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8 17:17:51

동남엘리베이터

<colbgcolor=#004AAD><colcolor=#fff> 동남엘리베이터
DONGNAM
파일:동남엘리베이터.png
법인명 (주)동남엘리베이터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1995년 3월 1일
대표자 이민규
본사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산단335로 48 (송정동)
규모 중소기업
업종 승강기 제조업
종업원 수 25명
매출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모델의 종류
3.1. 구형 모델3.2. 신형 모델3.3. 전용 모델

1. 개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중소 승강기 제조사.

2. 특징

  • 제어반은 삼일엘텍 제어반을 사용한다. 단 임대아파트 한정 STEP제어반을 적용한 경우도 드물게 있다.
  • 중소 승강기 고급화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회사 중 하나다. 2017년형부터 전장품은 EMCC제를 납품받으며 내부층표시기는 에어클리너 시리즈라는 다기능 도어 상단 층표시기가 기본으로 탑재되며 이는 부분교체분도 여건이 되면 예외없다. 단 2022년 이후로는 도트식 층표시기를 장착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동남엘리베이터용 운전반은 타사 EMCC 운전반 적용 모델과 달리 비상버튼 위에 비상호출이라는 글자가 아치형으로 표기되었다.[1]
  • 설치현장은 부산이나 경상남도에 많이 보이며 가끔 충청도, 경기도, 강원도에도 보일 때가 있다. 그러나 오히려 서울이나 경상북도는 없다시피하다.
  • 서울대학교병원의 엘리베이터 전면교체도 서울에서 매우 드물게 이 회사에서 맡았다.
  • 여담으로 유독 이 회사 제품에 층표시기에 "자동"표시가 상시로 표출되는 경우가 많다.[2]

3. 모델의 종류

3.1. 구형 모델

DN-DKMRL
탑승영상:부산 체육공원역 2호기[3] 부산 체육공원역 3호기 부산 체육공원역 1호기[4]
DN-DKMRL2
DN-MRL
탑승영상:용두산공원(부산타워) 팔각정 해운대 LCT육교(921호 소공원) 영광도서 전망용 40계단 셔틀
DN-MR-GL
탑승영상:춘천 한성한진아파트 춘천 태양빌딩 부산 남포프라자[5] 국립중앙도서관[6] 영광도서 1호기[7] 영광도서 2호기

3.2. 신형 모델

DN-MR1(☆)
탑승영상:초원빌라 코스마오피스텔 하람하우스 화성남양LH19단지 석광부산빌딩 여수공항 한아름빌라 명진TRS하단사무소(영진빌딩) 당감종합사회복지관 삼산선경아파트 우진까치빌라

요즘 설치되는 기종은 대부분 이 모델이다.
DN-MRL3(☆)
탑승영상:부전역 7호기

MRL 기종은 대부분 이 모델이다.
DN-MRL2(☆)
탑승영상:부전역 공영주차장 나린하우스 메티컬센터 영주오름길 수직형

2023년식부터 보이기 시작한다.
DN-MRL26(☆)
탑승영상:부전역 6호기

DN-MRLS18
탑승영상:광주송정역 주차빌딩

DN-MR-LHSD
주공아파트에서 주로 보이며 대표적으로 의정부 송산주공3단지 교체분과 한국과학기술원 정보전자동 2,3호기 교체분으로 설치되어 있다.

3.3. 전용 모델

DN-MR-KAIST-215
승강기안전인증에 나와있는 모델로 KAIST 문구가 포함되어 있는데 한국과학기술원 관련 건물 엘리베이터 교체분 모델인지는 불명.[8]

DN-MR-KAIST-275
DN-SNUH-M.B
탑승영상:서울대학교병원 본원 교체후

서울대학교병원 교체분에 적용되었으며 모델명은 이니셜 SNUH 문구도 같이 포함되었다.
[1] 물론 비상버튼 위치 개정후에는 같이 삭제됐다.[2] 후술할 탑승영상 중 3호선 체육공원역, 부전역 역사, 광주송정역주차빌딩, LH아파트들을 제외한 영상들이 예시.[3] 엘리베이터 안에서 이상한 전파소리가 난다. 다만 삼일엘텍 구형 제어반 적용 일부 타사 제품 설치 현장들도 비슷한 고질병을 갖고 있다.[4] 문짝이 교체되었다.[5] 현재는 건물이 철거되었다.[6] STEP SLC제어반이 적용되었다.[7] 병원용이다.[8] 참고로 동남엘리베이터 홈페이지 승객용 시공실적을 보면 카이스트 관련 건물이 2곳 표기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