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21:36:11

랜디 오턴/경기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랜디 오턴
파일:02-randy-orton-milestone-02.jpg
백 래쉬 2004 믹 폴리와의 노 홀즈 바드 폴스 카운트 애니웨어 매치 中. #

1. 개요2. 상세3. 주 기술
3.1. 주력기3.2. 시그니처 무브
3.2.1. 엘리베이티드 DDT/행맨 DDT3.2.2. 슈퍼플렉스3.2.3. 스쿱 파워슬램3.2.4. 익스플로이더/T본 수플렉스3.2.5. 올림픽 슬램3.2.6. 인버티드 헤드락 백브레이커
3.3. 피니쉬 무브
3.3.1. O-ZONE3.3.2. 다이빙 크로스바디3.3.3. RKO3.3.4. 러닝 펀트 킥

1. 개요

프로레슬러 랜디 오턴의 경기 스타일과 운영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상세

스펙적으로는 196cm에 달하는 큰 키에 질 좋은 근육을 바탕으로 한 빅맨이지만, 외견과는 다르게 자잘한 공방과 그라운드를 결합한 스타일의 올드 스쿨형 레슬러다. 이는 에볼루션 시절 릭 플레어트리플 H에게 배운 경기 운영의 영향. 차이점이 있다면, 야금야금 체력을 빼놓는 공방전과 운영에 더 힘을 싣는 둘과 달리 기습적인 무브를 통해 업계에서 소위 말하는 '모멘트'를 만드는 데 굉장히 능하고, 실제로도 공방 이후 그쪽에 더 집중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래서인지 랜디 본인이 스톰핑을 애용함에도 불구하고, 앞선 둘처럼 경기 내내 다리지옥, 팔지옥식 운영을 택하지는 않는다. 랜디의 스톰핑은 좀 더 본인의 악랄함을 보여주는 장치로써 활용된다. 그렇다고 랜디가 힘을 못쓰는건 아니다. 워낙 어릴때부터 어깨 부상이 있었는지라 파워밤 같은 기술은 잘 쓰지는 않지만 오로지 힘으로만 상대를 던지는 모습도 간간히 나온다.

랜디의 경기 스타일의 문제점은 큰 범프 없이도 치열한 경기를 치를 수 있는 운영 내공이 있는 둘과 비교하면 다소 운영에서 뒤쳐진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기술이 기습적으로 들어가거나 공방 중 사용하는 슬램류에 가까워서, 스톰핑과 친 락을 통한 운영이 지속되다 보면 경기가 굉장히 지루해진다. 이른바 '기승전결'에서 '기승전'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 것인데, 뛰어난 피니쉬 무브인 RKO를 바탕으로 한 피니쉬 공방이나 경기 후반 롤업 등 마무리 부분에서는 제법 훌륭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이 단점 때문에 전체적인 기량면에서 아주 높은 평가는 받지 못하는 케이스다.

싱글 매치가 아닌 다자간 경기에서는 경기 운영이라는 개념이 희박해지고, 모멘트와 범프가 경기의 주가 되는 상황이 오는 만큼 랜디의 무브들이 더욱 두각을 드러낸다. 혹자는 '움짤형 레슬러'라 평하기도. '사람들이 기억하는건 순간이다'라는 프로레슬링 격언에 가장 걸맞은 레슬러이다.

3. 주 기술

3.1. 주력기

파일:랜디유로피안 어퍼컷.gif 파일:랜디드롭킥.gif
유로피안 어퍼컷드롭킥을 주로 사용한다. 드롭킥은 하드코어 할리에게 전수받아 매우 깔끔한 시전을 선보인다. 초기에는 복싱 스타일의 해머링을 사용하기도 했지만, 점차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파일:Randy Orton - Garvin Stomp.gif 파일:external/cdn.makeagif.com/TUJSBn.gif
쓰러진 상대에게는 스톰핑을 주로 사용한다. 상대의 사지를 골고루 돌려 가면서 스톰핑을 시전하는 것을 가빈 스톰프라 하며, 악랄한 힐 스타일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효과적이다. 보통 경기의 주도권을 잡으면서부터 차츰 사용하며, 친 락과 함께 오턴의 경기 운영을 도맡는다.
파일:72dc8d5eb2a864c6e44d52d3d080415b-1477994143-800.jpg
파일:6993902.jpg
서브미션으로는 친 락을 사용한다. 친 락 계열의 기술인 존 시나의 STF처럼 필살의 서브미션 피니쉬 무브는 아니고, 힐 스타일로 경기를 운영하는 오턴의 경기 조율 역할을 한다. 비슷한 계통의 프로레슬러들이나 일본 프로레슬링에서 공방을 벌이는 식으로 경기 운영을 한다면 오턴에게는 이것이 있는 것.

경기 중 친 락이 길어지기 시작하면 오턴의 경기가 매우 지루해진다는 평이 많다. 서양에서는 이를 두고 'Boreton'이라 조롱하기도.

3.2. 시그니처 무브

3.2.1. 엘리베이티드 DDT/행맨 DDT

파일:엘리베이티드 DDT.gif파일:행맨 DDT.gif
상대를 2단 로프에 걸쳐놓고 시전하는 DDT[1]. RKO의 셋업 무브였지만, 다소 작위적이라는 평이 들리는 지금은 자주 사용하는 기술은 아니다. 한창 사용하던 시절 선역을 맡았을 때는 상대가 이 기술을 맞으려고 직접 로프 근처로 들어온다는 혹평을 듣기도 했다(...). 국내에서 RAW와 스맥다운이 FX에서 방영되던 시절의 중계진들은 이 기술이 나올 때마다 엘리베이터를 탄다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3.2.2. 슈퍼플렉스

파일:랜디giphy (1).gif
아버지인 '카우보이' 밥 오턴의 피니쉬 무브였던 기술. 공중기를 시도하는 상대에게 반격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오턴의 기술 중에서는 가장 '범프'에 가까운 류의 기술. 스톤 콜드 팟캐스트에서 RKO 말고 가장 좋아하는 기술이 슈퍼플렉스라고 밝혔다.

3.2.3. 스쿱 파워슬램

파일:스쿱 파워슬램.gif
달려오는 상대를 잡아 반격기로 시전하는 파워슬램. 오턴의 뛰어난 기술 구사력을 보여주는 기술이지만, 피니쉬 무브인 RKO부터가 어느 정도 반격기의 성향 또한 띠고 있다 보니 입지가 조금 미묘한 편. 엘레베이티드 DDT와 함께 반격 후 RKO를 위한 셋업무브 정도로 활용된다.

특징점으로 시전 직전에 박수를 치는 동작이 있는데, 이는 상대에게 실제로 기술을 시전할테니 접수하라고 신호하는 손동작이다. 제이크 로버츠의 DDT 직전 등을 때리는 것과 같은 맥락. 반대로 박수를 치지 않고 자세를 잡으면 실제로 시전하지 않을테니 반격하라는 신호로 사용되며, 이런 경우 기술 시전에 실패하고 반격을 얻어맞는 흐름으로 이어진다.

3.2.4. 익스플로이더/T본 수플렉스

파일:랜디 익스플로이더.gif파일:DOui9z.gif
그라운드 경기 운영에서 주로 사용하는 기술. 2013년부터 사용했다.

3.2.5. 올림픽 슬램

파일:ScratchyWindingHarrierhawk-size_restricted.gif
커트 앵글이 개발한 것으로 유명한 기술. 원 개발자에게는 피니쉬 무브였지만 오턴은 일반기로 사용한다. 이외에도 다른 레슬러들이 이 기술을 일반기로 사용하는 것 때문에 커트 앵글은 이에 대해 불쾌함을 표출한 적이 있다[2]. 그 이유인지는 몰라도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기술.

3.2.6. 인버티드 헤드락 백브레이커

파일:6FNQAUy.gif파일:external/i840.photobucket.com/orton2.gif
역시 그라운드 경기 운영에서 주로 사용하는 기술. 힐 스타일 운영을 할 때 주로 사용하는데, 바이퍼 기믹을 막 사용하던 당시에 존 시나는 심심하면 이 기술을 맞곤 했다(...).

3.3. 피니쉬 무브

3.3.1. O-ZONE

파일:o-zone.gif
신인 시절 사용한 피니쉬 무브. '오버드라이브'라는 다리를 사용하는 스윙잉 넥브레이커 계열 기술로, 몬텔 본테비어스 포터의 '플레이메이커'와 동형기다. 자기만 넘어가고 상대선수는 넘어가지 않는 모습이 꽤나 있었고, 기술 자체가 시전도 힘들고 위력도 없어보여서 후술할 다이빙 크로스바디로 피니쉬 무브를 바꾼 적이 있다.

3.3.2. 다이빙 크로스바디

파일:다이빙 크로스바디.gif
기본 중의 기본격인 공중기지만, 상기했듯 신인 시절 오턴의 피니쉬 무브였다. THQ사의 게임 스맥다운 4에서 출시 당시 신인이던 랜디 오턴의 피니쉬 무브가 위의 O-ZONE과 다이빙 크로스바디로 등록되어 있다. 더 이상 피니쉬로는 쓰지 않지만 피니쉬에서 강등(…)된 이후로도 꽤 자주 쓰는 무브.

3.3.3. RKO

파일:external/i189.photobucket.com/RKO.gif
쟈니 에이스의 에이스 크러셔, DDP의 다이아몬드 커터와 동일 계열의 조 브레이커형 기술. 점프하면서 사용하는 점핑 커터로, 당시 O-Zone을 피니시로 사용하던 랜디가 어깨 부상으로 O-Zone을 사용하기 힘들어지자 피니시를 바꾸려고 고민하던 중, 존 라우리나이티스가 랜디에게 자신의 에이스 크러셔를 사용하길 권유하였고, 랜디는 바로 승낙했다.

이름은 랜디 오턴의 풀네임(Randal Keith Orton)의 이니셜이다. 랜디가 스톤 콜드의 토크쇼인 브로큰 스컬 세션에 나왔을 때 작명에 대한 비하인드를 밝혔는데, 랜디가 빈스와 백스테이지를 걷다 무심코 제의한 이름이고 빈스는 퉁명스레 '나쁘지 않네'라고 답하며 탄생하였다고.

피니시류 기술 치고는 시전이 간단하고 빨라서 반격기부터 일발역전기, 다자간 경기에서의 기습 등 팬들에게 굉장히 인상깊은 피니쉬 무브다. 오턴이 모멘트에 힘을 싣는 경기 운영을 선호하는 이유. 다소 지루한 경기 중반을 이 RKO와 피니쉬 공방전으로 커버하는 것이다. 현재 WWE에서 가장 인기 있는 피니셔 이기도 하다.
파일:external/stream1.gifsoup.com/randy-orton-botch-o.gif

기술을 처음 사용할 때는 DDP와 차별화하기 위해서인지 직접 달리면서 점프하거나, 한 손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했다. 이 때문에 이런 흑역사연출한 적도 있다.[3][4] 이 이후부터 두 손으로 잡고 커터를 날리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달리는 동작 역시 이 때부터 사라지고 제자리 점프로 바뀌었다.
파일:tumblr_nf0fztZcPz1qedt5eo1_400.gif파일:external/ak-hdl.buzzfed.com/anigif_enhanced-buzz-20521-1421807080-10.gif
파일:external/4.bp.blogspot.com/wwe.gif파일:tenor22 (1).gif
파일:Orton_HardyRKO.gif파일:LonelyCompleteLemur-size_restricted.gif
"Watch Out Watch Out Watch Out! R.K.O! Outta Nowhere!"
마이클 콜
RKO가 가지는 또 하나의 묘미는 특유의 어느 상황에서도 시전된다는 점에 있다. 후술할 인터넷 밈인 RKO Outta Nowhere를 기반으로, WWE 카메라팀의 검증받은 카메라워크가 겹쳐져 굉장히 인상적인 모멘트를 만들어낸다. 오턴 본인도 이를 의식했는지 경기 중에 난입하여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RKO를 날리고 홀연히 사라지며 대립을 시작하는 행동을 종종 보여주고 있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WaRKO
랜디 오턴 vs 슈퍼맨 - RKO의 서막
디 오터닝
스타워즈 - 깨어난 RKO
캡틴 아메리카: 시빌 WaRKO

매우 인상적인 모멘트를 많이 만들어내는 점 때문인지, 2014년 10월 경부터 유튜브 등지에서 사람들이 넘어지는 동영상에 랜디 오턴의 RKO 시전 사진을 절묘하게 합성한 것이 이 되었다. 밈이 점점 발전하면서 RKO를 사람이 아닌 로켓, 심지어 자기 자신에게도 시전하고 다니고, 액션 영화 트레일러가 나오면 RKO를 합성한 트레일러가 꼭 나올 정도로 발전했다. 오턴 본인은 그저 재밌게 생각하는 듯.

요즘 들어 정말 갑자기 RKO라고 할 정도로 오턴이 어디선가 나타나 대립 상대에게 날리고 있다.

경우에 따라선 여자[5]에게도 가차없이 날린다.

다만 20년 동안 그의 상징과도 같은 기술이었지만 이 때문에 랜디 오턴의 척추 상태는 매우 좋지 못하다고 한다. 안그래도 대부분의 접수를 등으로 하는 타입인데 상대 접수를 위해서 추락시의 데미지를 본인의 등으로 다 받아내야하는 기술 20년간 쓰고 다녔으니 멀쩡할리가 없다. 이걸로 인해 과거로 돌아간다면 절대로 커터를 피니셔로 선택하지 않았을거라고 한다. 특히 2023년을 통으로 쉬어야 했을 정도의 등부상도 결국 오랜 RKO 시전으로 인해 쌓인 통증이 결국 터져서 회복이 더뎠다.

3.3.4. 러닝 펀트 킥

파일:external/24.media.tumblr.com/tumblr_mn2rbpLp7x1rnjfjfo1_400.gif

또 하나의 피니쉬 무브인 펀트(Punt) 킥[6]은 다운된 상대방의 머리를 축구공 걷어차듯이 타격하는, 매우 심플하면서도 설득력이 충분한 기술로 상단의 R.K.O보다 한층 상위 격의 피니쉬 무브라고 볼 수 있다. 본래 이 펀트 킥은 Pride와 같은 종합격투기 시합에서 '사커 킥'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는 격투기 기술이기도 하다.
초기에는 시나의 아버지(...) 같은 민간인이나 은퇴한 레전드들을 보내 버릴 때 사용하는 양민학살 전용기였으나, 중요한 장면에서 이 기술로 승리를 챙기면서 일종의 초필살기 취급을 받게 되었다. RKO가 씹히면 이 기술을 준비하는 상황이 자주 연출된다. 이 기술의 특징은 맞은 상대방을 앰뷸런스에 태워서 아주 보내버리는 것으로, 각본상 WWE의 최강기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2011년 선역 전환 이후에는 시전율과 성공율이 전부 떨어졌는데, 뇌진탕 소송을 피하거나 PG에 반하는 머리 직접 타격이라 선역이랑 안 맞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악역 포스가 절정에 달했던 2009년엔 빈스 맥맨에게 펀트 킥을 시전하는데, 빈스가 직접 리얼리티를 위해서 진짜 세게 차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충격으로 인해 머리가 반동으로 흔들리는 게 적나라하게 보이며 이후 빈스 맥마흔은 가벼운 뇌진탕 증세를 보였다고 한다.

이 기술을 맞게 되면 각본상 해고되든지, 장기결장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기술을 맞고 한동안 WWE 내에서 쉬게 된 인물로는 랍 밴 댐, 숀 마이클스, 트리플 H, 테드 디비아시 쥬니어, 데이브 바티스타, 크리스 제리코 등이 있다. 반면 존 시나는 이 기술을 맞고 3카운트는 내줬으나 30초만에 주섬주섬 일어나는 장면을 연출한 바 있다. 트리플 H도 이 기술을 맞고 뻗기는 뻗었으나 흐물흐물 일어나는 장면이 있었고, 코디 로즈도 이 기술을 맞고도 다음 날부터 쇼에 나왔다.

랍 밴 댐은 이 기술을 "파일 드라이버보다 접수하기 어려운 기술이었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본래 래리어트 같은 순수 타격기 기술이 접수가 까다롭다. 게다가 이 기술은 위험성 때문에 격투기에서도 금지된 사커 킥이다.

한동안은 PG등급에 맞게 성공률이 거의 0%에 수렴하는 기술이었지만[7] 2020년 랜디오턴이 다시 레전드 킬러 기믹으로 활동하게 되면서 RKO만큼이나 펀트킥으로 경기를 끝내는 모습이 많이 나오기 시작했다. 주로 RKO시전 하려고 팔로 바닥을 두드리다가 생각이 바뀌어 코너 턴버클 쪽으로 뒷걸음질해 기대는 식으로 시전준비한다.


[1] 가끔 3단 로프, 그러니까 탑로프에 걸쳐놓고 시전하기도 하며, 링 장외에서는 링 에이프런이나 아나운서 테이블 등에 걸쳐놓고 사용하기도 한다.[2] 오턴이 올림픽 슬램을 사용한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커트 앵글이 커터를 사용한 적도 있다(...)[3] RAW가 생방이라 편집도 안 되는 상황에서 이런 삑사리가 나온 건데 랜디는 그대로 다시 달려가 RKO를 시전하는 데 성공한다. 그런데 이 때는 접수해야 하는 크리스 제리코도 뭔가 불안했는지 기술을 맞아주기 전에 이미 월스 오브 제리코를 풀어주고 있었다.[4] 서로 합을 맞춰야하는 프로레슬링 특성상 온전히 오턴의 잘못만으로 보기는 힘들고, 제리코 또한 접수를 못해준 부분도 있다. 단지 시전자인 오턴의 책임이 더 클 뿐.[5] 페뷸러스 물라, 스테이시 키블러, 트리쉬 스트래터스, 스테파니 맥마흔, 나이아 잭스, 베스 피닉스, 알렉사 블리스 등이 랜디 오턴의 RKO에 맞았다.[6] 미식축구의 킥 기술 중 하나인 '펀트 킥'에서 따온 기술인데, 미식축구 관련 인지도가 전무한 우리나라에선 그냥 '사커 킥'으로 통한다.[7] 랜디가 슬슬 잡을 해줄 때 부터, RKO를 맞고도 핀에서 벗어난 상대에게 펀트 킥을 시전하려다가 반격을 당해 패하는게 주된 패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