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0 20:00:31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1. 개요2. 개설 과목
2.1. 이전 개설 과목
3. 교수4. 답사
4.1. 2010년대4.2. 2020년대 이후
5. 진출 분야6. 졸업7. 여담

1. 개요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이전에는 인문대학에 포함되었으나 스마트시티융합대학에 속한 학과[1]. 고고미술사학과는 고고학과 미술사학을 접목된 학과이며, 전국에 몇 안 되는 학과이다.[2]

2. 개설 과목

* 한국고고학개론
* 한국미술사개론
* 문화유산의 이해 -유적/유물
* 서양미술사
* 중국미술사
* 인도미술사
* 고고학연구법
* 동북아시아의 고고학
* 선사고고학 1,2
* 역사고고학 1,2
* 원사고고학
* 역사고고학세미나
* 경주 문화유산 필드워크
* 한국탑파사
* 불교회화사
* 한국회화사
* 공예사캡스톤디자인
* 중국불교조각사
* 큐레이터실무캡스톤디자인
* 야외고고학
* 도시와건축의문화사
* 선사고고학세미나
* 미술사학코너스톤디자인
* 고고학실습
* 고고미술사학전공진로탐색
* 삼국유사와문화콘텐츠
* 고고미술사학취창업세미나

2.1. 이전 개설 과목

* 박물관학

3. 교수

  • 강현숙 : 역사고고학(고구려 고분) 전공. 한국고고학개론, 역사고고학1,2 등을 가르쳤다.
  • 송은석 : 조선시대 불상 세부전공(미술사).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학사, 석사, 박사를 졸업한 후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근무했다. 자기 대학교로 옮기지 않고, 전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 관장이었다.
  • 한정호 : 동 대학교 출신 교수로, 탑이 세부전공이다.
  • 강동석 : 부임 이후 선사고고학을 가르쳤다.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사를 거쳐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소장이었다가 이곳에 교수로 부임했다.
  • 안재호 명예 교수 : 선사고고학 청동기 전공.

4. 답사

4.1. 2010년대

2019년 이후 경상남도를 갔다.

4.2. 2020년대 이후

모든 학과가 마찬가지로 코로나19 기간에 가지 않고, 2022년 2학기에 경상북도, 2023년 1학기에 경상남도고령, 추계답사에는 전라남도[2017년]를 갔다.

2024년 춘계 답사에는 전북특별자치도[4]를 갔다.

5. 진출 분야

  • 국립박물관,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청 학예사
  • 문화재연구원[5]
  • 대학교박물관 학예사

6. 졸업

  • 외국어
  • 답사 시간이나 학과 행사를 합해 180시간을 채워야 한다.
  • 유물 보고서, 학위 논문 중 1개 택함.
  • 필수 과목을 들어야 한다.

7. 여담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와 협약을 맺어서 2020년도부터 2024년까지 경주 대릉원 지구인 쪽샘 K지구 일원에서 수업 연계로 실습을 진행한다.[6]
  • 국립경주박물관과 협약을 맺어서 수업에 국립경주박물관 직원들이 와서 수업을 했다.


[1] 스마트시티융합대학에 속해서 인문대학에 포함되는 게 나을지도 모른다. 예전에는 국사학과랑 같이 인문대학에 포함되었다.[2] 고고학과는 전국에 많지만, 서울대학교, 충북대학교, 동아대학교, 원광대학교를 합쳐 5개 밖에 되지 않는다. 미술사학과도 전국에 사학과, 고고학과만큼은 몇 되지 않는다.[2017년] 춘계답사와는 코스가 다르다. 이번에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화순 고인돌유적을 갔다.[4] 2018년 춘계 답사와 일정이 비슷하다.[5] 주로 많이 진출함.[6] 뉴스에도 나온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