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름 | Montaval | |
출생 | 1953년 1월 28일 | |
죽음 | 1965년 (12세, 구 13세) | |
성별 | 수컷 | |
털색 | 갈색 (鹿毛) | |
아비 | Norseman | |
어미 | Ballynash | |
외조부 | Nasrullah | |
성적 | 21전 5승 | |
주요 우승 | |
[clearfix]
1. 개요
프랑스의 경주마. 1957년 KGVI&QES 우승마로 1961년에 일본에 종마로 수출되었다.2. 혈통
1대 | 2대 | 3대 |
<colbgcolor=#fff3e4,#331c00>Norseman 1940 | <colbgcolor=#ffffe4,#323300>Umidwar 1931 | Blandford |
Uganda | ||
Tara 1932 | Teddy | |
Jean Gow | ||
Ballynash 1946 | Nasrullah 1940 | Nearco |
Mumtaz Beguml | ||
Ballywellbroke 1933 | Ballyferis | |
The Beggar | ||
* Blandford 3x5 15.625% | ||
주요 반형제 | Moutiers(父 Sicambre)(1958) |
3. 생애
1953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현역 통산 21전 5승, 1956년 엡섬 더비 2착, 1957년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우승을 기록했다. 1961년 에 일본에 수출되어 종마로서 공용되었고 1965년에 죽었다. 같은 해의 3세(현 2세) 리딩 사이어 1위에 올랐다.종마로는 단기간 공용으로 끝났지만 8대 경주 우승마 2마리를 배출했다. 또한 테스코 가비 (어머니의 아버지), 아이네스 후진, 마치카네 탄호이저 (이대 어머니의 아버지), 메지로 도베르 (삼대 어머니의 아버지) 등의 모계에 그 이름을 남기고 있다.
3.1. 종마 생활
일본에서 종마생활을 한 지 4년 만에 죽었고 좋은 성적을 거둔 산구마들의 불운한 처지에 주목한 문필가이자 경마평론가인 테라야마 슈지가 <몽타발 일가의 피의 저주에 대해> 라는 에세이를 썼다.3.1.1. 주요 산구마
- 나스노 코토부키 (ナスノコトブキ, 1963) - 20전 6승. NHK배, 아사히 챌린지컵, 킷카상 (1966)
- 니혼 필로 에이스 (ニホンピローエース, 1963) - 24전 10승. 한신 3세 스테이크스 (1965), 사츠키상 (1966), 한큐배(1967), 1965년 최우수 3세 수말
- 메지로 보사츠 (メジロボサツ, 1963) - 18전 9승. 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 (1965), 4세 암말 특별, 하코다테 기념 (1966), 1965년 최우수 3세 암말
- 몬타 선 (モンタサン[1], 1964) - 27전 12승. 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 (1966), 세인트라이트 기념 (1967), 케이오배 스프링 핸디캡 (1969), 1966년 최우수 3세 수말
3.1.2. 주요 Broodmare Sire(BMS)
- 테스코 가비 - 10전 7승. 케이세이배 3세 스테이크스 (1974), 케이세이배, 오카상, 우준 빈마, 한신 4세 암말 특별 (1975), 1974 최우수 3세 암말, 1975 최우수 4세 암말
4. 여담
몽타발이 죽고 1년 후 1966년에 반형제 동생 무티에가 몽타발의 후계 종마로 수입 되었다. 무티에의 산구마로 타니노 무티에(1967), 1971년 킷카상 우승마 니혼 필로 무티에(1968), 1972 최우수 장애물 경주마 무티에 이치(1968), 1974 천황상(가을) 우승마 카미노 테시오(1970) 등이 있다.5. 경주 성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51 슈프림 코트 | 1952 툴야르 | 1953 핀자 | 1954 오리올 | 1955 1956 1957 1958 1959 앨사이드 |
1960 어그레서 |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언트 이디스 | 1967 버스티드 | 1968 로열 팰리스 | 1969 파크 탑 | |
1970 | |
그룹제 도입, G1 지정 후 | |
1971 밀 리프 | 1972 브리거디어 제라드 | 1973 · 1974 1975 그런디 | 1976 포니즈 | 1977 1978 일 드 부르봉 | 1979 트로이 | |
1980 엘라마나무 | 1981 셔가 | 1982 칼라글로 | 1983 1984 티노소 | 1985 페토스키 | 1986 댄싱 브레이브 | 1987 레퍼런스 포인트 | 1988 음토토 | 1989 내시원 | |
1990 벨메츠 | 1991 제너러스 | 1992 1993 오페라 하우스 | 1994 킹스 시어터 | 1995 1996 펜타이어 | 1997 · 1998 1999 | |
2000 2001 2002 골란 |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콘듀잇 | |
2010 하빈저 | 2011 너새니얼 | 2012 2013 2014 타그루다 | 2015 포스폰드 | 2016 2017 이네이블 | 2018 포에츠 워드 | 2019 · 2020 이네이블 | |
2021 어데이어 | 2022 파일드라이버 | 2023 후쿰 | 2024 |
[1] 알파벳 표기 Monta 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