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름 | ディクテオン Diktaean 딕테이언KRA | |
출생 | 2018년 3월 10일 ([age(2018-01-01)]세) | |
성별 | 수컷 → 거세 | |
털색 | 흑갈색 (黒鹿毛, 쿠로카게) | |
아비 | 킹 카메하메하 | |
어미 | 메데이아(メーデイア) | |
외조부 | 킹 헤일로 | |
생산자 | 오이와케 팜 | |
마주 | G1 레이싱 | |
조교사 | 후지와라 히데아키 (릿토) → 츠노다 테루야 (나고야) → 요시오카 타츠야 (릿토) → 아라야마 카츠노리 (오이) | |
성적 | 30전 10승 (10-1-3-16) 16전 4승중앙 13전 5승지방 1전 1승KR | |
총상금 | 3억 6284만 8700엔 1억 9666만 엔중앙 8136만 엔지방 8억 원KR | |
주요 우승 | Jpn2 | 우라와 기념(2023) 나고야 그랑프리(2023) |
G3/Jpn3 | 하쿠산대상전(2024)LR/Jpn3 | |
L | 브릴리언트 스테이크스(2023) | |
상세 정보 | |
1. 개요
일본의 경주마. 일본 중앙경마 소속으로 지방의 여러 중상경주에서 승리를 기록했고, 이후 오이 지방경마로 이적하여 활동하면서 코리아컵을 우승했다.2. 혈통
1대 | 2대 | 3대 |
<colbgcolor=#fff3e4,#331c00>킹 카메하메하 キングカメハメハ 2001 | <colbgcolor=#ffffe4,#323300>킹맘보 Kingmambo 1990 | 미스터 프로스펙터 Mr. Prospector |
미에스크 Miesque | ||
맨패스 Manfath 1991 | 라스트 타이쿤 Last Tycoon | |
파일럿 버드 Pilot Bird | ||
메데이아 メーデイア 2008 | 킹 헤일로 キングヘイロー 1995 | 댄싱 브레이브 Dancing Brave |
굿바이 헤일로 Goodbye Halo | ||
위치풀 씽킹 Witchful Thinking 1994 | 로드 에이비 Lord Avie | |
할로윈 조이 Halloween Joy | ||
* 노던 댄서 5×5×5 9.375% |
3. 생애
3세 때인 2021년 5월 1일, 한신 경마장에서 열린 3세 미승리전에 경주마로서는 꽤나 늦은 데뷔전을 가진다. 그러나 세 번의 미승리전에서 우승을 따 내지 못하며 지방경마의 나고야로 이적했다. 이적 직후 두 번의 레이스에서 모두 1착을 기록하며 중앙으로 복귀하였다.2022년 중앙경마 4세 이상 1승 클래스에 출전하며 두 번째 경주에서 1착을 기록한다. 이후 2승 클래스, 3승 클래스에서도 승리를 따낸다. 3승 클래스의 승리 직후 2023년의 첫 경주로 G2의 중상경주인 토카이 테레비배 토카이 스테이크스에 출전하지만 11착을 기록한다. 이어 두 번의 오픈 경주와 리스티드 경주에 출전하는데, 그중 브릴리언트 스테이크스(L)에서 우승을 한 것 이외에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2023년 11월 지방경마의 교류 중상인 Jpn2 우라와 기념에 출전하였는데, 반 마신 차 승리를 거두며 첫 중상 승리를 거둔다. 이어서 출전한 나고야 그랑프리(Jpn2)에서도 우승하며 성공적인 연말을 보낸다.
2024년 6세 시즌에는 1년 동안 여섯 번의 중상 경주에 출전했다. 제왕상(Jpn1)에서 3착을 기록하며 다음 레이스인 하쿠산대상전(Jpn3)에 1번 인기로 출주, 1착으로 세 번째 중상 우승을 기록한다.
3.1. 2025년
2025년 카와사키 기념 |
3.1.1. 코리아컵
2025년 코리아컵 |
일본 지방경마 소속 경주마가 해외 국제 그레이드 더트 경주에서 우승한 것은 역대 최초이며, 잔디 포함으로 범위를 넓히면 두 번째 기록으로 2006년 싱가포르항공 인터내셔널컵(G1)을 우승한 코스모 벌크 이후 19년 만의 기록이다.[1]
4. 경주 성적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68300><rowbgcolor=#268300><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width=3%> 경주일 || 경마장 ||
(2착마) ||
경기명
||<width=3%> 등급 || 트랙
||<width=3%> 배당 ||<width=3%>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2착마) ||
<rowcolor=#fff> 2021년 (3세, 중앙) | |||||||||
5.1 | 한신 | 3세 미승리 | 잔디 1800m | 70.1 | 8 | 15착 | 오카다 요시츠구 | 코디얼 | |
7.24 | 니가타 | 3세 미승리 | 더트 1800m | 21.6 | 9 | 9착 | 이와타 미라이 | 히시 카무이 | |
8.14 | 코쿠라 | 3세 미승리전 | 잔디 2000m | 19.9 | 6 | 10착 | 후지이 칸이치로 | 쇼난 이치마츠 | |
<rowcolor=#ffffff> 2021년 (3세, 나고야) | |||||||||
10.1 | 나고야 | 나고야 모닝 피버 | 조건전 | 더트 1400m | 1.8 | 1 | 1착 | 오카베 마코토 | (프리퍼드 런) |
10.13 | 나고야 | C2 0조 | 더트 1400m | 1.0 | 1 | 1착 | (굿 스펜서) | ||
<rowcolor=#fff> 2022년 (4세) | |||||||||
1.23 | 코쿠라 | 4세 이상 1승 클래스 | 더트 1700m | 8.8 | 5 | 7착 | 요시다 하야토 | 아 라 모드 비오 | |
2.6 | 4세 이상 1승 클래스 | 더트 2400m | 3.1 | 1 | 1착 | (미스터리 웨이) | |||
4.9 | 나카야마 | 인자이 특별 | 2승 | 더트 2400m | 3.4 | 1 | 5착 | 스가와라 아키라 | 피스트 범프 |
4.30 | 도쿄 | 4세 이상 2승 클래스 | 더트 2100m | 6.3 | 3 | 3착 | 요코야마 타케시 | 키슬러 | |
6.25 | 한신 | 타카토리 특별 | 2승 | 더트 2000m | 7.6 | 6 | 10착 | 이와타 미라이 | 카후지 옥타곤 |
10.10 | 도쿄 | 쇼센쿄 특별 | 2승 | 더트 2100m | 4.4 | 2 | 3착 | 요코야마 카즈오 | 세븐 데이즈 |
10.29 | 이세자키 특별 | 2승 | 더트 2100m | 2.9 | 1 | 1착 | 마츠야마 코헤이 | (킹 사가) | |
11.19 | 반슈 스테이크스 | 3승 | 더트 2100m | 2.5 | 1 | 1착 | 카와다 유가 | (다논 러스터) | |
<rowcolor=#fff> 2023년 (5세) | |||||||||
1.22 | 주쿄 | 토카이 스테이크스 | GII | 더트 1800m | 43.3 | 11 | 9착 | 마츠야마 코헤이 | 프로미스트 워리어 |
3.19 | 나고야 성 스테이크스 | OP | 더트 1800m | 16.2 | 7 | 4착 | 요시다 하야토 | 르 코르세르 | |
4.30 | 도쿄 | 브릴리언트 스테이크스 | L | 더트 2100m | 6.9 | 4 | 1착 | 스가와라 아키라 | (다논 러스터) |
6.17 | 슬레이프니르 스테이크스 | OP | 더트 2100m | 5.9 | 3 | 11착 | 다논 러스터 | ||
10.22 | 브라질 컵 | L | 더트 2100m | 9.0 | 4 | 4착 | 텐카하루 | ||
11.23 | 우라와 | 우라와 기념 | JpnII | 더트 2000m | 11.0 | 5 | 1착 | 혼다 마사시게 | (미토노 오) |
12.21 | 나고야 | 나고야 그랑프리 | JpnII | 더트 2100m | 2.4 | 2 | 1착 | 오카베 마코토 | (그랑 브리지) |
<rowcolor=#fff> 2024년 (6세) | |||||||||
3.6 | 후나바시 | 다이올라이트 기념 | JpnII | 더트 2400m | 3.1 | 3 | 4착 | 혼다 마사시게 | 세라픽 콜 |
4.3 | 카와사키 | 카와사키 기념 | JpnI | 더트 2100m | 18.9 | 6 | 4착 | 라이트 워리어 | |
5.6 | 나고야 | 나고야 그랑프리 | JpnII | 더트 2100m | 2.3 | 2 | 4착 | 오카베 마코토 | 노투르노 |
6.26 | 오이 | 제왕상 | JpnI | 더트 2000m | 46.3 | 9 | 3착 | 요코야마 카즈오 | 킹즈 소드 |
9.23 | 카나자와 | 하쿠산대상전 | JpnIII | 더트 2100m | 2.2 | 1 | 1착 | (다이신 피스케스) | |
11.20 | 우라와 | 우라와 기념 | JpnII | 더트 2000m | 1.7 | 1 | 4착 | (아웃레인지) | |
<rowcolor=#ffffff> 2025년 (7세, 오이) | |||||||||
3.12 | 후나바시 | 다이올라이트 기념 | JpnII | 더트 2400m | 7.5 | 4 | 4착 | 혼다 마사시게 | 세라픽 콜 |
4.9 | 카와사키 | 카와사키 기념 | JpnI | 더트 2100m | 21.6 | 6 | 2착 | 야노 타카유키 | 메이쇼 하리오 |
7.2 | 오이 | 제왕상 | JpnI | 더트 2000m | 39.7 | 7 | 4착 | 미키 파이트 | |
9.7 | | 코리아컵 | GIIIKGI | 더트 1800m | 7.1 | 3 | 1착 | (챈쳉글로리)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80 골드 스펜서 | 1981 1982 달링 그래스 |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
1990 컨티넨탈 톰 | 1991 1992 1993 1994 · 1995 골드 체스트 | |
중앙경마·지방경마 전국 교류 경주 지정 후 | |
1996 | |
더트 그레이드제 도입, 통일 GII(현 JpnII) 지정 후 | |
1997 1998 1999 | |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 |
2020 2021 2022 2023 2024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통일 GII(현 JpnII)로 창설 |
2001 2002 2003 2004 2005 없음-- | 2006 2007 2008 2009 | |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2016 2017 2018 2019 | |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81 스메라기 윈 | 1982 스패니시 볼 | 1983 로라 킹 | 1984 사쿠라 하이덴 | 1985 · 1986 오사이치 미카도 | 1987 와카오 라이덴 | 1988 치카라 킹 | 1989 시나노 조지 |
1990 리워드 팬서 | 1991 카미노 무사시 | 1992 사류스키 | 1993 선파워 홀러 | 1994 키타시바 스페인 | 1995 미스터 루돌프 | 1996 하야테 사카에 오 | |
더트 그레이드제 도입, 통일 GIII(현 JpnIII) 지정 후 | |
1997 · 1998 1999 | |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빅 돈 | 2008 2009 | |
2010 2011 2012 2013 · 2014 2015 2016 2017 2018 · 2019 | |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2016 2017 · 2018 2019 문학치프 |
국제 G3 지정 후 | |
~~ 2020· 2021 취소~~ | 2022 위너스맨 | 2023 · 2024 2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