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늬바리 Leopard Coral Grouper, Coral Trout | |
| | |
| 학명 | Plectropomus leopardus (Lacépède, 1802) |
| <colbgcolor=#fc6> 분류 | |
|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목 | 페르카목(Perciformes) |
| 과 | 우레기과(Epinephelidae) |
| 속 | 산호바리속(Plectropomus) |
| 종 | 무늬바리(P. leopardus) |
| 멸종위기등급 | |
| | |
1. 개요
바리류 중 중형종으로, 인도-태평양 산호초 생태계의 주 상위포식자 중 하나이다. 주로 다른 어류와 두족류를 잡아먹으며 1.2m에 10kg 이상까지 성장한다.2. 습성
다른 산호바리속 어종도 그렇지만 이 종은 특히 대왕곰치나 큰양놀래기 등 다른 육식어종과 협력사냥을 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이유는 이들의 다양한 사냥 기술을 합치면 서로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늬바리는 장애물 외부에서 물 속에 떠 있다가 은신처 바깥으로 나오는 사냥감을 빠르게 덮칠 수 있고, 곰치는 무늬바리가 들어갈 수 없는 산호초 내부까지 진입해 사냥감을 몰아낼 수 있으며 큰양놀래기는 입으로 작은 산호 그루터기를 부수어 역시 사냥감을 몰아낼 수 있으므로 모든 퇴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렇게 사냥하면 산호초 사이로 도망친 물고기는 대왕곰치의 몫이 되고, 산호초 밖으로 튀어나온 물고기는 무늬바리의 몫이 된다. 대왕곰치와 사냥할 시에는 자세와 지느러미의 움직임으로 서로에게 수신호를 보낸다. [1]3. 인간과의 관계
식용으로, 낚시 대상어로 상당히 많이 소비된다. 간혹 해수관상어로도 수입된다.[1] 이를 보면 이 3종의 물고기들은 지능이 제법 높은 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