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돌즈 네스트/무장|돌즈 네스트/무장]]}}}{{{#!if external != "o"
[[돌즈 네스트/무장]]}}}}}}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돌즈 네스트/무장?uuid=37540f1a-d023-41d9-820c-420558f0b752|r70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돌즈 네스트/무장?uuid=37540f1a-d023-41d9-820c-420558f0b752#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돌즈 네스트/무장?from=703|이전 역사 보러 가기]]}}}#!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돌즈 네스트/무장|돌즈 네스트/무장]]}}}{{{#!if external != "o"
[[돌즈 네스트/무장]]}}}}}}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돌즈 네스트/무장?uuid=37540f1a-d023-41d9-820c-420558f0b752|r70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돌즈 네스트/무장?uuid=37540f1a-d023-41d9-820c-420558f0b752#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돌즈 네스트/무장?from=703|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
| 게임 관련 요소 | 등장인물 | 설정 | 지역 | 보스 | 적 님프 |
| 갑각 |
| 소체 | 기동각 | 확장 헤드 링 | 포가 보조 팔 | 가속익 | 특기 배낭 |
| 무장 |
| 팔 무장 (물리) * (열량) * (기타) | 등 무장 | 자원 |
1. 개요
1.1. 빔 건(열진총)
1.1.1. BG112 A6 Scimitar1.1.2. S2C1 Trio1.1.3. Sys302‐D G03 Clew1.1.4. Las012‐D G05 Sala1.1.5. Edn005‐D Alqa1.1.6. BG000 P52 Caladbolg1.1.7. FR T04A2 FALMA
1.2. 디스차지 머신건(방전 기관총)1.2.1. Blgore1.2.2. Sys411‐D G02 Restol1.2.3. Sys412‐D G02 Hall1.2.4. PSD0661.2.5. S4C12 Srtrit1.2.6. DMG015 A2 Estoc1.2.7. Ruklof
1.3. 웨이브 건(파동총)1.4. 컴프레스 건(압축총)1.4.1. Sys332‐D G02 Jefty1.4.2. CG153 A4 Javelin1.4.3. xxx RAM1.4.4. Las018‐D G02 Salala1.4.5. APPL0651.4.6. FamdGanz3
1.5. 빔 머신건(열진 기관총)1.6. 버블 런처(포말 발사기)1. 개요
돌즈 네스트에 나오는 무장 중 열량 데미지를 주는 무장을 서술한다. 에너지 무장이 대부분이지만 일부 무장은 실탄류에 가깝지만 화염 자체를 발사하는 형식이라 열량 무기에 해당하는 무기군도 존재한다. 물리 무기군과 1대 1로 대응되는 무기군으로 구성되어있지만, 특수한 발사 방식 때문에 일부 무장은 완벽하게 1대 1로 대응되지 않는 것들도 있다.알칸드, 포로카 콜로니에서 해당 무장을 주력으로 사용한다.
1.1. 빔 건(열진총)
1.1.1. BG112 A6 Scimitar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메타메트리아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100 | ||||||||||||
| 대기 소모 EP | 155 | 수리 CELL | 385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2366 | <colbgcolor=#334433> 2602 | <colbgcolor=#335577> 2720 | <colbgcolor=#443355> 2957 | <colbgcolor=#552222> 3075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
| 유효 열량 공격력 | 2700 | 2970 | 3105 | 3375 | 3510 | ||||||||||
| 관통력 | 490 | 539 | 564 | 612 | 637 | ||||||||||
| 탄속 | 7050 | - | 7226 | - | 7402 | ||||||||||
| 집탄 성능 | 496 | - | - | - | 496 | ||||||||||
| 기본 조준 시간 | 112 | 106 | 101 | 95 | 90 | ||||||||||
| 장전 시간 | 350 | - | 332 | - | 315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18 | 연사 성능 | 1963 | ||||
| 사거리 | 5700 | 장탄수 | 16 | ||||
| 표준적인 성능의 열진총. 고대의 거대 기업 메타메트리아사 설계. 휴대형 열진 병기로는 가장 초창기 모델. 열진이라 불리는 미립자 상태의 셀을 하전, 가속하여 사출한다. 소위 하전 입자 병기 연구에서는 탄체 가속에 필요한 전력 확보가 오랜 과제였으나, 셀 발견에 따른 초고용량 초소형 축전지의 실용화가 순식간에 이를 해결했다. 관점을 바꾸면, 고대에는 에너지 문제 해결이 투쟁 근절에 전혀 이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 |||||||
입수 방법
| |||||||
1.1.2. S2C1 Trio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포로카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95 | ||||||||||||
| 대기 소모 EP | 185 | 수리 CELL | 42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2000 | <colbgcolor=#334433> 2200 | <colbgcolor=#335577> 2300 | <colbgcolor=#443355> 2500 | <colbgcolor=#552222> 2600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
| 유효 열량 공격력 | 2415 | 2656 | 2777 | 3019 | 3140 | ||||||||||
| 관통력 | 450 | 495 | 518 | 562 | 585 | ||||||||||
| 탄속 | 6400 | - | 6560 | - | 6720 | ||||||||||
| 집탄 성능 | 489 | - | 490 | - | 490 | ||||||||||
| 기본 조준 시간 | 210 | 200 | 189 | 178 | 168 | ||||||||||
| 장전 시간 | 500 | - | 475 | - | 45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12 | 연사 성능 | 1974 | ||||
| 사거리 | 4200 | 장탄수 | 40 | ||||
| 연사 성능이 뛰어난 열진총. 포로카산 열진총. 포로카는 추진 기관 개발 외에 열진 병기 연구에도 적극적으로 자원을 투입했다. 총탄을 휴대하지 않으면 그만큼 가볍고 높이 날 수 있기 때문이다. | |||||||
입수 방법
| |||||||
1.1.3. Sys302‐D G03 Clew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알칸드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265 | ||||||||||||
| 대기 소모 EP | 175 | 수리 CELL | 535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2659 | <colbgcolor=#334433> 2925 | <colbgcolor=#335577> 3058 | <colbgcolor=#443355> 3324 | <colbgcolor=#552222> 3456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
| 유효 열량 공격력 | 2588 | 2846 | 2976 | 3234 | 3364 | ||||||||||
| 관통력 | 850 | 935 | 978 | 1062 | 1105 | ||||||||||
| 탄속 | 6550 | - | 6714 | - | 6877 | ||||||||||
| 집탄 성능 | 496 | - | - | - | 496 | ||||||||||
| 기본 조준 시간 | 140 | 133 | 126 | 119 | 112 | ||||||||||
| 장전 시간 | 420 | - | 399 | - | 378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26 | 연사 성능 | 1950 | ||||
| 사거리 | 6050 | 장탄수 | 17 | ||||
| 고출력 열진총 상층의 콜로니 연방 알칸드산. BG112 A6가 대형화, 고출력화된 것. 알칸드의 전신이 된 콜로니는 상층을 근거지로 삼은 초기부터 열진 병기 연구에 자원을 쏟아부었다. 차폐물이 적고 무엇보다 인공 태양이 비추는 '하늘'이라는 광대한 공간을 가진 상층에서는 고정밀도, 장사거리 무기 화기가 요구되었고, 이에 열진 병기의 특성이 부합했던 것이다. | |||||||
입수 방법
| |||||||
1.1.4. Las012‐D G05 Sala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알칸드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320 | ||||||||||||
| 대기 소모 EP | 315 | 수리 CELL | 805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1662 | <colbgcolor=#334433> 1828 | <colbgcolor=#335577> 1911 | <colbgcolor=#443355> 2077 | <colbgcolor=#552222> 2160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
| 유효 열량 공격력 | 2128 | 2340 | 2447 | 2659 | 2766 | ||||||||||
| 관통력 | 340 | 374 | 391 | 425 | 442 | ||||||||||
| 탄속 | 6100 | - | 6252 | - | 6405 | ||||||||||
| 집탄 성능 | 487 | - | 488 | - | 488 | ||||||||||
| 기본 조준 시간 | 238 | 226 | 214 | 202 | 190 | ||||||||||
| 장전 시간 | 300 | - | 285 | - | 27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8 | 연사 성능 | 1830 | ||||
| 사거리 | 5100 | 장탄수 | 28 | ||||
| 5점사 기구를 탑재한 열진총. 순간 화력이 뛰어나지만 고중량. 상층의 콜로니 연방 알칸드산. 사이사스 조병창과 더불어 고참인 라즈리스 조병창이 신개념 발사 기구를 이용해 시작한 열진총. 순간 화력 투사량 향상이라는 목적은 달성했지만, 중량이나 충전 간격 증가 등 많은 과제가 드러났다. 정식 채용은 보류되었지만 당시 긴장이 고조되었던 기프로베르데 갑각병에 대항하기 위해 한정적인 양산이 이루어져, 해당 콜로니와의 세력 인접권에 소수가 배치되었다. | |||||||
입수 방법
| |||||||
설명과는 다르게 실제로는 4점사.
1.1.5. Edn005‐D Alqa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알칸드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85 | ||||||||||||
| 대기 소모 EP | 125 | 수리 CELL | 47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1760 | <colbgcolor=#334433> 1935 | <colbgcolor=#335577> 2023 | <colbgcolor=#443355> 2199 | <colbgcolor=#552222> 2287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
| 유효 열량 공격력 | 3025 | 3328 | 3479 | 3781 | 3932 | ||||||||||
| 관통력 | 430 | 473 | 494 | 538 | 559 | ||||||||||
| 탄속 | 7700 | - | 7892 | - | 8085 | ||||||||||
| 집탄 성능 | 496 | - | - | - | 496 | ||||||||||
| 기본 조준 시간 | 152 | 144 | 137 | 129 | 122 | ||||||||||
| 장전 시간 | 300 | - | 285 | - | 27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18 | 연사 성능 | 1965 | ||||
| 사거리 | 4500 | 장탄수 | 30 | ||||
| 은밀 성능이 뛰어난 소형 경량 소음 열진총. 유효 부위 공격에 적합하다. 상층의 콜로니 연방 알칸드산. 알칸드를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중앙 교단의 장 이덴은 기술 개발 지도자로서도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으며, 그녀의 주도 하에 수많은 혁신적인 무장이 개발되었다. 이 무기도 그중 하나. 중앙 교단 수호를 맡은 기사용으로 만들어졌다. 성스러운 신전의 정적, 그리고 무엇보다 교단장의 기도와 사색을 방해하지 않도록 소음성에 중점을 두었다. 한편, 이런 설명은 표면적인 것에 불과하며 실제로는 교단장 직속 특수 작전 부대에 배치되어 중앙 교단의 적대자를 은밀히 말살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설도 있다. 어쨌든 이 무기가 알칸드에 정적을 가져다주는 것은 틀림없다. | |||||||
입수 방법
| |||||||
1.1.6. BG000 P52 Caladbolg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메타메트리아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130 | ||||||||||||
| 대기 소모 EP | 120 | 수리 CELL | 47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2500 | <colbgcolor=#334433> 2750 | <colbgcolor=#335577> 2875 | <colbgcolor=#443355> 3125 | <colbgcolor=#552222> 3250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
| 유효 열량 공격력 | 2600 | 2860 | 2990 | 3250 | 3380 | ||||||||||
| 관통력 | 720 | 792 | 828 | 900 | 936 | ||||||||||
| 탄속 | 8800 | - | 9020 | - | 9240 | ||||||||||
| 집탄 성능 | 497 | - | - | - | 497 | ||||||||||
| 기본 조준 시간 | 231 | 219 | 208 | 196 | 185 | ||||||||||
| 장전 시간 | 350 | - | 332 | - | 315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22 | 연사 성능 | 1966 | ||||
| 사거리 | 6800 | 장탄수 | 6 | ||||
| 장총신의 열진총. 물체를 관통하는 특수한 탄체를 사용한다. 고대의 거대 기업 메타메트리아사가 시험적으로 제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압축률, 고속도의 열진으로 장갑 관통 효과를 얻는 것이 목적으로 추측되지만, 장탄수가 극단적으로 저하되었다. 후계형, 양산형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계획은 중지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하층에서 이 무기가 발굴되었을 때 나가라 갑각병은 이를 총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한동안 장창 자루로 사용했다. | |||||||
입수 방법
| |||||||
1.1.7. FR T04A2 FALMA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가디나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110 | ||||||||||||
| 대기 소모 EP | 175 | 수리 CELL | 50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1975 | <colbgcolor=#334433> 2172 | <colbgcolor=#335577> 2271 | <colbgcolor=#443355> 2468 | <colbgcolor=#552222> 2567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
| 유효 열량 공격력 | 2415 | 2656 | 2777 | 3019 | 3140 | ||||||||||
| 관통력 | 120 | 132 | 138 | 150 | 156 | ||||||||||
| 탄속 | 5950 | - | 6099 | - | 6247 | ||||||||||
| 집탄 성능 | 496 | - | - | - | 496 | ||||||||||
| 기본 조준 시간 | 294 | 279 | 265 | 250 | 235 | ||||||||||
| 장전 시간 | 350 | - | 332 | - | 315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22 | 연사 성능 | 1962 | ||||
| 사거리 | 5300 | 장탄수 | 15 | ||||
| 상태이상 부여 효과 | | ||||||
| 소이 효과를 가진 탄약을 사용하는 열진총. 폐열 이상을 유발한다. 중층 최대의 콜로니 가디나산. 대 기프로베르데 전쟁 중에 개발된 것 중 하나. 착탄한 열진이 목표를 관통하지 않고 표면에 부착되도록 조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폐열 이상을 유발한다. 뛰어난 방어 성능을 가진 기프로베르데 주력 전투 갑각병은 그 대중량을 기동시키기 위해 반응로 또한 극히 대형을 탑재하고 있어, 그것이 발산하는 열량도 막대하다. 이에 주목한 가디나는 그 장갑을 관통하는 대신 반응로에서의 폐열을 방해하여 격파하려 했다. 의도 자체는 달성되었지만, 폐열 이상 유발까지는 당연히 일정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에 기프로베르데 전투 갑각병이 열 폭주로 좌초했을 때는 가디나 측도 괴멸하는 사태가 종종 발생했다. | |||||||
입수 방법
| |||||||
1.2. 디스차지 머신건(방전 기관총)
1.2.1. Blgore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헤로스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70 | ||||||||||||
| 대기 소모 EP | 120 | 수리 CELL | 29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1082 | <colbgcolor=#334433> 1190 | <colbgcolor=#335577> 1244 | <colbgcolor=#443355> 1353 | <colbgcolor=#552222> 1407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
| 유효 열량 공격력 | 1150 | 1265 | 1322 | 1438 | 1495 | ||||||||||
| 관통력 | 162 | 178 | 186 | 202 | 211 | ||||||||||
| 탄속 | 6200 | - | 6355 | - | 6510 | ||||||||||
| 집탄 성능 | 490 | - | 491 | - | 491 | ||||||||||
| 기본 조준 시간 | 126 | 120 | 113 | 107 | 101 | ||||||||||
| 장전 시간 | 275 | - | 261 | - | 247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6 | 연사 성능 | 1992 | ||||
| 사거리 | 2700 | 장탄수 | 40 | ||||
| 표준적인 성능의 방전 기관총. 중층의 교역 콜로니 헤로스산. 플라스마 상태의 열진을 투사하여 연속적인 열량 투사로 목표를 파괴하려 한다. 사거리와 정밀도는 저하되지만, 가속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 연사 속도와 휴대성이 뛰어나다. 파블러가 발주했지만 양산 도중 이 콜로니가 근절되어 갈 곳 잃은 물건이 호드에 널리 보급되었다. 이 때문에 방전 기관총은 단사거리, 고연사력의 실탄식 외 화기의 대명사가 되었으며, 종종 다른 원리의 것도 여기에 분류된다. | |||||||
입수 방법
| |||||||
1.2.2. Sys411‐D G02 Restol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알칸드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110 | ||||||||||||
| 대기 소모 EP | 115 | 수리 CELL | 376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919 | <colbgcolor=#334433> 1011 | <colbgcolor=#335577> 1057 | <colbgcolor=#443355> 1149 | <colbgcolor=#552222> 1195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
| 유효 열량 공격력 | 980 | 1078 | 1127 | 1225 | 1274 | ||||||||||
| 관통력 | 135 | 148 | 155 | 169 | 176 | ||||||||||
| 탄속 | 6030 | - | 6181 | - | 6331 | ||||||||||
| 집탄 성능 | 470 | - | 472 | - | 473 | ||||||||||
| 기본 조준 시간 | 112 | 106 | 101 | 95 | 90 | ||||||||||
| 장전 시간 | 320 | - | 304 | - | 288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5 | 연사 성능 | 1996 | ||||
| 사거리 | 2610 | 장탄수 | 80 | ||||
| 연사 성능이 뛰어난 방전 기관총. 알칸드산. 개발 시기로 보아 Blgore를 참고하여 개발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외형은 전혀 다르다. 원반형 자기장 포신 제어기에 의한 연사 성능 향상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생산성은 악화되었다. 비용 대비 효과라는 관점에서는 평가가 박할 수밖에 없지만, 이 무기를 기반으로 아르칸드는 마침내 독자적인 병기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 |||||||
입수 방법
| |||||||
1.2.3. Sys412‐D G02 Hall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알칸드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120 | ||||||||||||
| 대기 소모 EP | 135 | 수리 CELL | 40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674 | <colbgcolor=#334433> 742 | <colbgcolor=#335577> 775 | <colbgcolor=#443355> 843 | <colbgcolor=#552222> 876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
| 유효 열량 공격력 | 852 | 937 | 980 | 1065 | 1108 | ||||||||||
| 관통력 | 285 | 314 | 328 | 356 | 370 | ||||||||||
| 탄속 | 5390 | - | 5525 | - | 5659 | ||||||||||
| 집탄 성능 | 460 | - | 462 | - | 464 | ||||||||||
| 기본 조준 시간 | 1400 | 1330 | 1260 | 1190 | 1120 | ||||||||||
| 장전 시간 | 310 | - | 294 | - | 279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7 | 연사 성능 | 1990 | ||||
| 사거리 | 5670 | 장탄수 | 30 | ||||
| 유도 성능 | 30000 | 유도 시간 | 100 | ||||
| 추적식 방전 기관총. 상층의 콜로니 연방 알칸드산. 세련된 병기 개발로 알려진 알칸드지만, 그런 그녀들도 실패와는 무관하지 않다. Sys411-D G02 Restol의 후계기로 개발된 이 기체는 자기장 포신 강화로 정밀도와 사거리 연장을 꾀하여 개발되었으나, 결과적으로 중량과 생산성, 나아가 연사 성능까지 악화. 방전 기관총의 장점 자체를 잃은 완전한 실패작으로 여겨졌다. 그런데 자기장 포신 제어로 발사하는 플라스마에 어느 정도 유도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어 이 무기는 갑자기 각광받는다. 결과적으로 유도식 열량 병기라는 독자적인 병기 체계가 창출되었고, 숙청을 두려워했던 이 무기 개발진은 성도의 명예를 누리게 되었다. | |||||||
입수 방법
| |||||||
1.2.4. PSD066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바우칸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85 | ||||||||||||
| 대기 소모 EP | 95 | 수리 CELL | 36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790 | <colbgcolor=#334433> 869 | <colbgcolor=#335577> 908 | <colbgcolor=#443355> 988 | <colbgcolor=#552222> 1027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
| 유효 열량 공격력 | 1120 | 1232 | 1288 | 1400 | 1456 | ||||||||||
| 관통력 | 256 | 282 | 294 | 320 | 333 | ||||||||||
| 탄속 | 7250 | - | 7431 | - | 7612 | ||||||||||
| 집탄 성능 | 484 | - | 485 | - | 486 | ||||||||||
| 기본 조준 시간 | 70 | 66 | 63 | 60 | 56 | ||||||||||
| 장전 시간 | 265 | - | 252 | - | 238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8 | 연사 성능 | 1993 | ||||
| 사거리 | 2970 | 장탄수 | 30 | ||||
| 소음 장치를 탑재한 방전 기관총. 유효 부위 공격에 적합하다. 상층의 소규모 콜로니 바우칸산. 방전 기관총이 가진 정밀도와 위력의 낮음을, 필중 거리까지 접근한 후 취약 부위를 노림으로써 해결하려는 의도로 생산되었다. 바우칸의 높은 기술력이 마음껏 발휘되어 극히 정숙성이 높고 거의 무음으로 작동한다. 하지만 은밀 성능 추구 때문에 출력은 저하되었고, 애초에 방전 기관총이므로 발사되는 탄체는 강렬한 발광을 동반하여 쉽게 사수의 위치를 노출시키므로 공격 후 이탈이 극히 어렵다. 물론 바우칸에서 이것을 문제시하는 자는 없었다. | |||||||
입수 방법
| |||||||
1.2.5. S4C12 Srtrit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포로카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100 | ||||||||||||
| 대기 소모 EP | 35 | 수리 CELL | 25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821 | <colbgcolor=#334433> 903 | <colbgcolor=#335577> 944 | <colbgcolor=#443355> 1026 | <colbgcolor=#552222> 1067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850 | 935 | 978 | 1062 | 1105 | ||||||||||
| 관통력 | 80 | 88 | 92 | 100 | 104 | ||||||||||
| 탄속 | 5180 | - | 5310 | - | 5439 | ||||||||||
| 집탄 성능 | 484 | - | 485 | - | 486 | ||||||||||
| 기본 조준 시간 | 70 | 66 | 63 | 60 | 56 | ||||||||||
| 장전 시간 | 189 | - | 180 | - | 17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5 | 연사 성능 | 1992 | ||||
| 사거리 | 2430 | 장탄수 | 50 | ||||
| BP 변환 효율이 뛰어난 방전 기관총. 과거 하층에 존재했던 콜로니 포로카산. 공기 저항 감소를 위해 그 끝부분까지 정성껏 연마한 갑각을 만들어내는가 하면, 기동각에 폭탄을 묶었다고밖에 형용할 수 없는 항공형 시작기를 개발한다. 섬세함과 대범함이 공존하는 것이 포로카의 병기 개발이다. 이 무기의 경우는 후자의 포로카다. 발굴 재고에 여유가 있던 메타메트리아사 제작 소형 열진 권총 네 자루를 묶어 연사 성능을 확보한다는, 극히 안이한 발상으로 개발되었다. 하지만 방전 열진총이라는 분류로서는 필요 충분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이런 필요에 따른 타협이야말로 포로카 특징의 강점이라고도 할 수 있다. | |||||||
입수 방법
| |||||||
1.2.6. DMG015 A2 Estoc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메타메트리아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90 | ||||||||||||
| 대기 소모 EP | 105 | 수리 CELL | 39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880 | <colbgcolor=#334433> 968 | <colbgcolor=#335577> 1012 | <colbgcolor=#443355> 1100 | <colbgcolor=#552222> 1144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875 | 963 | 1006 | 1094 | 1138 | ||||||||||
| 관통력 | 130 | 143 | 150 | 162 | 169 | ||||||||||
| 탄속 | 6080 | - | 6232 | - | 6384 | ||||||||||
| 집탄 성능 | 477 | - | 478 | - | 479 | ||||||||||
| 기본 조준 시간 | 147 | 140 | 132 | 125 | 118 | ||||||||||
| 장전 시간 | 650 | - | 618 | - | 585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5 | 연사 성능 | 1993 | ||||
| 사거리 | 2970 | 장탄수 | 120 | ||||
| 장탄수가 뛰어난 방전 기관총. 고대의 거대 기업 메타메트리아사 설계. 방전 기관총으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대형 탄창을 갖춘 열진총. 열진 병기 소형화에서 님프의 병기 개발 기술은 아직 고대 수준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 |||||||
입수 방법
| |||||||
1.2.7. Ruklof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헤로스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170 | ||||||||||||
| 대기 소모 EP | 155 | 수리 CELL | 62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262 | <colbgcolor=#334433> 289 | <colbgcolor=#335577> 302 | <colbgcolor=#443355> 328 | <colbgcolor=#552222> 341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278 | 305 | 319 | 347 | 361 | ||||||||||
| 관통력 | 55 | 60 | 63 | 69 | 72 | ||||||||||
| 탄속 | 30000 | - | 30750 | - | 31500 | ||||||||||
| 집탄 성능 | 477 | - | 478 | - | 479 | ||||||||||
| 기본 조준 시간 | 0 | - | - | - | 0 | ||||||||||
| 장전 시간 | 260 | - | 247 | - | 234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7 | 연사 성능 | 1994 | ||||
| 사거리 | 2000 | 장탄수 | 35 | ||||
| 자동 장벽을 투과하는 방전 기관총. 중층의 교역 콜로니 헤로스산. 주파수 변경 장치로 자동 장벽을 투과하여 본체에 직접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알칸드 갑각병을 가상적으로 삼아 가디나의 발주로 생산된 것으로 보인다. | |||||||
입수 방법
| |||||||
1.3. 웨이브 건(파동총)
1.3.1. WG023 A3 Halberd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메타메트리아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120 | ||||||||||||
| 대기 소모 EP | 130 | 수리 CELL | 35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960 | <colbgcolor=#334433> 1056 | <colbgcolor=#335577> 1104 | <colbgcolor=#443355> 1200 | <colbgcolor=#552222> 1248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1210 | 1331 | 1392 | 1512 | 1573 | ||||||||||
| 관통력 | 85 | 94 | 98 | 106 | 110 | ||||||||||
| 탄속 | 6200 | - | 6355 | - | 6510 | ||||||||||
| 집탄 성능 | 496 | - | - | - | 496 | ||||||||||
| 기본 조준 시간 | 210 | 200 | 189 | 178 | 168 | ||||||||||
| 장전 시간 | 290 | - | 276 | - | 261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42 | 연사 성능 | 1870 | ||||
| 사거리 | 2600 | 장탄수 | 10 | ||||
| 산탄 수 | 7 | 산탄 집탄성 | 484 | ||||
| 표준적인 성능의 전파총. 사거리가 짧은 근거리 사격 병기. 고대의 거대 기업 메타메트리아사 설계. 지향성을 가진 강력한 전자파를 투사하여 대상에 열을 발생시켜 파괴한다. 원래 소형 자율 비행 기기 등의 무력화 목적으로 설계된 비살상 병기였으나, 셀 발견에 따른 축전지 성능의 비약적인 향상으로 장갑 목표를 파괴할 수 있을 정도의 출력을 얻었다. 거리에 따라 위력이 급격히 감쇠하는 약점이 존재하지만, 사거리, 사각 내 목표에는 거의 필중을 기대할 수 있는 다루기 쉬움 덕분에 널리 보급되었고, 유사한 특성을 가진 화기가 다수 개발되었다. 이 때문에 전파총은 화약 발사식 실체탄 외의 광사각, 단사거리 화기 전반의 대명사가 되었으며, 종종 다른 원리를 가진 병장도 이 이름 아래 분류된다. | |||||||
입수 방법
| |||||||
1.3.2. Sys459‐D G02 Shgaf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알칸드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155 | ||||||||||||
| 대기 소모 EP | 130 | 수리 CELL | 54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630 | <colbgcolor=#334433> 693 | <colbgcolor=#335577> 725 | <colbgcolor=#443355> 788 | <colbgcolor=#552222> 819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750 | 825 | 862 | 938 | 975 | ||||||||||
| 관통력 | 70 | 77 | 80 | 88 | 91 | ||||||||||
| 탄속 | 6500 | - | 6662 | - | 6825 | ||||||||||
| 집탄 성능 | 496 | - | - | - | 496 | ||||||||||
| 기본 조준 시간 | 220 | 209 | 198 | 187 | 176 | ||||||||||
| 장전 시간 | 600 | - | 570 | - | 54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25 | 연사 성능 | 1890 | ||||
| 사거리 | 2650 | 장탄수 | 26 | ||||
| 산탄 수 | 8 | 산탄 집탄성 | 474 | ||||
| 대형 연사 성능이 뛰어난 전파총. 근거리 고속 전투에 적합하다. 상층의 콜로니 연방 알칸드산. 보기대로 두 자루의 소형 전파총을 연결하여 교대로 발사함으로써 연사력을 높였다. 알칸드산으로는 가장 초기의 전파총이지만, 그 점을 고려해도 세련된 병기 개발로 알려진 이 콜로니답지 않은 간이적인 구조다. 애초 원인은 라즈리스 조병창에서 개발이 진행 중이던 신형 전파총 개발이 난항을 겪었기 때문이다. 거듭되는 개발 지연에 교단장 명령으로 사이사스 조병창으로 개발 담당이 이관된다. 하지만 그녀들에게 주어진 시간은 너무 짧았다. 거기에 우연히 헤로스로부터 도착한 것이 아득한 하층의 포로카산 S4C12 Srtrit였다. 있는 것을 묶었을 뿐이라는 단순한 발상은, 하지만 알칸드의 기술형 님프들에게 천계(天啓)를 주었고, 그리하여 정해진 기한 내에 그녀들은 연사식 전파총 개발을 완료했던 것이다. | |||||||
입수 방법
| |||||||
1.3.3. Las079‐D G09 Bulz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알칸드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140 | ||||||||||||
| 대기 소모 EP | 70 | 수리 CELL | 56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8000 | <colbgcolor=#334433> 8800 | <colbgcolor=#335577> 9200 | <colbgcolor=#443355> 10000 | <colbgcolor=#552222> 10400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9200 | 10120 | 10580 | 11500 | 11960 | ||||||||||
| 관통력 | 520 | 572 | 598 | 650 | 676 | ||||||||||
| 탄속 | 9200 | - | 9430 | - | 9660 | ||||||||||
| 집탄 성능 | 495 | - | - | - | 496 | ||||||||||
| 기본 조준 시간 | 200 | 190 | 180 | 170 | 160 | ||||||||||
| 장전 시간 | 270 | - | 256 | - | 243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60 | 연사 성능 | 1900 | ||||
| 사거리 | 2300 | 장탄수 | 5 | ||||
| 압축 수속 기구를 탑재한 전파총. 대형 압축탄을 전방으로 사출한다. 상층의 콜로니 연방 알칸드산. 원래 장사거리 전파총으로 개발이 시작되었다. 이를 출력 향상으로 달성하려 했으나, 투사되는 전파 제어가 난항을 겪었다. 엄청난 위력을 대가로 거리 감쇠가 커서 본래 구상과는 정반대의 무기가 되어 버렸다. 이 실패로 라즈리스 조병창은 폐쇄를 각오했다고 하지만, 교단장 이덴은 완성된 이 무기에서 대장갑용 화기로서의 용도를 발견하고 이를 문제 삼지 않았다. 이후 라즈리스 조병창은 대출력 병기 개발에 특화된 독자성을 확보해 나간다. 그녀들이 만들어낸 병장에는 알칸드의 대표적인 화기인 Las175-L G04 Obzart 등이 포함된다. | |||||||
입수 방법
| |||||||
1.3.4. SG T82A2 RIMD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가디나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80 | ||||||||||||
| 대기 소모 EP | 25 | 수리 CELL | 42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495 | <colbgcolor=#334433> 544 | <colbgcolor=#335577> 569 | <colbgcolor=#443355> 618 | <colbgcolor=#552222> 644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550 | 605 | 632 | 688 | 715 | ||||||||||
| 관통력 | 51 | 56 | 59 | 64 | 66 | ||||||||||
| 탄속 | 5900 | - | 6048 | - | 6195 | ||||||||||
| 집탄 성능 | 496 | - | - | - | 496 | ||||||||||
| 기본 조준 시간 | 300 | 285 | 270 | 255 | 240 | ||||||||||
| 장전 시간 | 400 | - | 380 | - | 36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55 | 연사 성능 | 1880 | ||||
| 사거리 | 2800 | 장탄수 | 6 | ||||
| 산탄 수 | 20 | 산탄 집탄성 | 450 | ||||
| 상태이상 부여 효과 | | ||||||
| 소이 산탄을 사용하는 산탄총. 폐열 이상을 유발한다. 가디나산 특수 산탄총. 근거지 제압전용으로 개발된 특수 산탄총이며, 고성능 소이탄 사용을 전제로 한다. 총구에서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소이 알갱이는 높은 열량에 의한 손해를 줄 뿐만 아니라, 목표 표면에 부착되어 연소를 일으킨다. 전파총 개발에서 뒤처진 가디나에서는 이 대체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
입수 방법
| |||||||
1.4. 컴프레스 건(압축총)
1.4.1. Sys332‐D G02 Jefty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알칸드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210 | ||||||||||||
| 대기 소모 EP | 210 | 수리 CELL | 42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3773 | <colbgcolor=#334433> 4150 | <colbgcolor=#335577> 4339 | <colbgcolor=#443355> 4716 | <colbgcolor=#552222> 4905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3858 | 4244 | 4437 | 4823 | 5016 | ||||||||||
| 관통력 | 1050 | 1155 | 1208 | 1312 | 1365 | ||||||||||
| 탄속 | 11000 | - | 11275 | - | 11550 | ||||||||||
| 집탄 성능 | 498 | - | - | - | 498 | ||||||||||
| 기본 조준 시간 | 175 | 166 | 158 | 149 | 140 | ||||||||||
| 장전 시간 | 380 | - | 361 | - | 342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58 | 연사 성능 | 1816 | ||||
| 사거리 | 7200 | 장탄수 | 7 | ||||
| 표준적인 성능의 압축 열진총. 상층의 콜로니 연방 알칸드산. 이 연방 갑각병의 상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장대한 열진총. 장대화된 총신 때문에 연사성과 운용 편의성이 희생되었지만, 이 무기의 사거리와 정밀도를 고려하면 그것들이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다. 이 무기와 다각 형태 갑옷을 착용한 알칸드의 정예는 그 특징적인 외형을 고대에 존재했던 병종에 빗대어 기사라 불린다. | |||||||
입수 방법
| |||||||
1.4.2. CG153 A4 Javelin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메타메트리아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165 | ||||||||||||
| 대기 소모 EP | 270 | 수리 CELL | 58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3314 | <colbgcolor=#334433> 3645 | <colbgcolor=#335577> 3811 | <colbgcolor=#443355> 4142 | <colbgcolor=#552222> 4308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4731 | 5204 | 5441 | 5914 | 6150 | ||||||||||
| 관통력 | 1130 | 1243 | 1300 | 1412 | 1469 | ||||||||||
| 탄속 | 10500 | - | 10762 | - | 11025 | ||||||||||
| 집탄 성능 | 498 | - | - | - | 498 | ||||||||||
| 기본 조준 시간 | 210 | 200 | 189 | 179 | 168 | ||||||||||
| 장전 시간 | 360 | - | 342 | - | 324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48 | 연사 성능 | 1864 | ||||
| 사거리 | 6600 | 장탄수 | 14 | ||||
| 연사 성능이 뛰어난 압축 열진총. 고대의 거대 기업 메타메트리아사 설계. 님프의 열진 병기 기술은 아직 고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이 많다. 이 무기는 압축 열진총으로서의 위력과 정밀도를 가지면서 일반 열진총과 거의 같은 크기를 유지하고, 게다가 일정한 연사 성능까지 갖추고 있다. 이 분류의 님프산 화기 중에는 각 성능에서 이 무기를 능가하는 것이 있지만, 그것들을 양립하는 점에서는 아직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 | |||||||
입수 방법
| |||||||
1.4.3. xxx RAM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불명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300 | ||||||||||||
| 대기 소모 EP | 275 | 수리 CELL | 8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4980 | <colbgcolor=#334433> 5478 | <colbgcolor=#335577> 5727 | <colbgcolor=#443355> 6225 | <colbgcolor=#552222> 6474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5600 | 6160 | 6440 | 7000 | 7280 | ||||||||||
| 관통력 | 1689 | 1858 | 1942 | 2111 | 2196 | ||||||||||
| 탄속 | 12000 | - | 12300 | - | 12600 | ||||||||||
| 집탄 성능 | 497 | - | - | - | 497 | ||||||||||
| 기본 조준 시간 | 280 | 266 | 252 | 238 | 224 | ||||||||||
| 장전 시간 | 400 | - | 380 | - | 36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78 | 연사 성능 | 1738 | ||||
| 사거리 | 7000 | 장탄수 | 5 | ||||
| 대구경 압축 열진총. 상세 불명. 출처 불명의 화기. 3기의 열진 가속기로 작동하며 고밀도 열진을 발사한다. 장사거리, 고위력이라는 점에서 압축 열진총으로 분류되지만, 이는 융해관 출력 부족 때문이며 본래는 연사를 상정한 설계로 추정된다. 만약 상정된 능력을 발휘한다면 모든 성능에서 기존 열진 병기를 능가하는 화기가 되겠지만, 현재 호드에는 그것을 가능하게 할 융해관이나 소형 반응로가 존재하지 않으며 가까운 장래에 실용화될 가능성도 극히 낮다. 이 때문에 외부 전력 공급을 전제로 한 단순한 시제품이 어떤 이유로 유출된 것으로 여겨진다. | |||||||
입수 방법
| |||||||
1.4.4. Las018‐D G02 Salala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알칸드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325 | ||||||||||||
| 대기 소모 EP | 310 | 수리 CELL | 46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2805 | <colbgcolor=#334433> 3086 | <colbgcolor=#335577> 3226 | <colbgcolor=#443355> 3506 | <colbgcolor=#552222> 3646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3858 | 4244 | 4437 | 4823 | 5016 | ||||||||||
| 관통력 | 820 | 902 | 943 | 1025 | 1066 | ||||||||||
| 탄속 | 10800 | - | 11070 | - | 11340 | ||||||||||
| 집탄 성능 | 494 | - | - | - | 495 | ||||||||||
| 기본 조준 시간 | 238 | 226 | 214 | 202 | 190 | ||||||||||
| 장전 시간 | 500 | - | 475 | - | 45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29 | 연사 성능 | 1640 | ||||
| 사거리 | 6200 | 장탄수 | 12 | ||||
| 3점사 기구가 탑재된 압축 열진총. 상층의 콜로니 연방 알칸드산. Las012-D G05 Sala의 장총신형. 전장과 중량 면에서 운용에 어려움이 있던 이 무기는 전선에서는 저격용, 지원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운용을 반영하여 압축 저격총으로 재개발된 것이 이 무기다. 전장, 중량은 더욱 증가했지만 상정되는 교전 거리가 변경되어 문제시되는 경우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사거리, 정밀도 향상을 위해 발사 수는 3발로 감소했다. 이것으로도 갑각병에게 과잉 위력이라는 평가였지만, 확실한 목표 제압을 기대할 수 있다 하여 중층의 중갑각병과 세력권을 접하는 전선에서는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 | |||||||
입수 방법
| |||||||
1.4.5. APPL065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바우칸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220 | ||||||||||||
| 대기 소모 EP | 450 | 수리 CELL | 73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3128 | <colbgcolor=#334433> 3441 | <colbgcolor=#335577> 3597 | <colbgcolor=#443355> 3910 | <colbgcolor=#552222> 4066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4428 | 4870 | 5092 | 5534 | 5756 | ||||||||||
| 관통력 | 700 | 770 | 805 | 875 | 910 | ||||||||||
| 탄속 | 9300 | - | 9532 | - | 9765 | ||||||||||
| 집탄 성능 | 498 | - | - | - | 498 | ||||||||||
| 기본 조준 시간 | 245 | 233 | 220 | 208 | 196 | ||||||||||
| 장전 시간 | 350 | - | 332 | - | 315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85 | 연사 성능 | 1874 | ||||
| 사거리 | 7000 | 장탄수 | 4 | ||||
| 고위력 압축 열진총. 물체를 관통하는 특수탄을 사용한다. 상층의 소규모 콜로니 바우칸이 다각 형태 기동각 MMC036과 동시기에 생산했다. 장대한 총신에 걸맞은 고위력 열탄을 발사 가능하며, 경쟁 상대로 상정했을 것으로 보이는 알칸드산 압축 열진총과 비교해도 충분한 성능을 발휘한다. 종종 독자적인 발상만 주목받기 쉬운 소규모 콜로니 바우칸이 그 기술력의 높이를 마음껏 발휘한 화기다. 참고로 형상은 고대에 존재했던 기창이라 불리는 기병용 장비와 매우 흡사하다. 이 때문에 기병과의 외형 유사성에서 알칸드 기사를 능가하는 것이 개발의 주요 목적이었다고 한다. | |||||||
입수 방법
| |||||||
1.4.6. FamdGanz3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기프로베르데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460 | ||||||||||||
| 대기 소모 EP | 320 | 수리 CELL | 89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5376 | <colbgcolor=#334433> 5914 | <colbgcolor=#335577> 6183 | <colbgcolor=#443355> 6720 | <colbgcolor=#552222> 6989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7084 | 7792 | 8147 | 8855 | 9209 | ||||||||||
| 관통력 | 1100 | 1210 | 1265 | 1375 | 1430 | ||||||||||
| 탄속 | 13500 | - | 13838 | - | 14175 | ||||||||||
| 집탄 성능 | 497 | - | - | - | 497 | ||||||||||
| 기본 조준 시간 | 315 | 299 | 284 | 268 | 252 | ||||||||||
| 장전 시간 | 400 | - | 380 | - | 36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92 | 연사 성능 | 1738 | ||||
| 사거리 | 7000 | 장탄수 | 3 | ||||
| 초대형 압축 열진총. 매우 무겁지만 높은 위력을 가진다. 과거 중층에 군림했던 콜로니 기프로베르데산 철갑 열진 병기. RagdoraGanz의 운용 성과를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높은 자원 요구량을 대가로 사거리와 정밀도, 장갑 관통력을 추구한, 바로 기프로베르데의 열진 병기라 부를 만한 성능이다. 당연히 매우 고중량이므로 기프로베르데의 주력 전투 갑각병 외에는 탑재 자체가 어렵다. | |||||||
입수 방법
| |||||||
1.5. 빔 머신건(열진 기관총)
1.5.1. BMG138 Pavise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메타메트리아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350 | ||||||||||||
| 대기 소모 EP | 250 | 수리 CELL | 70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1154 | <colbgcolor=#334433> 1270 | <colbgcolor=#335577> 1327 | <colbgcolor=#443355> 1443 | <colbgcolor=#552222> 1501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949 | 1044 | 1092 | 1186 | 1234 | ||||||||||
| 관통력 | 105 | 116 | 121 | 131 | 136 | ||||||||||
| 탄속 | 7430 | - | 7616 | - | 7801 | ||||||||||
| 집탄 성능 | 482 | - | 484 | - | 484 | ||||||||||
| 기본 조준 시간 | 350 | 332 | 315 | 298 | 280 | ||||||||||
| 장전 시간 | 470 | - | 446 | - | 423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12 | 연사 성능 | 1987 | ||||
| 사거리 | 4500 | 장탄수 | 80 | ||||
| 표준적인 성능의 열진 경기관총. 고대의 거대 기업 메타메트리아사 설계. 모든 신개념 병기와 마찬가지로 실용화 직후의 열진 병기는 병사들에게 신뢰성을 의심받았다. 이 무기는 2연장화라는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그 의심을 불식시키려 한 것이다. 이름대로 주로 방어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전력 공급만 있으면 사실상 무제한 연사가 가능하다는 점이 크게 평가받아 시험 채용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각지 전선에서 지급 요청이 쇄도했다. 참고로 현재는 갑각으로 증강된 님프의 신체 능력을 이용해 휴대 화기로 운용되고 있다. | |||||||
입수 방법
| |||||||
1.5.2. Las825‐D Selys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알칸드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500 | ||||||||||||
| 대기 소모 EP | 250 | 수리 CELL | 95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1154 | <colbgcolor=#334433> 1270 | <colbgcolor=#335577> 1327 | <colbgcolor=#443355> 1443 | <colbgcolor=#552222> 1501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949 | 1044 | 1092 | 1186 | 1234 | ||||||||||
| 관통력 | 105 | 116 | 121 | 131 | 136 | ||||||||||
| 탄속 | 5320 | - | 5453 | - | 5586 | ||||||||||
| 집탄 성능 | 476 | - | 477 | - | 478 | ||||||||||
| 기본 조준 시간 | 105 | 100 | 94 | 89 | 84 | ||||||||||
| 장전 시간 | 700 | - | 665 | - | 63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8 | 연사 성능 | 1990 | ||||
| 사거리 | 4500 | 장탄수 | 150 | ||||
| 대형 열진 기관총. 위력, 연사력 대신 운용 비용이 증대되었다. 알칸드산. 12기의 융해관에서 끊임없이 플라스마를 생성하여 사출하는, 열진 개틀링포라고 할 만한 구조다. 순간적으로 특화점 수준의 화력 투사량을 발휘하지만, 소비량도 극히 막대하여 그것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극히 짧은 시간에 한정된다. 중량 때문에 후퇴하여 재충전하기도 어려워 신중하거나 혹은 결사적인 운용이 요구된다. | |||||||
입수 방법
| |||||||
1.5.3. FT T02A1 FAPL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가디나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370 | ||||||||||||
| 대기 소모 EP | 50 | 수리 CELL | 32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544 | <colbgcolor=#334433> 598 | <colbgcolor=#335577> 626 | <colbgcolor=#443355> 680 | <colbgcolor=#552222> 707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435 | 479 | 500 | 544 | 566 | ||||||||||
| 관통력 | 40 | 44 | 46 | 50 | 52 | ||||||||||
| 탄속 | 4300 | - | 4408 | - | 4515 | ||||||||||
| 집탄 성능 | 480 | - | 481 | - | 482 | ||||||||||
| 기본 조준 시간 | 350 | 332 | 315 | 298 | 280 | ||||||||||
| 장전 시간 | 470 | - | 446 | - | 423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7 | 연사 성능 | 1990 | ||||
| 사거리 | 4000 | 장탄수 | 300 | ||||
| 상태이상 부여 효과 | | ||||||
| 화염을 연속 방사하는 무기. 폐열 이상을 유발한다. 가디나가 생산한 화염 방사기. 고성능 유체 연료를 사용하여 대상을 소각한다. 장갑 목표에 대한 효과는 미미하지만, 연성 목표에 대해, 특히 폐쇄 공간에서의 제압전에서는 엄청난 위력을 발휘한다. 가디나에 의한 콜로니 습격 최종 단계에서, 농성을 계속하는 님프를 근거지와 함께 불태우기 위해 사용된다. 기프로베르데를 비롯한 많은 콜로니가 이 무기에 의해 불타 사라졌다. | |||||||
입수 방법
| |||||||
1.6. 버블 런처(포말 발사기)
1.6.1. Sys223‐D G02 Reclis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알칸드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93 | ||||||||||||
| 대기 소모 EP | 220 | 수리 CELL | 557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1275 | <colbgcolor=#334433> 1402 | <colbgcolor=#335577> 1466 | <colbgcolor=#443355> 1594 | <colbgcolor=#552222> 1658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1679 | 1847 | 1931 | 2099 | 2183 | ||||||||||
| 관통력 | 31 | 34 | 36 | 39 | 40 | ||||||||||
| 통상 물리 폭발력 | |||||||||||||||
| 통상 열량 폭발력 | 3596 | 3955 | 4135 | 4494 | 4674 | ||||||||||
| 유효 물리 폭발력 | |||||||||||||||
| 유효 열량 폭발력 | 5224 | 5747 | 6008 | 6530 | 6792 | ||||||||||
| 폭발 관통력 | 800 | 880 | 920 | 1000 | 1040 | ||||||||||
| 탄속 | 4200 | - | 4305 | - | 4410 | ||||||||||
| 집탄 성능 | 496 | - | - | - | 496 | ||||||||||
| 기본 조준 시간 | 220 | 209 | 198 | 187 | 176 | ||||||||||
| 장전 시간 | 500 | - | 475 | - | 45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70 | 연사 성능 | 1800 | ||||
| 사거리 | 4000 | 장탄수 | 3 | ||||
| 폭발 최대 범위 | 620 | ||||||
| 표준적인 성능의 포말 전격포. 상층의 콜로니 연방 알칸드산. 플라스마 상태의 열진을 자력으로 봉쇄하여 사출. 착탄과 동시에 자기장이 깨지며 주위에 고온 플라스마를 뿌려 광범위를 소각하는 병기. 탄체 형상 때문에 이런 종류의 열진 플라스마 병기는 포말 전격포로 총칭된다. 자기장 제어 등 고도의 열진 병기 기술이 필요하며, 현재 개발에 성공한 곳은 알칸드를 비롯한 극소수 콜로니에 그친다. 이 무기는 포말 전격포 중 가장 가벼운 것 중 하나이며, 알칸드 갑각병의 표준 장비 중 하나다. | |||||||
입수 방법
| |||||||
1.6.2. S12C1 Palk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포로카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155 | ||||||||||||
| 대기 소모 EP | 245 | 수리 CELL | 30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170 | <colbgcolor=#334433> 187 | <colbgcolor=#335577> 196 | <colbgcolor=#443355> 212 | <colbgcolor=#552222> 221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230 | 253 | 264 | 288 | 299 | ||||||||||
| 관통력 | 0 | - | - | - | 0 | ||||||||||
| 통상 물리 폭발력 | |||||||||||||||
| 통상 열량 폭발력 | 2125 | 2338 | 2444 | 2656 | 2762 | ||||||||||
| 유효 물리 폭발력 | |||||||||||||||
| 유효 열량 폭발력 | 2507 | 2758 | 2883 | 3134 | 3259 | ||||||||||
| 폭발 관통력 | 345 | 380 | 397 | 431 | 448 | ||||||||||
| 탄속 | 3200 | - | 3280 | - | 3360 | ||||||||||
| 집탄 성능 | 486 | - | - | - | 487 | ||||||||||
| 기본 조준 시간 | 490 | 466 | 441 | 416 | 392 | ||||||||||
| 장전 시간 | 320 | - | 304 | - | 288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50 | 연사 성능 | 1950 | ||||
| 사거리 | 3500 | 장탄수 | 10 | ||||
| 폭발 최대 범위 | 350 | ||||||
| 장탄수가 뛰어난 포말 전격포. 과거 하층에 존재했던 콜로니 포로카산. 항공 갑각을 주력으로 하는 이 콜로니가 지속 전투 능력 향상을 주안점으로 개발했다. 대형 플라스마 생성기로 지속적인 화력 투사가 가능하다. 항공 갑각을 주력으로 하는 포로카답게, 총신은 경량화를 위해 삼각대 형태의 개방식으로 만들어졌다. 폐쇄식에 비해 사격 정밀도가 저하되지만, 원래 포말 전격포는 정밀 조준이 필요 없는 병기이므로 문제 되는 경우는 적다. | |||||||
입수 방법
| |||||||
1.6.3. Diadol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헤로스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350 | ||||||||||||
| 대기 소모 EP | 380 | 수리 CELL | 120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4420 | <colbgcolor=#334433> 4862 | <colbgcolor=#335577> 5083 | <colbgcolor=#443355> 5525 | <colbgcolor=#552222> 5746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5819 | 6401 | 6692 | 7274 | 7565 | ||||||||||
| 관통력 | 1200 | 1320 | 1380 | 1500 | 1560 | ||||||||||
| 통상 물리 폭발력 | |||||||||||||||
| 통상 열량 폭발력 | 7693 | 8462 | 8846 | 9616 | 10000 | ||||||||||
| 유효 물리 폭발력 | |||||||||||||||
| 유효 열량 폭발력 | 11089 | 12198 | 12753 | 13862 | 14416 | ||||||||||
| 폭발 관통력 | 100 | 110 | 115 | 125 | 130 | ||||||||||
| 탄속 | 4100 | - | 4202 | - | 4305 | ||||||||||
| 집탄 성능 | 496 | - | - | - | 496 | ||||||||||
| 기본 조준 시간 | 315 | 299 | 284 | 268 | 252 | ||||||||||
| 장전 시간 | 700 | - | 665 | - | 63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400 | 연사 성능 | 1900 | ||||
| 사거리 | 5200 | 장탄수 | 1 | ||||
| 폭발 최대 범위 | 1100 | ||||||
| 고속 탄체를 발사하는 대구경 포말 전격포. 중층의 교역 콜로니 헤로스산. 탄체의 저속성으로 인한 이동 목표 명중률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신개념 폐쇄형 총신을 채용했다. 그 결과 탄속뿐만 아니라 포말 전격의 압축률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장갑화된 기동 목표에 대해서도 충분히 효과적인 성능을 획득했다. 단, 탄체 생성과 가속 시 총신에 큰 부하가 걸리므로, 한 발 쏠 때마다 폐열과 냉각을 해야 한다. 연사 성능보다 정밀도를 중시한 설계 의도가 발주처인 가디나에게 기프로베르데적이라고 인식되어 대규모 채용에는 이르지 못했다. | |||||||
입수 방법
| |||||||
1.6.4. Las415‐D G11 Alyta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알칸드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230 | ||||||||||||
| 대기 소모 EP | 160 | 수리 CELL | 62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595 | <colbgcolor=#334433> 654 | <colbgcolor=#335577> 684 | <colbgcolor=#443355> 744 | <colbgcolor=#552222> 774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789 | 868 | 907 | 986 | 1026 | ||||||||||
| 관통력 | 10 | 11 | 12 | 12 | 13 | ||||||||||
| 통상 물리 폭발력 | |||||||||||||||
| 통상 열량 폭발력 | 3530 | 3883 | 4060 | 4412 | 4589 | ||||||||||
| 유효 물리 폭발력 | |||||||||||||||
| 유효 열량 폭발력 | 3828 | 4211 | 4402 | 4785 | 4976 | ||||||||||
| 폭발 관통력 | 340 | 374 | 391 | 425 | 442 | ||||||||||
| 탄속 | 4200 | - | 4305 | - | 4410 | ||||||||||
| 집탄 성능 | 460 | - | 462 | - | 464 | ||||||||||
| 기본 조준 시간 | 350 | 332 | 315 | 298 | 280 | ||||||||||
| 장전 시간 | 600 | - | 570 | - | 54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45 | 연사 성능 | 1900 | ||||
| 사거리 | 6000 | 장탄수 | 6 | ||||
| 폭발 최대 범위 | 450 | ||||||
| 다연장 포말 전격포. 6발의 포말 전격을 일제히 발사한다. 상층의 콜로니 연방 알칸드산. 플라스마 생성과 자기장에 의한 봉쇄 후 사출이라는, 원리적으로 연사 성능에 난점을 가진 포말 전격포의 단점을, 다연장화라는 가장 단순한 수단으로 해결하려 한 병기. 그 결과 6개의 총구를 갖춘 기괴한 외형으로 완성되었다. 주 팔 무장으로는 상당히 크며, 운용 시 기동에도 큰 제한이 가해지므로, 기본적으로는 진지 공격 등 고정 목표에 대해 사용되지만, 순간 화력 투사력에 관해서는 님프가 휴대 가능한 병기 중에서도 최대급이라고 할 수 있다. | |||||||
입수 방법
| |||||||
1.6.5. BG189 A2 MorningStar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메타메트리아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90 | ||||||||||||
| 대기 소모 EP | 320 | 수리 CELL | 50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850 | <colbgcolor=#334433> 935 | <colbgcolor=#335577> 978 | <colbgcolor=#443355> 1062 | <colbgcolor=#552222> 1105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1265 | 1392 | 1455 | 1581 | 1645 | ||||||||||
| 관통력 | 50 | 55 | 58 | 62 | 65 | ||||||||||
| 통상 물리 폭발력 | |||||||||||||||
| 통상 열량 폭발력 | 2550 | 2805 | 2932 | 3188 | 3315 | ||||||||||
| 유효 물리 폭발력 | |||||||||||||||
| 유효 열량 폭발력 | 3565 | 3922 | 4100 | 4456 | 4635 | ||||||||||
| 폭발 관통력 | 700 | 770 | 805 | 875 | 910 | ||||||||||
| 탄속 | 7200 | - | 7380 | - | 7560 | ||||||||||
| 집탄 성능 | 496 | - | - | - | 496 | ||||||||||
| 기본 조준 시간 | 100 | 95 | 90 | 85 | 80 | ||||||||||
| 장전 시간 | 380 | - | 361 | - | 342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50 | 연사 성능 | 2000 | ||||
| 사거리 | 6000 | 장탄수 | 1 | ||||
| 폭발 최대 범위 | 1400 | ||||||
| 상태이상 부여 효과 | | ||||||
| 대전자기기용 포말 전격포. 착탄 지점에 전자 장애를 유발하는 자기장을 일정 시간 형성한다. 고대의 거대 기업 메타메트리아사 설계. 흩날리는 플라스마가 발산하는 자기장으로 전자적 손해를 입힐 목적으로 조정되었다. 간이적인 설계로 보아 소형 자율기 대책으로서 당시 보병에게 널리 배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포말 전격포라는 화기가 원래 대전자 병기로 개발되었다는 경위를 현재에 전하는 유산이다. | |||||||
입수 방법
| |||||||
1.6.6. BolbGanz5
| | |||||||||||||||
| 파츠 상세 정보 | |||||||||||||||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제조 콜로니 | 기프로베르데 | <colbgcolor=#888888><colcolor=white> 중량 | 650 | ||||||||||||
| 대기 소모 EP | 320 | 수리 CELL | 890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화 가능 옵션 | | | | | | |||||||||
| 통상 물리 공격력 | |||||||||||||||
| 통상 열량 공격력 | <colcolor=#000> 3400 | <colbgcolor=#334433> 3740 | <colbgcolor=#335577> 3910 | <colbgcolor=#443355> 4250 | <colbgcolor=#552222> 4420 | ||||||||||
| 유효 물리 공격력 | |||||||||||||||
| 유효 열량 공격력 | 5830 | 6413 | 6704 | 7288 | 7579 | ||||||||||
| 관통력 | 1200 | 1320 | 1380 | 1500 | 1560 | ||||||||||
| 통상 물리 폭발력 | |||||||||||||||
| 통상 열량 폭발력 | 8543 | 9397 | 9824 | 10678 | 11105 | ||||||||||
| 유효 물리 폭발력 | |||||||||||||||
| 유효 열량 폭발력 | 12239 | 13463 | 14075 | 15299 | 15911 | ||||||||||
| 폭발 관통력 | 980 | 1078 | 1127 | 1225 | 1274 | ||||||||||
| 탄속 | 4300 | - | 4408 | - | 4515 | ||||||||||
| 집탄 성능 | 496 | - | - | - | 496 | ||||||||||
| 기본 조준 시간 | 420 | 399 | 378 | 357 | 336 | ||||||||||
| 장전 시간 | 600 | - | 570 | - | 540 | ||||||||||
| 고정 옵션 | |||||||||||||||
| 단발 BP 소모 | 400 | 연사 성능 | 1900 | ||||
| 사거리 | 9000 | 장탄수 | 1 | ||||
| 폭발 최대 범위 | 1500 | ||||||
| 초대형 포말 전격포. 매우 무겁지만, 고위력 광범위 공격이 가능. 과거 중층에 군림했던 콜로니 기프로베르데산. 일설에는 가디나와의 항쟁이 기프로베르데에게 불리하게 기울어 가는 것을 감지한 알칸드가 양 세력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기술 공여를 했다고 한다. 중량에 걸맞게 극히 광범위한 살상 반경을 가진다. 기존 화포에 비해 사거리와 장갑 관통력이 떨어지므로 기프로베르데 갑각병이 환영하지는 않았지만, 가디나 갑각병에게는 매우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 |||||||
입수 방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