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7 07:04:46

무교


1.

80년대 개신교 신학자 유동식이 제안한 명칭으로, 무속 신앙을 종교 현상으로써 일컫는 명칭이다.[1] 무종교를 뜻하는 무교와 겹치며, 무속이라는 원래 용어가 있던 탓에 학술적인 영역 외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10년대부터 중국에서 급속도로 만주 샤머니즘을 지칭하는 용어로 巫敎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기원전 500년 경의 초나라의 巫 표현을 근거로, 여진족의 샤머니즘과 초나라의 巫를 엮어서 해석한다.

하지만 여진족의 만주 샤머니즘은 기원전에 멸망한 초나라의 巫보다는 한민족의 무속과 거리감이 가까우며, 신화들이 공유하는 속성들이 이를 증명한다.

한민족을 포함한 동이족은 초나라에서 사용한 巫라는 표현을 무당을 표현하는 데 무리없이 사용해왔다. 무당이란 단어는 오해와는 다르게 순우리말의 증거가 발견되는 단어이다.

애초에 巫라는 표현이 mage와 관련이 있다는 제안이 있을 정도로 여러 문명권에서 비슷한 발음을 공유하고 있는 단어이기도 하다.

2. , 무종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종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종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종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종교가 없음. 또는 어느 종교에도 속하지 아니함.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