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f75759,#f75759><tablebgcolor=#f75759,#f75759> | 행성인간 등장인물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주인공 일행 | ||
행성인간 카페 | |||
재십자 | |||
행성민 | |||
기타 | |||
※ 이외의 등장인물은 조석 유니버스/등장인물 문서 참고. |
<colbgcolor=#010101><colcolor=#fff> 돌고래 | |
통칭 | 돌고래 |
종족 | 동물형 행성 |
능력 | 피를 먹은 대상의 능력을 복사하는 신체 |
등장 작품 | 《행성인간》
|
1. 개요
웹툰 행성인간의 동물형 행성.행성인간이 된 오토 한이 사육하는 돌고래. 조의 영역에 등장하는 지능만 높아진 돌고래들은 그냥 쌈싸먹는 거대한 덩치를 지녔으며 비쩍 마른 인간의 팔다리를 가졌다.
2. 작중 행적
2.1. 행성인간
2.1.1. 첫 등장
58화에 따르면 황지처럼 행성에서 태어난 행성으로 다른 행성들과는 다른 특별한 점이 있는 것 같다.사실 사육당하는 것이 아니었으며 마음만 먹으면 수조를 깨고 벗어날 수 있었다. 그동안은 편하게 행성인간을 먹기 위해 교수에게 협력하고 았었던 것 같다. 그보다 더 충격적인 것은 스파이를 의심하던 김사능의 생각을 읽은데다[1] 말까지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스파이가 교수의 지하실에서 이 돌고래의 사진을 찍고 어딘가로 보낸 후 떠나자 숨어서 지켜보던 사능은 믿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 모습을 지켜보더니 주먹으로 유리를 깨고 수조에서 빠져나와 바로 첩자를 붙잡고서는 사능에게 이렇게 말한다.
머리가 나쁜거야... 아니면 겁먹은거야? 믿을 수 없다고 생각했는데 왜 죽이지 않고 그냥 보냈지? 이런 건 위험한거야.
(스파이를 터트려서 죽인다.)
가서 교수 불러 와.
(스파이를 터트려서 죽인다.)
가서 교수 불러 와.
2.1.2. 행성인간 사냥
64화에서는 저번 화의 엄청난 포스와는 달리 사능과 교수가 탄 보트 주변에서 맴돌며 멀뚱멀뚱 쳐다보다가 교수에게 노로 머리를 얻어맞는다... 교수가 계속 노로 머리를 때리면서 화내자 "어흐흑 억울해 갈래."라고 하며 떠난다. 이후 더이상 지하에서 돌고래를 키울 수 없다고 판단한 교수에 의해 행성인간이 풍부한 한국으로 보내지게 된다.이후 사능에 의해 한국에 온 후 야바위, 철렘, 지선을 먹고 능력을 복제한다.[2] 복선까지 먹으려고 하지만 위성연에게 방해를 받게 되고 위성연과의 전투 중 철렘의 피에 섞인 소량의 황지의 피에서 능력이 각성해 황지의 모습으로 변한다. 7살 황지의 능력으로 성연을 공격하는데 철렘이 황지에게 당했을 때처럼 받아보라며 몸통 한가운데를 손날로 찌르고 못 받았다고 조롱한다.
위성연을 쓰러뜨린 뒤 82화에선 황지를 먹기 위해 도심쪽으로 향했지만 알몸이었던 탓에 경찰에 붙잡혀 사능에게 인도된다. 주머니(?) 안에 사능의 전화번호가 있었다고...
2.1.3. 외눈 행성민과의 조우
83화에서 사능에게 인도된 돌고래는 사실 야바위의 능력을 개선[3]해 만든 분신이라는게 밝혀졌다. 능력을 개선했지만 아직 제대로 다루지는 못해 사능과의 대화중 터진다. 그리고 부두에 남아있던 분신과 사능이 만나 대화를 나누는데 사실 80화에 등장했던 황지선은 돌고래 본체가 변신한 것으로 밝혀졌다.그 후 미은의 집에 남아있던 황지선(=돌고래)은 미은의 집에서 앞으로 어떻게 할지 계획을 짜던 중 집에 남아있던 네번째 황지와 만나게 된다.
85화에서 4번째 황지와 만나 위성연의 능력으로 공격하려고 한다. 하지만 997개의 능력을 가진 4번째 황지에게 역관광당한다. 그대로 죽었는지는 아직까진 알 수 없다.
93화에서 외눈이에게 흡수당한 후 외눈이의 안에서 다시 태어났다. 외눈이의 안에서 사투를 벌이던 나의 말을 듣고 자아를 되찾았다.[4] 외눈이의 행성민이 된 것으로 보인다. 세포 사이즈에서도 원본의 능력을 그대로 사용하며 위험성를 과시하지만 자신이 이제 평범한 육체가 아닌 세포 끄나풀에 불과하게 되었다는 것을 미처 자각하지 못해서 나의 음파 공격에 토막난다.
===# 행성인간2: 행성의 #===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행성인간2: 행성의에서의 행적}}}에 대한 내용은 [[철이(조석 유니버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철이(조석 유니버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철이(조석 유니버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행성인간2: 행성의에서의 행적: }}}[[철이(조석 유니버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철이(조석 유니버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철이(조석 유니버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2c3536,#2c3536><tablebgcolor=#2c3536,#2c3536> | 행성인간2: 행성의 등장인물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주인공 일행 | ||
재십자 | |||
기타 | |||
에필로그 | |||
※ 이외의 등장인물은 조석 유니버스/등장인물 문서 참고. |
이후 사라진 줄 알았지만, 알고 보니 외눈 행성민 머릿속에 있던 수류탄이 터진 후 모두에게 붉은 실을 연결한 뒤 모두에게 환상을 걸어 행성인간2: 행성의는 사실 외눈이의 환상이었고, 그 환상속에서 철이라는 강력한 행성의로서 돌고래를 출연시킨 것이었다.
그 이후 이 세상이 환상이란 것을 눈치챈 위성연을 불러낸 뒤 본모습으로 죽이려 하지만, 정황지에게 피를 받은 고양이에게 베어지자 이 자식은 뭐 하나 제대로 설명한 게 없다고 짜증낸다. 생사여부는 불분명.
3. 신체 특징
- 능력 및 기억 복사
피를 먹은 생물의 능력과 기억을 복사할 수 있다. 엄청난 능력이지만 복사한 능력들이 너무 많아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의 개수에 한계가 있다. 때문에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선에서 그때그때 필요한 능력 몇 가지만 꺼내서 사용한다.
첫등장부터 인간의 언어를 구사하는 등 높은 지능을 가진 모습을 보여줬는데 행성인간을 먹을수록 지능이 더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얻은 기억에 영향을 받아 성격이 변하기도 했다. - 능력 조합
복사한 능력들을 조합해 원하는 방향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단 한 번에 조합할 수 있는 능력의 개수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모든 능력을 조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확히는 조합하기 위해 복사한 능력을 전부 꺼낼 경우 감당할 수 없어진다.
- 거대한 덩치
일반적인 돌고래와 비교해 거대한 덩치를 지니고 있다. 타고난 게 아니라면 교수의 능력을 얻은 것일 가능성이 있다.
- 인간의 팔다리
인간의 팔다리를 지니고 있어 지상에서 활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간을 먹어서 얻은 능력인 듯하다.
- 독심술
타인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이 능력으로 교수에게 접촉한 행성인간이 첩자라는 것을 알고 공격했다.
- 분신 생성
행성인간 카페 소속의 야바위를 먹고 얻은 능력. 원래는 2개의 허상을 생성하는 능력이었지만 능력 조합을 통해 2개의 분신을 생성하는 능력으로 개선시켰다.
- 금속 신체
철렘의 피를 먹고 얻은 능력. 신체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 외형 복사
황지선의 피를 먹고 얻은 능력. 이 능력으로 얼굴만 황지선으로 바꾼 탓에 이전보다 더욱 기괴한 모습이 되었다.
- 분산
철렘의 피에 섞여 있던 정황지의 피를 통해 얻은 능력. 신체를 분산시켰다가 재조립할 때 외형 복사를 한 건지 정황지의 모습으로 변했다.
- 불과 전기 조작
위성연의 피를 먹고 얻은 능력. 불과 전기를 뿜어내 조작할 수 있다.
4. 기타
- 조의 영역 시즌 1 마지막에 나왔던 인간의 사지가 달린 거대한 돌고래가 이 녀석으로 추정되었으나 외눈이에게 당하면서 가능성이 낮아졌다. 작중에서 드러나는 포스가 엄청난지라 최종보스인 줄 알았으나 사실은 페이크 최종 보스였다. 진짜 최종 보스는 미은이 출신의 외눈 행성민으로 드러났다.
[1] 독심술까지는 아니고, 논리적 사고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2] 철렘과 지선은 신체 일부만 먹었다.[3] 지선의 능력과 합친 것으로 추정된다.[4] 이전의 능력을 그대로 갖고 있는지는 불명이다.