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2 07:33:28

랜디 올랜도

란디 올란도에서 넘어옴
파일:rBNBMU8.png크로스벨 경찰
특무지원과
파일:セルゲイちびきゃら.jpg
과장
세르게이 로우
파일:ロイドちびきゃら.jpg파일:エリちびきゃら.jpg
리더
로이드
배닝스
리더 보좌
엘리
맥도웰
파일:ティオちびきゃら.jpg파일:ランディちびきゃら.jpg
정규 멤버
티오
플래토
정규 멤버
랜디
올랜도
파일:ワジちびきゃら.jpg파일:ノエルちびきゃら.jpg
준 멤버
와지
헤미스피어
준 멤버
노엘 시커
파일:チャイトちびきゃら.jpg
경찰견
차이트
파일:pic_randy0.jpg
제로의 궤적 Evolution 일러스트
프로필
이름 ランディ・オルランド
Randy Orlando
랜디 올랜도[1]
ランドルフ・オルランド
Randolph Orlando
랜돌프 올랜도[2]
사용 무기 도력 할버드
블레이드 라이플 베르제르가
출생년도 칠요력 1183년
출신지 불명
가족관계 발데르 올랜도(아버지)
시그문트 올랜도(숙부)
셜리 올랜도(사촌동생)
미레이유(연인)
나이 21세(제로, 벽)
23세(섬3, 4)
24세(시작)
185cm
소속 크로스벨 경비대 중사
크로스벨 경찰 특무지원과
토르즈 사관학교 제2분교 8반 전술과 담임 교관 (섬3, 4)
【스포일러】
붉은 성좌 부대장 《붉은 사신》
성우 미키 신이치로/조나 스캇(북미판)
1. 개요2. 설명
2.1. 애칭(별명) 붙이기
3. 작중 행적4. 전투력5. 게임 내 성능6. 기타

[clearfix]

1. 개요

궤적 시리즈 등장인물. 출신지는 불명.

2. 설명

본작의 메인 멤버 4인방 중 한 명으로, 크로스벨 경찰 특무지원과의 전투력을 담당하고 있다. 붉은 머리가 특징으로, 작중에서도 자주 '거기 붉은 머리' 같은 식으로 불리운다. 전작의 붉은 머리인 로리콘 다이브 때문인지 은근히 잘 어울리는 커플링 구조 때문인지 티오 플래토와 엮이는 거 아니냐는 이야기가 많았는데, 그런 건 전혀 없다. 오히려 랜디가 주인공에게 공략당한다

원래는 크로스벨 경비대 소속 중사(軍曹)였으나 여자 문제로 짤렸다고 스스로 언급한다. 그러나 외전 소설을 읽거나 게임을 하면서 진상을 알 수 있게 되는데, 여자 문제 때문에 퇴출된 것이 아니라 진짜 이유는 무능력한 사령관에게 반항적이었기 때문. 그러나 실력이 아까웠는지 경찰에서 스카웃한 케이스로,[3] 가벼운 성격이기는 하지만 올리비에 렌하임 같은 방탕아 수준은 아니고 일행 중 나이가 가장 많기 때문인지 나름대로 진지하고 성실한 맏형의 포지션 담당. 실제로 로이드 등 일행들이 형이나 오빠처럼 생각하고 있다는 언급이 종종 나온다. 스토리가 진행될수록 나이스 가이 모습을 많이 보여준다. 옛날에 썸이 있던 여성이 조종당하는 것을 보고 분노하여 HP EP CP가 가득 차는 이벤트가 나온다던가.

놀기 좋아하는 건 여전해서 카지노나 뒷골목으로 가면 아는 척하는 사람이 많다. 카지노는 나름대로 타고났는지 대박까지는 아니어도 그럭저럭 이득 챙기는 수준의 실력은 되는 듯 하다. 아르크 앙 시엘의 팬이기도 해서 방 곳곳에 일리야 플라티에 관련 포스터가 붙어있거나 책자가 놔뒹굴거나 한다. 그리고 누님 취향. 하지만 꼭 연상이 아니어도 어지간한 여자라면 적당히 다 찔러본다. 제로의 궤적부터 벽의 궤적까지를 통해 이벤트 등을 하다 보면 정말 등장하는 대부분의 미인형 여성 NPC들의 외모를 검증(?)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정작 곁에 있는 엘리나 티오에게는 그러지 않는 모습을 보면 선은 지키는 깔끔한 성격. 다만 자기가 호감을 가진 여자들이 죄다 로이드에게 관심을 가지는 걸 알고는 폭주하는 게 예삿일.[4]

파티 내에서의 담당은 주로 전투력 및 엘리와는 다른 방향의 뒷세계 정보 제공 담당. 그 외에도 아직 어린 감이 있는 다른 멤버들이 지나치게 긴장한 경우 농담 등으로 긴장을 풀어주기도 한다. 그리고 언제나 나오는 대사 '그렇게 연결이 되는 거였군!'

무기는 스턴 할버드. 도력 쿼츠가 달려있어서 충격파를 날리는 일종의 제압용 무기. 크로스벨 경비대에서 도력 소총과 함께 제식으로 쓰는 무기이며 퇴직할 때 갖고 나온 듯. 에니그마 커버는 '데인저 오렌지'. 정말 랜디다운 디자인이다. 스트랩은 열쇠를 엮은 벨트와 피닉스 문장의 오일 라이터. 중국판에선 이 라이터를 특전으로 주기도 했다.

성공률이 높은 요리는 굽거나 찌는 게 주가 되는 요리. 대응되는 요리도 많고, 특히 CP가 차는 유용한 요리가 많기 때문에 평범하게 플레이하다 보면 어느새 파티의 요리 담당이다.어서와 엽병 짬밥은 처음이지?

여담으로 담당 성우인 미키 신이치로의 연기력은 이미 정평이 나 있어 랜디의 목소리 또한 상당히 몰입감 있게 다가오는데, 메인 스토리가 풀보이스인 Evolution판에선 목소리를 죽이거나 독백을 하는 상황에서 연기한 작은 목소리가 배경음에 묻혀버려서 음성이 잘 안들리는 난 점이 있다.

2.1. 애칭(별명) 붙이기

파일:Randy Orlando - Nickname.png
벽의 궤적 (Evolution) 인터미션에서

친하게 지내는 사람에겐 애칭 또는 별명을 만들어 본명 대신 부르는 습관이 있다. 남성보단 여성에게, 연장자보단 연하에게 붙이는 경향이 강하다. 작중 랜디가 이름 대신 부르는 호칭은 아래와 같으며, 그 대부분이 일본에서 애칭을 지어 부르는 방식과 동일하다.
  • 엘리 맥도웰 - 아가씨(お嬢): 엘리 본인은 첫 만남으로부터 한동안 자신의 집안 배경을 대놓고 밝히진 않았지만, 몸에서 배어나오는 기품을 감지한 랜디가 제로의 궤적 서장 때 부터 "왠지 모르게"라며 부르기 시작했다. 여담으로, 다른 인물들을 부르는 호칭은 이름을 응용한 애칭에 해당되지만 엘리는 본명이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은 별명에 해당한다. 랜디가 엘리를 이름으로 부르는 장면은 제로의 궤적 서장에서 처음 만나 지오프론트 A 구역 수색에 앞서 서로 인사를 나눌 때 건넨 "잘 부탁해. 로이드, 엘리"라는 대사가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 티오 플래토 - 티오스케(ティオすけ): 스케(すけ、助)라는 말은 남자의 이름에 자주 쓰이고, 접미사로 다른 말에 붙여 인명(人名)처럼 쓰인다. 1:1로 번역이 가능한 우리말은 없으나, -꾸러기, -쟁이(장이), -돌이, -순이 등이 적절하다. 비공식 한글패치 판에선 "티돌이"로 번역했으나, 티오의 성별을 생각하면 전술한 번역 예시 중 가장 부적절한 단어를 선택했다고 할 수 있다.[5] 아즈망가 대왕에서 담임 선생인 타니자키 유카리가 제자 미하마 치요를 부를 때 가끔 사용하는 별명과 모음이 비슷하다. 정식 한국어판에서는 티식이로 번역했다.
  • 키아 - 키이보오(キィ坊): 보오(ぼう、坊) 또한 관용적으로 남자아이를 귀엽게 부르는 애칭으로 쓰이나, 옛날(에도 시대)엔 남녀 관계 없이 아이에 대한 애칭으로 쓰였다. 이에 대응하는 우리말로는 -꼬마, -아가(애기), -아(가)씨 등이 있다. 잡지에선 "키도령"이라고 번역했는데, 이 또한 키아의 성별을 고려한다면 적절치 못한 번역이다. 정식 한국어판에선 별다른 애칭을 붙이지 않고 로 번역했다.
  • 유나 크로포드 - 유우보오(ユウ坊): 상기 키아와 같은 유형이다. 따라서 정식 한국어판에선 키아와 마찬가지로 로 번역했다.
  • 쉴리 아트레이드 - 슈리조오(シュリぞう) : 조오(ぞう、僧)는 단독으로 쓰면 한자 그대로 스님이라는 의미이나, 철없거나 개구쟁이인 남자아이를 小僧(코조오, 애송이)라고 부르는 등 애칭이나 별명으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 이는 상기 "보오(坊)"와 비슷하게 번역할 수 있다. 다만, 랜디와 쉴리는 작중 접점이 거의 없다시피 해서 쉴리를 이렇게 부르는 건 영웅전설 벽의 궤적에서 레이크 비치에 들어가기 전에 로이드 앞에서 여성진들의 수영복 차림을 기대하는 대사 정도에서만 볼 수 있다. 정식 한국어판에선 쉴리 군으로 번역했다.
  • 알티나 오라이온 - 아르키치(アルきち): 키치(きち)는 사전적으론 ~에 집착하는 사람, 즉 -광(독서광 등)이라는 용법이 먼저 나오나 이는 뉘앙스 상 멸칭의 성격이 강하다. 애칭으로 쓰이는 "키치"는 길할 "길(吉)"이라는 한자를 쓴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개구리 캐릭터인 뿅키치(ぴょん吉)[6]가 있다. 정식 한국어판에서는 알식이로 번역했다(...)
  • 요나 세이크리드 - 요나코오(ヨナ公): 공(公)은 우리말에서도 상대를 높이는 대명사로 쓰이며, 일본에서도 대신 등 귀족을 칭하는 대명사로 쓰이기도 했다. 지금은 본연의 용법은 많이 사라지고 상대방에 대한 존칭, 애칭, 멸칭 등 다양한 형태로 쓰이고 있다. 도력 네트워크에 빠져 사는 요나의 특성을 고려하면 요나"님(아)"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다만 작중 랜디가 요나를 부를 땐 이 별명보다 "(그 (버릇없는)) 꼬맹이"같은 식으로 부르는 경우가 훨씬 많아서, 별명으로 부르는 대사는 매우 찾아보기 어렵다. 정식 한국어판에서는 요나 공으로 번역했다.
  • 마키아스 레그니츠 - 맛키(マッキー): 별다른 의미는 없고 이름 중 일부를 ーい(이) 모음으로 발음하는 일본식 애칭으로 부른다. 랜디 본인도 남자에겐 웬만해선 별명을 붙이진 않는데, 어째 이름으로만 부르는 것도 좀 아닌 것 같아서(...) 그렇게 부르게 됐다고. 정식 한국어판에서는 거의 그대로인 마키로 번역했다.
  • 토와 허셜 - 토와쨩(トワちゃん): 평범하다면 평범한(?) 호칭. 다만 토와 본인은 (어린 애도 아니고) 쨩 붙이는건 그만해달라고는 하지만...

재미있는 점은 당사자들은 랜디가 붙여준 애칭이나 별명을 별다른 거리낌 없이 받아들인다는 점이다. 그나마 거부 반응이 가장 심했던 케이스를 들자면 뒤바리의 질색하는 반응이나 마키아스가 "그렇게 부르지 마세요"라고 사양했던 정도. 이마저도 랜디는 "쩨쩨하게 굴지 말라"며 계속해서 애칭으로 상대를 부르며, 상대도 자포자기한 듯 받아들는 등 부정적이거나 거부 반응이 있더라도 그리 오래 가진 않는다.

또, 전술한 내용대로라면 애칭이나 별명을 붙여도 충분히 어색하지 않은 관계지만, 자신이 소속한 특무지원과의 리더인 로이드 배닝스와, 그간 보여준 행적으로 미루어 사실상 연인 관계가 다름 없는 미레이유, 그리고 여러 가지 이유로 의도치 않게 쌓여있던 마음의 벽을 허물고 동료로 거듭난 린 슈바르처는 딱히 애칭이나 별명을 지어 부르진 않고 이름 그대로 부른다.[7]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랜디 올랜도/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전투력

무력적인 측면에선 아직 햇병아리 수준이라고 할 수 있는 특무지원과에서 전투력 부분을 맡고 있는 만큼, 설정에서부터 타 멤버들보다 몇 수 위의 전투력을 가지고 있다. 아리오스나 지그문트 등 초월적 강자들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지라도 다른 멤버들과는 확연히 차이가 있는 수준. 그 예로 제로의 궤적 초중반의 인과의 대결에서 자신들과 싸우고 있는 인이 본체가 아니라 분신이라는 것을 유일하게 알아낸 인물이다. 벽의 궤적에서 최강의 엽병단이라 불리우는 붉은 성좌와의 전투 이벤트를 보면 공백 기간 때문에 실력이 전보다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혼자서 무쌍을 찍는 장면을 볼 수 있다. 게다가 랜디는 비단 대인전 전투 뿐만 아니라 전술적 능력도 있으며, 붉은 성좌의 단장 대리이자 S급 강자인 지그문트가 랜디를 새로운 투신의 자리에 오르게 하려는 등, 작중 언급된 재능은 S급 이상으로 언급된다.[8][9]

하지만 벽의 궤적 시점에선 실력이 전장에서 살던 예전만 못해졌다는 기믹과 함께, 리즈 시절 사용했던 전용 무기를 정신적인 문제로 다루지 못하게 되었다는 철저한 핸디캡을 지고 있어서, 타 멤버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함께 육성당하는 굴욕(?)을 맛보고 있다. [10] 이렇듯 여러 사정 때문에 자신의 사촌동생인 셜리 올랜도 같은 달인급을 상대로는 한 수 뒤쳐지는 걸로 묘사된다. 대략 전작의 애거트 크로스너 같은 포지션이라 보면 될 듯.

벽궤 시점에서 정식으로 특무지원과에 합류하는 와지나 조력자로서 협력하는 리샤를 제외하면 초기 멤버 4인 중에서는 전투력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섬의 궤적 2 외전에서 제국의 크로스벨 점령 후 특무지원과 멤버 중에 가장 먼저 감시가 붙은 게 바로 랜디였고,[11] 섬의 궤적 3에서 제2분교의 임시 교관이 된 것도 제국이 랜디의 뛰어난 전투력을 이용하려는 목적이었다. 3 작중에서 셜리가 제국의 젊은 영웅으로 유명한 잿빛 기사와 랜디를 비교하면서 어느 쪽이 더 강하냐고 궁금해하면서 신기합일을 뺀 린과 베르제르가가 없는 랜디의 실력이 비슷하다는 것을 암시했고, 3장에서 오렐리아와의 기신전에서 오렐리아가 린과 랜디 두 명을 두고 그 나이에 그 정도의 실력이니 향후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평가한 것을 보면 섬3~4 시점의 랜디는 달인급의 무력을 가지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리즈 시절 전투력에 대해서는 자세한 언급은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작중 언급과 랜디의 성장 과정을 보면 투신의 아들답게 최소 달인급 전투력을 지녔을 거라고 추측된다. 애초에 붉은 성좌의 부대장으로 뛰어난 활약을 펼쳐 붉은 사신이란 이명이 붙은 것만 봐도 수준급의 강자였다는 소리가 된다.[12] 서풍의 여단에서 엽병왕을 제외한 단원 중에서 최강의 연대장이었다는 레오니다스나 제노가 달인급의 무력을 가졌는데 랜디의 위치와 주변 언급을 생각하면 랜디의 전성기 실력은 못해도 저 둘과 최소 동격 이상이다. 근데 벽궤 종장에서 옛 동료 잭스한테 엽병 시절보다 강하다고 한소리 듣는 게 함정(...)[13]

다만 아쉽게도 가진 재능만큼 성장하긴 힘들어 보이는데, 엽병단 대장 시절의 랜돌프를 지우고 특무지원과 멤버 랜디로서의 길을 선택했기에 재능에 비해서 성장 속도가 크게 느릴 수 밖에 없다. 미성년자의 나이에 진작에 달인급 이상의 무력을 지녔고 작품 내에서 간지나는 캐릭터로 인기많은 캐릭터가 재능을 꽃피우지 못한것에 대해 아쉬워 하는 팬들이 많다. 밀레이유와의 관계도 있고, 이제는 그냥 행복하라는게 팬들의 반응.[14]

5. 게임 내 성능

5.1. 제로의 궤적~벽의 궤적

파일:pic_randy s.jpg
S크래프트 시전 컷인
오브먼트 라인 3 - 2 - 1스테이터스HPEPSTRDEFATSADFSPDDEXAGLMOV
슬롯 속성제한 (火) - O - 火 - O - O - O - O SDSSDEEFD5
힘 쓰는 건 나한테 맡겨달라고!
제로의 궤적에선 특무지원과의 든든한 물리 어택커. 주무기인 스턴 할버드의 리치가 2인 것만 빼면 전작의 애거트 크로스너와 굉장히 유사한 성능. 스피드가 조금 낮지만 공격력이 높고 리치도 괜찮은 편에다 크래프트도 하나같이 매우 우수해 초, 중반부는 그야말로 진 랜디무쌍. 각종 상태이상 및 AT 딜레이 내성을 가진 몹이 판을 치는 후반부도 워 크라이 등으로 빠르게 CP를 회복하고 똥파워 콤비 크래프트를 치는 식으로 운용이 가능한 물공 최강캐. 특히 로이드와의 콤비 크래프트 '버닝 레이지'는 게임 내 최고의 데미지를 자랑한다. HP, DEF가 전 캐릭터 중 최강이고 STR도 높다. 그에 비해 ATS, ADF, SPD, DEX는 절망적. 명중 쿼츠를 꼭 껴서 명중률 보정을 하도록 하자.[15] AGL은 쿼츠로 보정해주면 적당히 쓸 만한 수준.

쿼츠 라인도 애거트와 비슷한 화속성 4, 3, 2 라인[16]으로, 제로의 궤적 최고의 깡뎀 아츠 크림슨레이[17]가 화속성 12이기 때문에 단발로 EP가 바닥나긴 하지만[18] 여차하면 아츠로도 충분히 뎀딜이 가능하다. 능력치 자체가 물리형이기 때문에 다른 건 제끼고 능력치 용으로 쿼츠를 배분하되 크림슨레이만은 만들어 놓는 것을 추천.

그러나 안타깝게도 벽의 궤적에서는 대폭 너프. 본작은 전작에서 맹위를 떨쳤던 크래프트의 상태이상, AT 딜레이, 콤비 크래프트를 전체적으로 약화시켰는데, 랜디는 저 셋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기에 상대적으로 엄청난 타격을 받았다. 특히 주력기였던 파워 스매시와 크래쉬 봄(1)이 거의 잉여가 되어버린 게 가장 큰 문제. 전작 최고 물리 캐릭터의 명성은 워 크라이 2+베르제르가로 막강한 화력을 뽑아낼 수 있는 종장쯤이나 되어야 구경할 수 있다. 그러나 설정은 어딜 가지 않아서 종장쯤 되거나, 회차 플레이를 거쳐 최상위 레벨이 될 경우, 여타 멤버들을 압도하는 스텟을 보여준다. 상대적으로 물리 공격이 약해진 벽의 궤적에서도 충분히 물리 공격만으로도 먹고 살 수 있을 정도. 체력이 높아 홀로 살아남는 경우가 많고, 이런 전형적 물리 캐릭터답지 않게 턴 회복 속도도 빠르다. 거기에 최상급 쿼츠와 장비들로만 적절히 구성하면 일발 아츠 공격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ATS를 만들 수도 있다. 그저 다양한 아츠를 쓰기 어려울 뿐.

필드 액션은 엄청나게 긴 경직 시간과 리치를 자랑하지만 액션 전 딜레이가 길고 마수가 너무 가까운 경우 안 맞기도 한다는 게 단점. 워낙 경직 시간을 길게 주기에 숙련된다면 가장 쓰기 좋다. 하지만 이건 제로의 궤적때 이야기고 후속작인 벽의 궤적에서는 히트시 넉백을 엄청나게 주는 관계로 경직 후 뒤잡기가 힘들어져서 매우 쓰기 껄끄러워졌다.

두 시리즈 공통으로, HP 소모가 있고, 벽의 궤적에서는 강화될 경우 HP 70%를 날려버리는 등 분명 효율은 매우 높고 강력하지만 그만큼 케어가 필요한 게 단점으로, 영궤에서는 HP 소모가 크지 않기에 케어 필요가 적고 크래프트도 강하기에 진 랜디무쌍이지만 벽궤에서는 크래프트가 너프되고 랜디의 꽃 베르제르가도 종장에서야 습득하며, 아츠 시스템이 물리에 비해 매우 강해졌다.[19] 보통 절대방벽과 아츠 공격으로 딜, 보호를 할 수 있는 티오를 고정으로 넣고, 회피탱인 로이드를 넣은 후 남은 2자리를 자기 취향에 따라 넣는데 고려되는 정도. 분명 강력하긴 하다.
  • 크래프트 일람
    • 파워 스매시(パワースマッシュ)
      초기 습득, CP 20 소모, 소원 범위의 적을 공격하면서 AT 딜레이 효과를 준다. 범위가 좁은 게 흠이지만 맨 처음부터 쓸 수 있는 크래프트인 데다가 AT 딜레이가 달려있어 엄청난 고성능이다. 초중반 랜디가 강력한 이유 중 하나로 SPD가 조금은 따라줘야겠지만 초중반 보스나 퀘스트몹을 상대할 때도 대충 구석에 몰아넣고 이 기술만 남발하면 보스고 나발이고 턴도 주지 않고 그냥 끔살시킬 수 있다. AT 내성이 없는 몹에게는 그야말로 사형 선고나 다름없는 기술. 벽의 궤적에서는 AT 딜레이의 성능이 대폭 너프되어서 잉여기가 되어버렸다. 딜레이는 쥐꼬리만큼이고 랜디의 기술 후딜은 기니... 종장에서 파워 스매시 2로 강화되는데, 소비 CP가 40으로 무지막지하게 늘어났지만 범위가 중원으로 넓어지고 AT 성능도 강화되어서 성능만 따지면 대폭 상승. 하지만 종장에서 AT 딜레이를 쓰고 싶을 정도의 강적은 대부분 모든 상태이상과 능력 저하에 내성을 지니고 있어서 거의 쓸 일이 없고, 잡졸들을 상대로도 특유의 AT 딜레이 효과보단 다수의 적을 신속하게 쓰러트리는 용도로 쓰인다.
    • 살라만더(サラマンダー)
      Lv10 습득, CP 30 소모, 직선 범위의 적을 공격하면서 80% 확률로 '화상' 상태이상을 건다. 화상은 지속 대미지 계열 상태이상 중 가장 강력한 상태이상이기 때문에 이것도 쓸만하다. 벽의 궤적에서는 화상 확률이 40%로 저하. 종장에서 살라만더 2로 강화되며 소비 CP가 35로 늘어난 대신 화상 확률이 80%로 다시 돌아와있다. 입수 시기가 너무 늦어서 파워 스매시와 마찬가지로 쓸 일은 없지만.
    • 크래쉬 봄(クラッシュボム)
      Lv17 습득,CP 30 소모, 대원 지점범위의 적을 공격하면서 100% 확률로 '어둠' 상태이상을 건다. 전작의 티타 러셀의 스모크캐논에 버금가는 유용성(잉여 수준인 SC 빼고)을 가진 크래프트. 유용하다 못해 상황이 어렵거나 적이 너무 많으면 일단 이거부터 쓰고 시작하는 수준으로, 티오의 '차이트 소환'과 함께 게임 중반 밸런스 파괴의 주범이다. 상태이상인 '어둠'에 걸리면 명중률이 바보가 되어 적의 거의 모든 공격이 회피 + 반격 되기 때문에 시작하자마자 사용해주면 매우 수월하게 전투를 벌일 수 있다. 다만 상태이상 내성몹이 많이 나오는 후반에는 활용도가 떨어진다. 벽의 궤적에서는 당연히 너프되어서 어둠 상태이상 확률이 30%로 저하되었다. Lv62에서 크래쉬 봄 2로 강화되며 소비 CP가 35로 늘어난 대신 어둠 확률이 다시 100%. 전작에 비해 어둠 상태이상을 지니고 있는 적이 늘어서 밸런스를 파괴할 수준은 안 되지만 그럭저럭 유용하다.
    • 워 크라이(ウォークライ)
      Lv24 습득, 전작의 애거트를 잇는 CP회복 기술. 더들리의 CP를 30 자신의 HP를 30% 소모하면서 CP를 60 증가시킨다. 벽의 궤적에서는 Lv101에 워 크라이 2로 강화, HP를 70% 감소시키면서 CP를 150 증가시킨다. 애거트처럼 쓰고 바로 S브레이크를 쓸 수 있는 초고급 기술로HP 계산 안하고 사용하면 자살 행위인 것까지 똑같다 베르제르가의 위력과 조합되어 엄청난 화력을 선보인다. 후반의 워 크라이 2+베르제르가 콤보는 심플하면서 흠좀무한 위력을 보여주는 랜디의 초주력. 여기에 자신의 HP가 낮을수록 공격력을 증가시키는 마스터 쿼츠 슈발리에까지 더해지면...
      제로의 궤적에서 설명에 따르면 전장에서 엽병이 발산하는 특유의 기라는 설명인데, 그래서인지 벽의 궤적에서는 적으로 등장하는 붉은 성좌 잡병들도 이걸 막 써댄다. 성능이 완전히 동일한데, S크래프트가 없는 잡병들이 써봤자 별 의미도 없고 자기 HP만 깎아서 스스로를 학대하는 개그기. 가끔은 이거 쓰고 진짜 죽기도 한다! 랜디도 체력이 모자라면 쓰자마자 죽는다 개그 소재로 쓰이던 애거트와 랜디의 자살을 자기 패러디한 것이 아닌가 생각될 정도. 반면 지그문트 올랜도는 고유 버전인 오거 크라이를 쓰는데, 아무런 페널티 없이 CP 150 증가시키는 성능을 지닌 것도 모자라 1차전에선 STR 50% 업, 2차전에선 크래프트 방어 1회[20]도 덤으로 걸어주는 사기적인 기술로 이 뒤에는 반드시 S크래프트가 날아오니 제로 필드나 아다마스 가드를 꼭 걸어주도록.
    • 데스 스톰(デスストーム)
      Lv33 습득, CP 30 소모, 직선 지점 범위의 적을 공격하면서 60% 확률로 즉사시킨다. 범위, 확률, 데미지 모두 뛰어난 후반부의 주력 크래프트. 후반부에는 투혼 벨트를 끼고 평타 대신 이걸 남발하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벽의 궤적에서는 즉사 확률 20%로 저하. 하지만 즉사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위력과 범위가 좋고 처음부터 쓸 수 있기 때문에 제로의 궤적 이상으로 활용하기 좋다. Lv80에 데스 스톰 2로 강화되며 CP 소비가 40으로 늘어나고 즉사 확률이 60%가 된다. 물론 여전한 고성능기.
  • S크래프트 일람
    • 크림슨 게일(クリムゾンゲイル)
      초기 습득, 중원 범위의 적을 공격하면서 100% 화상 상태이상을 건다. 화속성이 붙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주의할 것. 여담으로 모 은발의 남자의 S크래프트와 모션이 비슷하다. 벽의 궤적에서는 종장 가입시 크림슨 게일 2로 강화되어서 나오는데, 성능면에서는 데미지가 조금 상승할 뿐 범위도 중원 그대로임에도 불구하고 왠지 모르게 데스 스콜피온이 먼저 강화되는(...) 데다가 이때부터는 베르제르가를 쓸 수 있기 때문에 전혀 쓸 일이 없다. 본작 최고의 공기. 일부러 의식하고 써보지 않는다면 존재 자체를 잊고 있다가 2회차에서나 심심해서 써볼 기술.
      ""이건 어떠신가? 하아아아... 크림슨 게일!!(こいつはどうだい? はあああ…クリムゾンゲイル!!)"
    • 데스 스콜피온(デススコルピオン)
      Lv35 습득, 대원 범위의 적을 공격한다. 왠지 즉사 효과가 붙어있을 듯한 기술명과 비주얼과는 달리 아무런 부가 효과가 없지만 데미지와 범위 모두 탁월해서 결국은 쓰게 된다. 벽의 궤적에서 Lv74에 데스 스콜피온 2로 강화. 본작에서는 콤비 크래프트가 제로 시절에 비해 약화된 데다가 버닝 레이지 1, 2는 범위가 중원이라 상당히 불편하기 때문에 쓸 기회가 그닥 없다. 쓸 때 붉은 성좌의 상징인 전갈이 나온다.
      "붉은 밤의 사신이여...전장을 달려...강적들을 꿰뚫어라...데스 스콜피온!!(赤き夜の死神よ…戦場(いくさば)を駆け…兵(つわもの)どもを貫け…デススコルピオン!!)"
    • 베르제르가(ベルゼルガー)
      종장에서 습득, 벽의 궤적에 새로 추가된 S크래프트. 크고 아름다운 블레이드 라이플인 베르제르가로 적들을 향해 달리면서 강력한 화력의 라이플을 난사 후 칼날을 꺼내 순간적으로 여러 번 베어버린다. 데스 스콜피온의 원형이라는 설명에 맞게 아무런 효과가 붙어 있지 않다는 것도 같지만 범위도 조금 더 넓고[21] 위력이 더 높아 베르제르가의 습득 후부터는 데스 스콜피온은 완전히 버려진다. 워 크라이 2와 같이 쓰면 바로 발동할 수 있기에 사용 빈도도 높다. 워 크라이 2 + 베르제르가 콤보는 심플하면서도 화력이 무지막지하기에 후반 주력 중 주력으로 종장에서 랜디를 쓴다면 가장 많이 난사하게 될 필살기 중 하나이다. 단점이라면 이벤트 습득기이기 때문에 주차 계승이 불가능하다는 점 정도.
      여담으로 궤적 시리즈에서 나온 기술 중 가장 인기가 많은 기술이다. 궤적 시리즈 10주년 기념 인기투표에서 팔엽일도류의 질풍, 앨런 리샤르의 앵화잔월 등의 쟁쟁한 후보들을 모두 제끼고 '가장 좋아하는 크래프트 및 S크래프트' 전체 1위를 차지했다.시전 영상 링크. 벽의 궤적을 하다 보면 이 S크래프트가 처음 나올 때 랜디의 모습이 워낙 간지폭풍이라서 인상 깊게 보인 듯 하다.
      "자 그럼, 시작하도록 할까. 우오오오오오! 먹어라, 베르제르가!! 미안하군, 극락왕생하길.(さて, 始めるとするか… うおおおおおおおっ! 食らえ! ベルゼルガー!!! …悪いな、往生しろよ.)"
  • 콤비 크래프트
    • 버닝 레이지(バーニングレイジ)
      제로의 궤적 3장에서 자동으로 얻는 로이드와의 콤비 크래프트. 종장에서 인연이벤트를 볼 경우 버닝 레이지 2로 강화된다. 범위는 중원이지만 미칠 듯한 위력을 자랑하는 치트성 크래프트. 동레벨 타 콤비 크래프트의 2배에 가까운 깡대미지를 뽑았었다. 사실상 후반 보스전의 주력으로 크리티컬이라도 뜨는 날에는 데미지가 10000(...)이 넘어가는 진풍경을 보게 된다. [22]보통 주차 플레이시 여캐들을 먼저 공략하고 자연스레(...) 랜디를 가장 마지막에 고르게 되는데, 사실 가장 처음에 공략해두는 게 주차 공략에는 제일 편하다. 벽의 궤적에서 종장 유대 이벤트 후 한 번 더 강화, 버닝 레이지 3가 되고 범위가 대원으로 바뀌기 때문에 매우 쓰기 편해진다. 하지만 위력 보정이 평균 수준으로 대폭 약화되어버렸다. 물론 랜디가 물리쪽으로 절륜하긴 해서 데미지는 다른 캐릭터들에 비해 잘 뽑히지만 랜디는 굳이 콤비 크래프트를 쓸 필요 없이 단독 S크래프트로도 데미지를 충분히 뽑아내기 때문에 랜디는 워 크라이-보너스 턴 맞춰 S브레이크 쪽을 주력으로 삼고 랜디를 제외한 다른 캐릭터들의 콤비 크래프트를 활용하는 게 CP 효율 면에서 유리하다.
    • 라이엇 스타(ライアットスター)
      4장에 얻는 엘리와의 콤비 크래프트.
    • 하켄 스톰(ハーケンストーム)
      4장에 얻는 티오와의 콤비 크래프트.
    • 하울링 레이드(ハウリングレイド)
      벽의 궤적에서 추가된 노엘 시커와의 콤비 크래프트.
    • 라스트 리벨리언(ラストリベリオン)
      벽의 궤적에서 추가된 와지 헤미스피어와의 콤비 크래프트. 레벨을 올려서 물리로 때리면 되는 기술이다
  • 서포트 크래프트
    • 번 디바이드(バーンディバイド) : 2장·노엘 가입시에 자동 습득.
    • 파이어 드레이크(ファイアドレイク) : 벽의 궤적에서 추가.

5.2. 섬의 궤적Ⅳ

파일:Randy_Orlando_S-Craft_Sen_IV.png
S크래프트 시전 컷인
오브먼트 라인 3 - 3 - 1
슬롯 속성제한 火 - O - 時 - O - 火 - O - O
공격 속성
B B - SS

3편에서 조연NPC로만 나오고 전투에서 활약을 못했던 굴욕을 갚아주려는듯 특무지원과 멤버 중 유일한 준레귤러 멤버로 사용할 수 있다. 메인 마스터쿼츠를 제외한 모든 쿼츠 및 장비세팅이 가능하며 오랜기간동안 파티에 참가할 수 있는 멤버다.[23] HP, STR, DEF 모두 최상위급이며 크래프트도 뛰어난 훌륭한 게스트. 특히 1장 초반부터 본게임 전체를 통틀어봐도 얼마 없는 4S+ S크래프트를 강화나 레벨업 없이 처음부터 사용 가능하다! 메인 마스터 쿼츠는 레굴루스로 S크래프트의 경직시간을 줄여주는 효과가 붙어있다. 공식으로 인증된 S크래프트 난사요원 되시겠다. 후반에도 서브 마스터쿼츠 듀나미스[24] + 워 크라이 + 베르제르가 콤보로 신구7반과 비교해도 전혀 꿀리지 않는다.
  • 크래프트 일람
    • 데스 스톰(デスストーム) CP 소모 40.공격 위력 B. 브레이크 A. 붕괴 +5%. 직선M(지점지정). 즉사 20%
      영, 벽궤처럼 시전 후 이동하기 때문에 전술적으로 활용하기 좋다. 높은 브레이크와 즉사는 잡몹전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인다.
    • 크림존 게일(クリムゾンゲイル) CP 소모 60, 공격 위력 A+. 브레이크 C. 붕괴 +20%. 원L(지점지정). 화상50%
      애거트 크로스너의 '다이너스트 게일'처럼 제로/벽궤 당시 S크래프트였던 기술이 일반 크래프트가 되어 있다. 전투력의 성장을 짐작할 수 있는 부분. 넓은 범위와 약하지 않은 위력, 적절한 CP로 다재다능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워 크라이(ウォークライ) CP 소모 0. 보조 자기 HP-30%. CP+80
      1장에서부터 사용할 수 있는 심플한 CP 수급 크래프트인지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P 수급기들에 비해 스탯업은 없으나 체력 비용이 적은것이 차이점.자살부담이 적어졌다
  • S크래프트 일람
    • 베르제르가(ベルゼルガー) 위력 4S+, 브레이크 C, 전체. 시전 영상
      랜디의 상징. 심플한 성능이지만 극초반부터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S크래프트라 자주 난사하게 될 것이다. 4S+면 최강자 라인 바로 아래로 캐릭터가 대거 참전한 가운데 그 소유자가 랜디를 포함하여 6명[25]정도밖에 없다. 랜디의 무력을 짐작할 수 있는 부분.
      여담으로 섬의 궤적 IV에 추가된 S크래프트들은 연출이 심심하다는 평이 은근히 있는데 이 베르제르가는 10주년 크래프트 인기투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화려하고 멋진 연출을 보여줬다.
  • 브레이브 오더
    • 라우드 워리어(ラウドウォリアー) BP 소모 2. 공격(4카운트/데미지 20% 상승) 1턴간 STR↑(대)
      용도가 대놓고 각 캐릭마다 한번씩 강력한 물리공격을 하라고 주어진 오더. 오더가 전체적으로 빈약한 1장 초반때 보스들을 상대로 S크래프트를 날리기전 사용하면 큰 도움이 되지만 이후엔 맹공진 홍련, 노블레스 아크, 아발론 하츠 등 다른 데미지 상승 오더들에 밀린다.

5.3. 시작의 궤적

파일:Randy_Orlando_S_Craft_Hajimari.png
S크래프트 시전 컷인
오브먼트 라인 3 - 3 - 1 공격 속성
슬롯 속성제한 火 - O - 時 - O - 火 - O - O B B - SS
오랜만에 특무지원과의 물리 딜러로써 활약 가능하다. 정식 플레이어블이 됨에 따라 마스터 쿼츠도 자유롭게 교체 가능한데, 기본적으로 장착한 마스터 쿼츠 '레굴루스'와의 궁합이 워낙 좋다보니 굳이 다른 마스터 쿼츠를 찾을 필요는 없다. 서브 마스터 쿼츠는 슈발리에, 브레이브 등을 추천.
  • 크래프트 일람
    • 데스 스톰(デスストーム) → 데스 스톰 II(デスストームII) : 135레벨 강화. CP 소모 40. 공격 위력 B→B+. 브레이크 A. 무너짐 D+. 직선M(지점지정). 즉사 20→30%
    • 크림슨 게일(クリムゾンゲイル) → 크림슨 게일 II(クリムゾンゲイルII):초기 습득 → 176레벨 강화. CP 소모 60, 공격 위력 A+→S. 브레이크 C. 무너짐 B. 원L→L+(지점지정). 화상 60→80%
    • 워 크라이(ウォークライ) → 워 크라이 II(ウォークライII) : 139레벨 강화. CP 소모 0. 보조 자기 HP-30%. CP+80→100
      2로 강화되면 CP가 100이 충전되므로 바로 S크래프트와 연계가 가능하다. 애거트의 버팔로 레이지나 가이우스의 진 황금후와는 달리 능력치 버프는 없지만 이 CP충전량 덕분에 사용 편의성이 압도적으로 좋다.
    • 카니지 레이드(カルネージレイド) → 카니지 레이드𝓍(カルネージレイドχ) : 레벨 127에 습득 → 레벨 201에 강화, CP 소모 90. 공격 위력 S+→SS 브레이크 C 무너짐 B 원 S(지점지정), 필살 30→35%, 4턴간 랜덤 능력치↓(대)
      시작의 궤적에서 새로 추가된 크래프트. 일반 크래프트주제에 위력도 SS고 필살 확률도 붙어있어 크리도 잘 터지기에 아주 절륜하다. 범위가 좁아 잡몹전에 쓰는 것은 낭비. 다만, 랜디의 경우 상술했 듯 자가 CP 수급기인 워 크라이가 강화되면 바로 CP 100을 채워주어서 S크래프트 베르제르거를 시전 가능하기에 그 의미가 퇴색되는 크래프트. 의의라면, 성능 외적으로 랜디가 S크래프트 외에도 베르제르거를 사용한다는 데 있는 정도.
  • S크래프트 일람
    • 베르제르거(ベルゼルガー) → 베르제르거 신 : 위력 4S+→5S, 브레이크 C, 전체, 무너짐 무효.
      시련의 문을 통과 후 베르제르거 신으로 강화되면 위력이 5S로 증가하며 4턴간 DEF↓(중)이 추가된다.
  • 브레이브 오더
    • 라우드 워리어(ラウドウォリアー) : BP 소모 2. 공격(6카운트/주는 대미지+30%): 1턴간 STR↑(중)

6. 기타

크로스벨 경찰/특무지원과 초기 결성멤버 4명 중 유일하게 문서명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 인물이다. 나머지 인물들은 정식 한국어판 출시에 따라 아래와 같이 문서명이 수정된 경위를 가지고 있다.
구분 당초 문서명 수정 문서명
파일:ロイドちびきゃら.jpg로이드 바닝스 로이드 배닝스
파일:エリちびきゃら.jpg에리 맥도웰 엘리 맥도웰
파일:ティオちびきゃら.jpg티오 플래토 티오 플라토티오 플래토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이유는 전작 영웅전설 하늘의 궤적 시리즈와 후속작 영웅전설 섬의 궤적 시리즈와 달리 영웅전설 제로/벽의 궤적의 시리즈는 작품이 갓 출시 되었을 당시 정식 한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사이 PC판의 비공식 한글패치 팀이 번역한 고유명사나 번역기로 번역한 정보성 기사들은 각 인물의 로마자 표기나 어원을 고려하기 보단 일본어 표기나 발음을 따라가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 이름을 어떤 근거로 이렇게 번역/표기하는가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는 플레이어들은 비공식 매체가 번역한 작품을 통해 스토리와 설정을 접하면서 그 이름들에 익숙해졌고, 다음 시리즈에서 정식 번역명이 공개되기까지 수 년의 시간이 걸렸기에 나무위키 내 문서명도 후에 공개된 정발판 표기와 차이가 발생한 것이다.

그 와중에 나무위키 내에서의 랜디 올랜도의 문서명은 이후 출시된 정발판의 표기와 처음부터 일치하여 문서명이 수정 되는 일은 없었지만, 그에 앞서 비공식 번역들이 "란디 올랜도/올란도/올란드" 등으로 표기되어 오다 보니 팬들 사이에선 여전히 이름 표기가 통일되지 않고 있다.


[1] 랜돌프의 애칭으로, 제로의 궤적~벽의 궤적에선 이 이름으로 불렸다. 한글화 이전에는 란디로 읽는 사람이 종종 있었지만 섬의 궤적 2에서 랜디로 번역되었다. 섬의 궤적 4에서는 랜돌프가 아니라 랜디로 표기된다.[2] 랜디의 본명. 제로의 궤적 시절엔 이 이름이 스포일러였으나 섬의 궤적 3에선 아에 이 이름을 쓰고 있다.[3] 특무지원과 배치를 세르게이가 전달할 때 너 정도의 실력이면 수사1과라도 환영할 것이라 말한다.[4] 주요 대사로는 동생 지상주의, 동생 브루주아, 동생 귀족, 히에라르키 등.[5] 스케(助)라는 접미사가 남자이름에 많이 쓰이는 탓에, 원문의 뉘앙스를 "랜디가 일부러 성별에 안 맞게 부르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그렇게 번역한 것으로 추정된다.[6] 2010년대 중 후반에는 성우 야마자키 하루카의 별명으로도 잘 알려졌다.[7] 다만 이들 중 린은 처음 만났을 때엔 성씨인 '슈바르처'라 불렀으며, 칠요력 1206년 5월 13일 저녁 식사를 함께 하며 그간의 회포를 풀고 동료로 거듭나면서 린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린 역시 랜디를 당초 랜돌프라는 본명으로 부르다, 이 때를 기점으로 랜디라고 부르게 된다.[8] 그 예시로, 섬의 궤적 4에서 4S+수치의 S크래프트를 지닌 인물 중 하나다. 섬의 궤적 4는 전작 하늘의 궤적 시리즈, 제로/벽의 궤적 시리즈의 등장인물듯이 대거 참가한 작품으로, 여기서 4S+급 위력이란 최강자급 바로 아래의 S크래프트이며, 랜디를 포함해 6명 정도 밖에 가지고 있지 않다.[9] 시작의 궤적에서는 5S 수치의 S크래프트를 가지고 있는데, 작중에 5S+나 6S 수치의 S크래프트 보유자가 있어 빛이 바랠 수 있지만, 5S 수치의 S크래프트는 플레이어블 캐릭터 50명 중에 10명 밖에 가지고 있지 않다.[10] 물론 지원과가 위기에 빠진 상황에서는 본 실력을 꺼낼 늬앙스를 풍기나, 모두 아리오스나 다른 조력자들의 등장으로 실력을 꺼내진 않는다.[11] 벽궤 2장 후반 길리어스 오스본이 투신의 아들인 랜디에게 관심을 보인지라 그 랜디의 군사적 재능을 감안한다면 감시를 붙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12] 붉은 성좌의 라이벌인 서풍의 여단의 여단 중대 2개를 열세인 상황에서 박살내며 붉은 사신이란 명성을 뽐냈으니 플레이어가 육성하는 랜디와는 확실히 클래스가 다르다. 게다가 전투에 미치광이인 셜리가 그 시절 랜디가 정말 멋있었다고 할 정도면 전성기 랜디의 전투력에 대해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13] 아마 정신적인 발전을 말하려 한듯하다.[14] 결국 재능을 만개하기 위해선 밀레이유를 지키기 위함이 아니면 불가능하다는게 정설.[15] 전작들과 달리 회피가 잘 뜨고 카운터까지 생겨 DEX가 매우 중요하다.[16] 전작의 티타와 같으며, 애거트는 3, 3, 3이다.[17] 상대의 화속성내성 100% 기준으로 랜디가 써도 가볍게 2000 이상 뽑아준다.[18] 어차피 이놈은 EP 모셔놔봤자 쓸 데도 없다![19] 오죽하면 벽궤에서 너무 세다고 다음 작 섬궤1에서 아츠 시스템을 대폭 너프를 먹였을 정도.[20] STR 50% 업이 빠진 대신 이게 들어왔다.[21] 같은 대원인데 실제로 써보면 데스 스콜피온 2보다 조금 더 넓다(...).[22] 심지어 나이트메어 난이도에서도 레벨 50을 찍었다면 풀버프 받고 최종보스전에서도 이 데미지를 찍을 수 있다. 참고로 나이트메어 난이도에서 최종보스의 체력은 7만이 안 되는 수준이다.[23] 1장 초반까지 함께 하다 이탈하고, 이후 2장의 리브스 공략에서 재합류하여 최종막 메인 스토리 진행 전까지 계속 함께 한다.[24] 크래프트의 대미지에 비례해 HP 회복[25] 그 중 애쉬의 경우는 단일 지정 S크래프트며, 티타는 오벌기어를 이용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