배우는 루카리오의 경우 인파이트를 훨씬 우선해서 채용하며, 페로코체는 인파이트가 범용기로 풀리자 인파이트로 갈아탔다.

이 기술의 최고 위력 사용자는 '순수한힘' 특성의 요가램으로, 공격 풀보정 머리띠 요가램의 무릎차기 결정력은 무려 71760이다. 특공 풀보정 안경 화이트큐레무용성군과 맞먹는 위력으로, 이 정도 결정력이면 기띠나 옹골참이 아닌 이상 거의 1타에 삭제된다. 하지만 메가요가램이 새로 출시된 이후에는 결정력이 조금 낮아져도 거의 메가요가램을 사용한다. 안정성에서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 그러나 떨어졌다고는 해도 공격 풀보정 메가요가램의 무릎차기 결정력은 65130로 사실 이 정도 결정력이면 플랫 룰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기본 내구가 빵빵한 초전설 포켓몬까지 1~2타에 무조건 정리하는 어마어마한 결정력이다.

4. 배우는 포켓몬

8세대 기준, 무릎차기를 배우는 최종 진화형 포켓몬은 아래와 같다.
7세대까지 무릎차기를 배웠지만 8세대부터 배울 수 없게 된 포켓몬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만화 포켓몬스터 스페셜(포케스페)에서는 관동 지방의 사천왕 시바의 시라소몬의 사용으로 등장했다. 팔다리의 각반 부분이 스프링처럼 자유롭게 늘어나는 시라소몬의 특성에 의해 '시라소몬의 무릎차기 공격 → 무릎 부분을 노려서 전기자석파 → 거긴 그냥 다리가 구부러진 부분이고 무릎 아닌데 → 퍽!'이라는 말도 안 되는 공격 방식을 보여주었다. 그런데 시라소몬에게 마비 면역인 유연 특성이 생기며 결과적으로 맞는 말이 되었다.

Pokémon GO에서는 게임이 출시된 지 8년 만에 달코퀸의 커뮤니티 데이 특전기로 추가되었다. 레이드에서의 성능은 위력 90의 1차징으로 쿨타임이 짧다는 것을 빼면 기합구슬보다 못하지만, 트레이너 배틀에서는 전용기인 플라잉프레스, 확정 디버프가 있는 인파이트와 엄청난힘 다음으로 높은 DPE를 보유하고 있다. 빗나갈 시 체력이 깎이는 본가의 부가효과를 구현하여 10% 확률로 사용자의 방어가 4랭크 하락한다.[5] 정작 달코퀸은 비자속인데다 트레이너 배틀에서도 거의 안 쓰이지만, 가장 큰 수혜를 받게 될 포켓몬은 이 기술의 부재로 성능 나쁜 기합구슬을 써야 했던 번치코이다.

5.1.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DP 포켓몬 리그에서 용식의 시라소몬이 사용했다.

포켓몬스터 BW에서 지우의 곤율랭이 주력기로 사용하는데 본가보다 명중률이 낮은지 실패하는 장면이 굉장히 자주 나온다. 그럴 때마다 무릎을 부여잡고 바닥에서 나뒹구는 모습이 압권.

그리고 포켓몬스터 XY에서 지우의 루차불이 마지막 피니시로 쓰는 기술이 이 기술이다.
[1] 2세대까지의 반동 피해는 ⅛이었다.[2] 특히 4세대에서 자두와 재대결을 할때, 자두의 요가램이 무릎차기를 날릴걸 예측하고 기라티나로 교체하면 알아서 자폭하게 만들 수 있다.[3] 모든 기술의 명중률이 5/3배가 된다.[4] 이 점은 내구력이 가장 낮은 페로코체조차 다르지 않다.[5] 참고로 Pokémon GO에서는 4랭크가 최대 상승 및 하락 단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