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동(광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동(광주)#|]][[동명동(광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동(광주 행정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동(광주 행정동)#|]][[동명동(광주 행정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57년 12월 1일 기존 동명동(법정동)이 행정동 제도가 실시되면서 동명1동과 동명2동으로 나뉘었다.
- 이후 구 제도 실시 직후 동구에 속하게 되었고, 변동없이 계속 동구 소속의 행정동으로 남아있었다.
- 그러나 인구 감소로 규모가 과소해져 1998년 4월 27일 1개의 행정동으로 통폐합되어 현재에 이른다.
2.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명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동(속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동(속초)#|]][[동명동(속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동(속초 행정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동(속초 행정동)#|]][[동명동(속초 행정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전라남도 목포시 동명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동(목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동(목포)#|]][[동명동(목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동(목포 행정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동(목포 행정동)#|]][[동명동(목포 행정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자미상으로 목포시에 행정동 제도가 실시될 때 설치된 행정동이다.
- 당시에 동명동(법정동), 광동1가~광동3가, 그리고 호남동과 산정동의 각 일부를 관할하고 있었다.
- 이후 1997년 1월 1일 삼학동을 분동하여 현재에 이른다.
[1] 당시 속초시가 시 승격 이후 동 제도를 실시한 자료가 없어, 시 승격 이후에도 리 제도가 실시되고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