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19:45:22

루이스 소모사 데바일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0b3, #046dc9 20%, #046dc9 80%, #0050b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권한대행 임시 자칭
프루토 차모로 호세 마리아 에스트라다 파트리시오 리바스 윌리엄 워커
<rowcolor=#fff>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토마스 마르티네스 페르난도 구스만 솔로르사노 호세 비센테 쿠아드라 페드로 호아킨 차모로 알파로
<rowcolor=#fff> 제6대 제7대 제8대 권한대행
호아킨 사발라 아단 카르데나스 에바리스토 카라소 니콜라스 오소르노
<rowcolor=#fff> 권한대행 제9대 제10대 권한대행
로베르토 사카사 이그나시오 차베스 테예리아 로베르토 사카사 살바도르 마차도
<rowcolor=#fff> 권한대행 제11대 권한대행 권한대행
호아킨 사발라 호세 산토스 셀라야 호세 마드리스 호세 돌로레스 에스트라다
<rowcolor=#fff> 권한대행 권한대행 제12대 제13대
루이스 메나 후안 호세 에스트라다 아돌포 디아스 에밀리아노 차모로 바르가스
<rowcolor=#fff> 제14대 권한대행 제15대 제16대
디에고 마누엘 차모로 로센도 차모로 바르톨로메 마르티네스 카를로스 호세 솔로르사노
<rowcolor=#fff> 제13대2 권한대행 제12대2 제17대
에밀리아노 차모로 바르가스 세바스티안 우리사 아돌포 디아스 호세 마리아 몬카다
<rowcolor=#fff> 제18대 권한대행 제19대 제20대
후안 바우티스타 사카사 카를로스 알베르토 브레네스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레오나르도 아르게요 바레토
<rowcolor=#fff> 권한대행 제21대 권한대행 제19대2
벤하민 라카요 사카사 빅토르 마누엘 로만 이 레예스 마누엘 페르난도 수리타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rowcolor=#fff> 제22대 제23대 권한대행 제24대
루이스 소모사 데바일레 레네 시크 오를란도 몬테네그로 메드라노 로렌소 게레로
<rowcolor=#fff> 제25대 임시 제25대2 권한대행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군사정권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프란시스코 우르쿠요
<rowcolor=#fff> 임시 제26대 제27대 제28대
국가재건위원회 다니엘 오르테가 비올레타 차모로 아르놀도 알레만
<rowcolor=#fff> 제29대 제26대2 제30대*
엔리케 볼라뇨스 다니엘 오르테가 로사리오 무리요
※ 니카라과의 경우 임기가 중간에 단절되었다가 다시 집권해도 처음 집권했을 당시의 대수를 유지한다.
* 다니엘 오르테가와의 공동대통령
}}}}}}}}}}}}
<colbgcolor=#046dc9><colcolor=#fff>
니카라과 공화국 제22대 대통령
루이스 소모사 데바일레
Luis Somoza Debayle
파일:루이스 소모사 데바일레.webp
본명 루이스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Luis Anastasio Somoza Debayle
출생 1922년 11월 18일
니카라과 레온주 레온
사망 1967년 4월 13일 (향년 44세)
니카라과 마나과
재임기간 대통령 권한대행
1956년 9월 29일 ~ 1957년 2월 3일
제22대 대통령
1957년 2월 3일 ~ 1963년 5월 1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46dc9><colcolor=#fff> 부모 아버지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1896~1956)
어머니 살바도라 데바일레(1895~1987)
형제자매 2남 1녀 중 장남
누나 릴리안 소모사 데바일레(1921~2003)
남동생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1925~1980)
배우자 이사벨 우르쿠요(1924~2014, 1947년 결혼)
자녀 7명
정당 [[민족주의 자유당|
민족주의 자유당
]]
}}}}}}}}}

1. 개요2. 생애3. 가족

1. 개요

니카라과의 제22대 대통령이자 독재자이다. 소모사 가문 출신이다.

2. 생애

아버지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가 이미 니카라과의 대통령인 덕에 1950년 니카라과 하원의원에 당선되어 1953년, 1954년, 1956년에 4선을 역임했다. 1956년 9월 29일 아버지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가 암살당하자 그 즉시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었고, 1957년 2월 3일 정식으로 대통령에 취임했다.

니카라과는 1930년대부터 1979년까지 소모사 가문이 마치 왕조처럼 세습하던 독재자 가문이었지만 그래도 껍데기만큼은 민주주의인 척은 하고 있었는데, 그래서 루이스 역시 6년의 임기를 마치고 가문 사람이 아닌 레네 시크에게 대통령직을 넘겨주고 퇴임했다.

1967년 4월 13일 불과 44세의 나이에 심장마비로 죽었는데, 이는 병사가 아닌 암살로 사망한 아버지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와 동생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보다도 10여년 가량 수명이 짧았다. 역설적으로 그래서 짧게나마 천수를 누리다 갔다.
국가의 제도성은 소모사 정권 때 최고조에 달했다. 40년대에 사회보장법과 노동법의 승인, 사회보장의 범위 확대, 노조와 기업가에 대한 국가의 협상, 대학교의 자치,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의 보조금 지급(유일한 예외는 1960년대 이후 중앙아메리카대학교), 그리고 게릴라 운동의 말썽으로 인해 반란이 일어난 시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잃지 않았던 폭력에 대한 국가의 독점 등이 그 좋은 예들이다. 이 노동법은 산디니스타 행정부를 포함해 비올레타 바리오스 체제 아래서 1994년 신자유주의화 되기까지 거의 반세기 이상을 온전히 살아남았다. "경제성장을 위한 정부의 촉진책에다 사회질서와 평화를 유지하면서 상업과 농업 부분의 요구에 응답했으므로 (그 모든 것을 가능한 최소 비용으로)" 소모사 정부는 공고했으며, 그 권력을 유지했다.
제도적 위기에 처한 니카라과: 민영화된 국가와 군주국가 사이에서, 호세 루이스 로차 고메스,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SNUILAS), 2011 라틴아메리카 연보, pp. 15-25.

루이스도 독재자였지만, 그래도 아버지에 비해서는 온건하게 통치하였고, 부정부패와 야당 탄압으로 악명 높은 동생 아나스타시오에 비해 최소한 빈농들에게 땅을 나눠주고, 여러 복지 제도를 도입하는 등 정무적인 감각은 괜찮았다는 평가이다.

3. 가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모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모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모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루이스 소모사 데바일레는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의 2남 1녀 중 장남이며 슬하에 7남매를 두었으나 루이스 본인의 사망 당시 본인도 젊은 나이고 자녀들도 어린 나이이기 때문에 대통령직을 동생인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에게 물려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