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9 02:51:47

메다로트 시리즈

메다로트 시리즈
メダロットシリーズ
Medabots Series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colbgcolor=#FFCC00><colcolor=#5AC6D0> 개발 나츠메 (1 ~ G・BRAVE)
스마일 소프트 (弐CORE)
로켓 컴퍼니 (진형)
델타 아츠 (DS ~9)
쥬피터 (DUAL)
엔진즈, KUROGANE (걸즈미션)
SoWhat (S)
유통 Imagineer (1 ~ 5・진형・클래식즈)
나츠메 (G・弐CORE・BRAVE)
로켓 컴퍼니[1] (DS ~ navi (VC판))
장르 RPG
최초 발매작 메다로트 (1997)
최종 발매작 메다로트 클래식스 플러스 (2020)
공식 홈페이지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등장인물3. 관련설정4. 작품 목록
4.1. 본편4.2. 외전4.3. 합본판4.4. 애니메이션
4.4.1. TVA 1기: 메다로트4.4.2. TVA 2기: 메다로트 혼(魂)
4.4.2.1. 주제가4.4.2.2. 회차 목록
5. 만화6. 기타

1. 개요

일본의 게임 회사 Imagineer에서 1997년부터 발매하고 있는 게임 및 만화가 호루마 린(ほるまりん)[2]코단샤의 만화잡지 코믹 봉봉에 연재했던 만화 등의 미디어 믹스계 작품.

소위 메다로트 풍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메카닉 디자인이 특징이며 다양한 형태의 실험적인 디자인도 많은 편. 기괴한 디자인이 많은 부유형이나 약 빨고 만든 것 같은 변신형 메다로트 등. 메다로트의 기본설정 중 하나가 남성형과 여성형으로 나뉜다는 점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미소녀풍 로봇이 등장하는 것도 특징.

게임판은 분위기나 그래픽적인 면에서 포켓몬스터의 아류작이라는 평을 받으나, 시스템적으로는 로봇이라는 특성에 맞춰 차별화된 부분이 많다.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4가지 파츠(머리, 양팔, 다리)로 구성된다는 점과 부위파손 시스템, 선딜과 후딜이 존재하는 반턴제, 3대3 팀전으로 적의 리더기를 먼저 행동불능으로 만들면 승리라는 규칙이 게임의 가장 큰 특징이다.

2001년 GBC로 발매된 메다로트 5 이후로 정규 시리즈가 끊기고, 애니메이션의 종영, 코믹스판의 완결, 파생작들의 낮은 완성도로 인해 시리즈가 잠시 끊겼으나 나중에 팬들이 팬 클럽 및 위키 개설을 통해 작품을 살리려고 노력하고 있다.

2010년 팬들의 노력으로 메다로트 DS로 시리즈가 부활, 3DS로 넘어가면서도 꾸준히 시리즈가 이어지고 있다.

2017년 20주년을 맞았으며, 2018년에는 1편의 발매일인 11월 28일을 '메다로트의 날'로 정하였다.

2019년 2월 7일 슈퍼로봇대전 X-Ω에 기간한정 참전이 확정되었다.

2019년 9월 17일 강철전기 C21와의 콜라보 이벤트를 발표했다. 시리즈 자체의 콜라보로 콜라보 당시 C21게임내에 메다롯트S광고가 그려진 대형 패널이 도시에 배치되었고 메타비, 로쿠쇼, 세일러멀티, 아크비틀D, 티렐비틀이 플레이어블 기체로 추가되었다.

2020년 4월 1일 만우절 기념으로 디지몬 시리즈와 콜라보를 했다. 자세한건 오메다몬 문서 참고.

한국에서는 게임은 정규 시리즈는 정식으로 발매된 적이 없으며, 외전도 2024년 메다로트S가 처음으로 서비스될 예정이다. 애니메이션과 코믹스는 정식으로 소개되었다.

2. 등장인물

3. 관련설정

4. 작품 목록

본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nt-weight: b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CC00>세대작품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527AC7>히카루1 퍼팩트 에디션/진형
잇키2 弐CORE | 3 | 4
코이시마루5
아즈마DS | 7
솔트8
텐마9}}}}}}}}}
외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nt-weight: b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CC00>세대작품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527AC7>PSR
TCG카드로보틀
GBAnavi | G
GCBRAVE
3DSDUAL | 걸즈 미션
모바일S}}}}}}}}}
합본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nt-weight: b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CC00>세대작품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527AC7>3DS클래식스
Switch클래식스 플러스}}}}}}}}}
미디어 믹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nt-weight: b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CC00>세대작품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527AC7>TVA메다로트 | 혼}}}}}}}}}
등장인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nt-weight: b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CC00>세대주요 등장인물
본판아가타 히카루 | 아키타 키라라 | 아키하바라 나에 | 니모사쿠 유우키 | 패디
2~4텐료 잇키 | 아마자케 아리카 | 카라쿠치 코우지 | 준마이 카린 | 아가타 히카루괴도 레토르트
5코이시마루
DS,7아즈마
8솔트
9텐마
}}}}}}}}} ||



특이점으로는 GBA에선 리메이크작과 외전작만 출시되었으며 본편은 출시된 적이 없다.

4.1. 본편

  • 메다로트(GB)
    • 메다로트 파츠 콜렉션1, 2(GB) 간소한 스토리와 파츠 콜렉션이라는 이름처럼 파츠를 퍼다주는 것이 특징적.
    • 메다로트 퍼팩트 에디션(원더스완)
      1의 리메이크작.
    • 진형 메다로트(GBA)
      1의 2번째 리메이크작. 2의 리메이크작인 弐CORE보다 나중에 나온 작품이다. 원작에 전혀 맞지 않은 양키센스풍의 캐릭터 디자인으로 팬들 사이에선 사실상 흑역사화 되고 있는 작품.
  • 메다로트DS (NDS)
    시리즈의 부활을 알린 작품.
  • 메다로트7 (3DS)
    DS와는 등장인물은 동일하지만 스토리가 이어지지않고 완전히 별개로 진행된다. 일종의 스토리 리부트 작품.
  • 메다로트8 (3DS)
  • 메다로트9 (3DS)

4.2. 외전

  • 메다로트 R(PS1)
    2편을 베이스로 하고 있는 듯 하지만 스토리가 다소 다르다. 첫 3D 작품으로 기종 한계상 버전 나눔 없는 단독작품이다. 등장인물은 같지만 캐릭터 디자인이 메인 시리즈와 상당히 다른 편. 게임 시스템은 메인 시리즈와 큰 차이는 없다.
    • 메다로트 R 파츠 콜렉션
  • 메다로트 카드로보틀
    카드 게임.
  • 메다로트 navi(GBA)
    SRPG형식을 다소 빌린 게임.
  • 메다로트 BRAVE
  • 메다로트 DUAL (3DS)
    메다로트 G의 계보를 잇는 3D 액션 대전게임. 로보틀이 2:2형식인 것도 유사하다.
  • 메다로트 걸즈 미션 (3DS)
    뜬금없이 미소녀들이 떼거지로 등장한다.(...) 게임 방식 자체는 DUAL과 동일

4.3. 합본판

  • 메다로트 클래식스 (3DS)
    시리즈 20주년 기념작으로 GB용 시리즈(1~5)까지를 모두 수록한 콜렉션 작품이다.
  • 메다로트 클래식스 플러스 (NS)
    GB로 나온 시리즈에 더해 GBA로 나온 작품[4]까지 수록한 콜렉션.

4.4. 애니메이션

게임을 원작으로 하여 TV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이 되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은 마츠타케 토쿠유키.

4.4.1. TVA 1기: 메다로트

1999년부터 2000년까지 방영한 애니메이션. 작화 수준이 엄청나다. 총 52화이며 한국에서도 챔프TV와 재능방송에서 방영한 적이 존재한다.

4.4.2. TVA 2기: 메다로트 혼(魂)

메다로트 혼 (2000~2001)
メダロット魂
<nopad> 파일:메다로트혼_애니.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장르 SF
원안 메다로트사(メダロット社)
감독 아라카와 마사츠구(荒川真嗣)
시리즈 구성 나카가와 요스케(中川陽介)
캐릭터 디자인 마츠타케 토쿠유키
메카 디자인 스즈키 히로후미
미술 감독 코야마 토시히사(小山俊久)
색채 설계 코바야시 미요코(こばやしみよこ)
촬영 감독 쿠로키 야스유키(黒木康之)
엔도 야스히사(遠藤泰久)
디지털 촬영 감독 콘도 야스나오(近藤靖尚)
미나미구치 다이스케(南口大助)
편집 후세 유미코(布施由美子)
노지리 유키코(野尻由紀子)
음향 연출 에비나 야스노리(蝦名恭範)
애프터레코드 연출 고다 호즈미
음악 테즈카 오사무(手塚 理)
기획 스기야마 유타카(杉山 豊)
프로듀서 구시마 토모코(具嶋朋子)테레비 도쿄
마츠시타 요코(松下洋子)
라인 프로듀서 모리타 토시아키(森田俊昭)
애니메이션 제작 트랜스 아츠(トランス・アーツ)
애니메이션 제작협력 Production I.G
제작 테레비 도쿄
NAS
방영 기간 2000. 07. 07. ~ 2001. 03. 30.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금) 18: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챔프TV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39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모든 연령 시청가 아이콘.svg 모든 연령 시청가
}}}}}}}}}}}} ||

전작이 인기를 끌어 제작된 메다로트의 후속편으로서 1기 최종화 방영 후 바로 1주일 뒤인 2000년 7월 7일부터 2001년 3월 30일까지 총 39화가 방영되었다. 1기의 참여 스태프가 대부분 이탈했으며 나쁘진 않으나 1기 만큼의 힘은 들어가지 않은 작품.
4.4.2.1. 주제가
4.4.2.1.1. OP
OP
SUPER GUYS!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나카무라 유스케(中村裕介)
작곡
작사 마츠바 미호(松葉美保)
편곡 이이즈카 마사아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하마나 타카유키
아라카와 마사츠구(荒川真嗣)
연출
작화감독 스에요시 유이치로
원화 미야자와 야스노리
}}}}}}}}} ||
4.4.2.1.2. ED
ED
年下のボク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카이다 유리코(貝田由里子)
작곡
작사 키모토 케이코(木本慶子)
편곡 이마이즈미 히로시(今泉 洋)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카미야마 켄지
연출
작화감독 마츠타케 토쿠유키
원화 니시노 리에
}}}}}}}}} ||
4.4.2.2.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爆走! 新型メタビー
폭주! 신형 메타비
呉 行湖 아라카와 마사츠구
(荒川真嗣)
아라카와 마사츠구
카이 히요리
(界 日和)
테라사와 신스케
(寺沢伸介)
日: 2000.07.07.
韓:
제2화 禁じられた戦い!
금지된 싸움!
야마다 타카시
(山田隆司)
야마다 카츠히사
(山田勝久)
타카시마 다이스케
(高島大輔)
이이다 히로요시
(飯田宏義)
호리 코지
(祝 浩司)
日: 2000.07.14.
韓:
제3화 謎のドークス使い
의문의 도크스 사용자
나카가와 요스케
(中川陽介)
요시나가 나오유키
(吉永尚之)
카이 히요리 오이카와 히로시
(及川博史)
日: 2000.07.21.
韓:
제4화 届けもの大騒動
소포 대소동
마에카와 아츠시 하마나 타카유키 우지이에 아키오
(氏家章雄)
日: 2000.07.28.
韓:
제5화 激突! スクープ合戦
격돌! 특종 합전
요코테 미치코 요코타 카즈
(横田 和)
우스타니 히데유키
(薄谷栄之)
日: 2000.08.04.
韓:
제6화 怪談・夜の理科室
괴담, 밤의 과학실
나카가와 요스케 타카하시 유키오
(高橋幸雄)
臣又貝 테라사와 신스케 日: 2000.08.11.
韓:
제7화 プールでロボトル!
우울한 로보틀!
이나리 아키히코
(稲荷昭彦)
이타니 키요타카
(井硲清高)
카이 히요리 쿠보 사토시
(窪 敏)
日: 2000.08.18.
韓:
제8화 戦士の絆・前編
전사의 인연 전편
마에카와 아츠시 후세키 카즈노부
(布施木一喜)
이이다 히로요시 日: 2000.08.25.
韓:
제9화 戦士の絆・後編
전사의 인연 후편
하마나 타카유키 타카시마 다이스케 모치즈키 켄
(望月 謙)
日: 2000.09.01.
韓:
제10화 暴走! 赤い悪魔
폭주! 붉은 악마
야마다 타카시 요시나가 나오유키 카이 히요리 우스타니 히데유키 日: 2000.09.08.
韓:
제11화 アリカの花園
아리카의 화원
요코테 미치코 타나카 카즈
(田中 一)
逢端貴幸 테라사와 신스케 日: 2000.09.15.
韓:
제12화 盗まれたメタビー
빼앗긴 메타비
나카가와 요스케 야마다 카츠히사 스즈키 카오루
(鈴木 薫)
마에다 카즈유키
(前田一雪)
日: 2000.09.22.
韓:
제13화 ハニー救出大作戦
허니 구출 대작전
마에카와 아츠시 요코타 카즈 쿠보 사토시 日: 2000.09.29.
韓:
제14화 メダロット墓場
메다로트 무덤
이나리 아키히코 후세키 카즈노부 이이다 히로요시 日: 2000.10.06.
韓:
제15화 立て! ギンカイ
일어서라! 킹 가이
야마다 타카시 야마다 카츠히사 카이 히요리 카마타 유스케
(鎌田祐輔)
日: 2000.10.13.
韓:
제16화 コクリュウの逆襲
코크류의 역습
요시나가 나오유키 逢端貴幸 우지이에 아키오 日: 2000.10.20.
韓:
제17화 大空の戦い!
넓은 하늘의 싸움!
이나리 아키히코 카미야마 켄지 후세키 카즈노부 모기 타쿠지
(茂木琢次)
日: 2000.10.27.
韓:
제18화 カンニング大作戦
컨닝 대작전
나카가와 요스케 하마나 타카유키 우스타니 히데유키 日: 2000.11.03.
韓:
제19화 守れ! 男のプライド
지켜라! 남자의 자존심
마에카와 아츠시 혼다 켄지
(本田賢二)
타카시마 다이스케 쿠보 사토시 日: 2000.11.10.
韓:
제20화 仕掛けられた罠
설치된 함정
이나리 아키히코 야마다 카츠히사 타나카 카즈 마에다 카즈유키 日: 2000.11.17.
韓:
제21화 トリックをあばけ!
트릭을 파헤쳐라!
스즈키 카오루 카마타 유스케 日: 2000.11.24.
韓:
제22화 ユウヅルの正体
유즈루의 정체
마에카와 아츠시 후세키 카즈노부 모치즈키 켄 日: 2000.12.01.
韓:
제23화 ナエのお見合い
나에의 맞선
요코테 미치코 요코타 카즈 모기 타쿠지 日: 2000.12.08.
韓:
제24화 ドークスの奇跡
도크스의 기적
야마다 타카시 타나카 카즈 우스타니 히데유키 日: 2000.12.15.
韓:
제25화 ワカバの誘惑
와카바의 유혹
테라도 노부히사
(寺戸信寿)
카이 히요리 이이다 히로요시 日: 2000.12.22.
韓:
제26화 燃えろ! 熱き魂
불타올라라! 뜨거운 영혼
아라카와 마사츠구 하마나 타카유키 타카하시 나리유키
(高橋成之)
오가사와라 아츠시
(小笠原 篤)
日: 2000.12.29.
韓:
제27화 男イワノイ大勝負
남자 이와노이 대승부
나카가와 요스케 요시나가 나오유키 臣又貝 쿠보 사토시 日: 2001.01.05.
韓:
제28화 激走! 一直線レース
격주! 일직선 레이스
하마나 타카유키 마에다 카즈유키 日: 2001.01.12.
韓:
제29화 メタビーの大特訓
메타비의 대특훈
테라도 노부히사 스즈키 카오루 우스타니 히데유키 日: 2001.01.19.
韓:
제30화 アリカ一発逆転!
아리카 일발역전!
요코테 미치코 요코타 카즈 카마타 유스케 日: 2001.01.26.
韓:
제31화 炎のアークダッシュ
불꽃의 아크 대쉬
마에카와 아츠시 카이 히요리 쿠보 사토시 日: 2001.02.02.
韓:
제32화 失われた友情
잃어버린 우정
이나리 아키히코 후세키 카즈노부 모기 타쿠지 日: 2001.02.09.
韓:
제33화 ナエさんMY LOVE
나에씨 MY LOVE
야마다 타카시 모리 요시히로
(森 義博)
카이 히요리 타카하시 나리유키
오가사와라 아츠시
日: 2001.02.16.
韓:
제34화 父への想い
아빠를 향한 마음
마에카와 아츠시 야마다 카츠히사 타나카 카즈 마에다 카즈유키 日: 2001.02.23.
韓:
제35화 メダロットは友達
메다로트는 친구
스즈키 카오루 우스타니 히데유키 日: 2001.03.02.
韓:
제36화 たった一人の逃亡者
단 하나의 도망자
이나리 아키히코 타나카 카즈 카마타 유스케 日: 2001.03.09.
韓:
제37화 禁断のデスメダル
금단의 데스 메탈
마에카와 아츠시 요코타 카즈 타카하시 나리유키
오가사와라 아츠시
日: 2001.03.16.
韓:
제38화 コクリュウの過去
코크류의 과거
島田 工
야마다 카츠히사
스즈키 카오루 모기 타쿠지 日: 2001.03.23.
韓:
제39화 輝け! 希望の魂
빛나라! 희망의 영혼
후세키 카즈노부 쿠보 사토시 日: 2001.03.30.
韓:

5. 만화

게임 시리즈의 캐릭터 및 메다로트 디자인을 담당한 호루마 린이 직접 연재한 만화 시리즈가 대표적이다. 1997년 1편 기반으로 연재가 되어 2003년 G 기반까지 코단샤의 코믹 봉봉에서 연재되었다. 한국에서는 애니메이션의 국내 방영과 비슷한 시기에 학산문화사에서 3편 분량까지 정발된 바 있다.

이후 DS로 오랜만에 시리즈가 재개될 때 DS 기반의 코믹스를 연재하였다. 다만 당시 코믹 봉봉은 이미 폐간되었기 때문에 연재지를 전격 닌텐도 DS로 변경.

6. 기타

  • 게임 시리즈에는 몇 가지 전통이 존재한다.
    • 분할 상법
      본 시리즈는 항상 '카부토'(장수풍뎅이), '쿠와가타'(사슴벌레)라는 두 버전으로 판매된다. 메인 시리즈는 물론이고, 리메이크 및 외전격 시리즈, 또는 이식판까지 대부분 해당된다. 분할 상법계 게임으로써는 굉장히 특이하게도, 2개 버전의 이름이 1997년 발매된 1편부터 2022년 현재까지 한번도 바뀐 적이 없다.
      차이점은 주인공이 주력으로 쓰게 되는 메다로트가 메타비 계열인지 로쿠쇼 계열인지의 차이 그 밖에 입수가능한 일부 메다로트의 파츠가 다르다.
      플레이면에선 아무래도 장수풍뎅이 버젼이 유리하다. 이유인 즉슨 메타비 계열의 머리 파츠에는 반드시 명중하는 특성을 지닌 미사일이나 네이팜이 스킬로 들어있기 때문.
    • 여자화장실
      학교에 들어가면 반드시 여자화장실이 복도 가장 왼쪽에 존재하며 들어가면 반드시 여자아이가 "꺄~! 변태!"라고 말하고 주인공은 도망쳐 나온다.
    • 히로인에게 주인공이 키스를 받는 엔딩.
      DS판에선 엄마와의 엔딩도 존재한다. 모자 근친
  •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아이묭의 대표곡 마리골드의 멜로디가 메다로트 2의 BGM Easygoing과 매우 흡사하다.

[1] Imagineer의 자회사. 2016년에 모회사인 Imagineer에 흡수합병되면서 해산되었다.[2] 이름의 모티브는 포르말린. 게임 시리즈의 캐릭터 및 메다로트의 디자인도 담당. 7부터는 캐릭터 디자인에는 손을 뗐지만, 여전히 메다로트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다.[3] KBT(카부토)형과 KWG(쿠와가타)형을 융합시킨 KXK형 메다로트라고 한다.[4] G, Navi, 弐CORE의 3작. 진형은 미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